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近思錄集解(3)

근사록집해(3)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근사록집해(3)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3. 先傳後倦注+論語本註 如誨人不倦之倦이라하니라 君子敎人有序하니 先傳以小者近者而後 敎以大者遠者 非是先傳以近小而後 不敎以遠大也니라
子游譏子夏之門人 於灑掃應對進退末事則可矣어니와 於道之本原則無하니 如之何오한대
子夏聞而非之曰 君子之道 孰先傳焉이며 孰後倦焉이리오하니
蓋君子敎人 先後有序하야 不容躐等而驟進이니
非謂傳以近小者於先而不敎以遠大者於後也니라
○ 朱子曰
灑掃應對 事有大小 而理無大小하니 事有大小故 其敎有序而不可躐이요 理無大小故 隨其所處而皆不可不盡이니라
愚謂 子夏 正謂 敎人 小大有別이요 前段程子之說 却就灑掃應對上하야 發明理無大小하시니 自是一義니라


13. 〈명도선생明道先生이 말씀하였다.〉
“‘먼저라 하여 전수傳授하고 뒤라 하여 게을리 한다.’注+논어論語》〈자장子張〉의 본주本註에 “회인불권誨人不倦 (사람을 가르치기를 게을리 하지 않음)의 과 같다.” 하였다.는 것은 군자君子가 사람을 가르침에 순서가 있으니, 먼저 작고 가까운 것을 전수傳授한 뒤에 크고 먼 것을 가르쳐주는 것이요, 먼저 가깝고 작은 것을 전수傳授한 뒤에 멀고 큰 것을 가르쳐주지 않는 것은 아니다.”
자유子游가 “자하子夏문인門人들이 쇄소응대灑掃應對진퇴進退하는 지엽적인 일에 있어서는 하나(잘하나) 본원本原에 있어서는 없으니, 어찌한단 말인가.” 하고 비난하자,
자하子夏가 듣고 비판하여 말하기를 “군자君子가 무엇을 먼저라 하여 전수해주고 무엇을 뒤라 하여 게을리 하겠는가.” 하였으니,
군자君子가 사람을 가르침은 선후先後순서順序가 있어서 등급等級을 건너뛰어 갑자기 나아갈 수가 없으니,
가깝고 작은 것을 먼저 전수해주고 멀고 큰 것을 뒤에 가르치지 않는다고 말한 것은 아니다.
주자朱子가 말씀하였다.
쇄소응대灑掃應對정의입신精義入神은 일에는 크고 작음이 있으나 이치는 크고 작음이 없으니, 일에 크고 작음이 있기 때문에 가르침에 순서가 있어서 뛰어넘을 수가 없고, 이치는 크고 작음이 없기 때문에 처하는 바에 따라 모두 다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내가 생각하건대 자하子夏는 바로 사람을 가르칠 적에 작고 큰 것이 구별이 있음을 말하였고, 전단前段정자程子의 말씀은 쇄소응대灑掃應對 에 나아가 이치가 크고 작음이 없음을 발명하였으니, 이는 별도로 한 가지 뜻이다.


역주
역주1 精義入神 : 義理를 정밀하게 연구하여 神妙한 경지에 들어가는 것으로 《周易》〈繫辭 下〉에 보이는 바, 灑掃應對는 어린이의 기초적인 예절이고 精義入神은 《大學》의 格物致知를 다한 뒤에야 될 수 있는 것이다.

근사록집해(3)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