동양고전종합DB

近思錄集解(2)

근사록집해(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근사록집해(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36. 橫渠先生曰
世祿之榮 王者所以錄有功, 尊有德하야 愛之厚之하야 示恩遇之不窮也 爲人後者 所宜樂職勸功하야 以服勤事任하고 長廉遠利하야 以似(嗣)述注+按 韻會 嗣也世風이어늘
而近代公卿子孫 方且下比布衣하야 工聲病하야 售有司하야 不知求仕非義하고 而反羞循理爲無能하며 不知蔭襲爲榮하고 而反以虛名爲善繼하니 誠何心哉
〈文集〉
聲病 詩律 有四聲八病注+四聲 平上去入也 詩人玉屑十一 詩病有八하니 一曰平頭 二曰上尾 三曰蜂腰 四曰鶴膝이요 五曰大韻이요 六曰小韻이요 七曰旁紐 八曰正紐라하니라注+梁沈約曰 詩病有八하니 一曰平頭 第一第二字不得與第六第七字同聲이라 如今日良宴會 歡樂難具陳이라하니 今懽皆平聲也 二曰上尾 謂第五字不可與第十字同聲이라 如靑靑河畔草 鬱鬱園中柳 皆上聲也 三曰蜂腰 謂第二字不得與第五同聲이라 如聞君愛靚粧하고 切欲自修飾이라하니 君粧皆平聲이요 欲飾皆入聲也 四曰鶴膝이니 謂第五字不得與第十字同聲이라 如客從遠方來하야 遺我一札書하니 上言長相思 下言久別離라하니 來書皆平聲이라 五曰大韻이니 如聲鳴爲韻 上九字不得用驚傾平字 六曰小韻이니 除本韻一字外 九字中不得兩字同韻이니 如遙條不同句 七曰旁紐 八曰正紐 謂十字內 兩字爲正紐 若不共一字而有雙聲 爲旁紐 如流六爲正紐 流柳爲旁紐 八種 唯上尾鶴膝最忌 餘病亦通이니라하니 今進士詩賦之學 是也
求仕非義 謂投牒覓擧之類 循理 謂服勤事任하야 似述世風者也


36. 횡거선생橫渠先生이 말씀하였다.
세록世祿의 영화는 왕자王者이 있는 자를 기록하고(생각하고) 이 있는 자를 높여서 사랑하고 후대厚待하여 은혜와 대우함이 무궁無窮함을 보여주는 것이니, 후손後孫이 된 자는 마땅히 직책을 즐거워하고 사공事功을 권면하여 직사職事임무任務를 부지런히 일하며 청렴淸廉함을 장양長養(기름)하고 이익을 멀리하여 대대로 지켜오는 가풍家風계술繼述(계승)注+살펴보건대 《운회韻會》에 “(뒤를 이음)이다.” 하였다.하여야 한다.
그런데 근대近代공경公卿자손子孫들은 바야흐로 아래로 포의布衣에 견주어서 성병聲病(詩賦)을 잘하여 유사有司에게 팔려(인정을 받음), 벼슬을 구하는 것이 가 아닌 줄을 알지 못하고 도리어 이치를 따라 〈부지런히 봉직奉職하는 것을〉 부끄러워하여 무능無能하다 하며, 음직蔭職을 세습하는 것이 영화榮華가 되는 줄을 알지 못하고 도리어 급제하여 헛된 명예를 얻는 것을 잘 계승하는 것으로 여기니, 진실로 무슨 마음인가?”
〈《횡거선생문집橫渠先生文集》에 보인다.〉
성병聲病시율詩律사성四聲팔병八病注+사성四聲평성平聲, 상성上聲, 거성去聲, 입성入聲이다. 《시인옥설詩人玉屑》 11에 “의 병통이 여덟 가지가 있으니, 첫째는 평두平頭요 두 번째는 상미上尾요 세 번째는 봉요蜂腰요 네 번째는 학슬鶴膝이요 다섯 번째는 대운大韻이요 여섯 번째는 소운小韻이요 일곱 번째는 방뉴旁紐요 여덟 번째는 정뉴正紐이다.” 하였다.注+나라 심약沈約이 말하였다. “의 병통에 여덟 가지가 있다. 첫 번째는 평두平頭이니, 제일第一제이第二의 글자가 제육第六제칠第七의 글자와 동성同聲이어서는 안 된다. 예컨대 ‘금일양연회今日良宴會 환악난구진歡樂難具陳(오늘 좋은 연회에 환락歡樂을 모두 말하기 어렵다.)’은 이 모두 평성平聲이다. 두 번째는 상미上尾이니, 제오第五제십第十의 글자가 동성同聲이어서는 안 된다. 예컨대 ‘청청하반초靑靑河畔草 울울원중류鬱鬱園中柳(푸르고 푸른 하수河水가의 풀 울창한 동산 가운데의 버들)’는 가 모두 상성上聲이다. 세 번째는 봉요蜂腰이니, 제이第二제오第五의 글자가 동성同聲이어서는 안 된다. 예컨대 ‘문군애정장聞君愛靚粧 절욕자수식切欲自修飾(그대가 곱게 단장하기를 좋아한다는 말 듣고 간절히 스스로 몸을 꾸미고 싶네.)’은 이 모두 평성平聲이고 이 모두 입성入聲이다. 네 번째는 학슬鶴膝이니, 제오第五제십第十의 글자가 동성同聲이어서는 안 된다. 예컨대 ‘객종원방래客從遠方來 유아일찰서遺我一札書 상언장상사上言長相思 하언구별리下言久別離(손님이 먼 지방으로부터 와서 나에게 한 서찰을 보내 주었네. 위에는 길이 그리워함을 말하였고 아래에는 오랫동안 헤어져 서글픔을 말하였네.)’는 가 모두 평성平聲이다. 다섯 번째는 대운大韻이니, 일 경우에는 위의 아홉 자에 등의 평성자平聲字를 써서는 안 된다. 여섯 번째는 소운小韻이니, 본운本韻 한 자를 제외하고는 아홉 자 가운데 동운同韻인 글자를 두 자 이상 써서는 안 되는 것이니, 예컨대 를 한 에 쓰지 않는다. 일곱 번째는 방뉴旁紐이고 여덟 번째는 정뉴正紐이니, 열 자 이내에 두 자가 쌍성雙聲인 것을 정뉴正紐라 하고, 한 글자를 같게 하지 않고 쌍성雙聲이 있는 것을 방뉴旁紐라 하니, 예컨대 정뉴正紐가 되고 방뉴旁紐가 된다. 여덟 가지 중에 상미上尾학슬鶴膝을 가장 꺼리고 나머지 병통은 또한 통한다.”이 있으니, 지금 진사과進士科시부학詩賦學이 이것이다.
벼슬을 구하는 것이 가 아니라는 것은 (글)을 올려 천거되기를 요구하는 것과 같은 따위를 이르고, 이치를 따른다는 것은 직사職事임무任務를 부지런히 일하여 대대로 지켜오는 가풍家風계술繼述함을 이른다.


역주
역주1 雙聲 : 글자의 발음이 서로 같은 것을 이른다. 예컨대 芬(분)과 芳(방), 凜(름)과 冽(렬), 髣(방)과 髴(불) 따위를 이른다.

근사록집해(2)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