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揚子法言(1)

양자법언(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양자법언(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07. 吾焉開明哉 注+吾焉開明哉: 咸曰 “言搥仁義, 滅禮學, 則吾道瞽矣.”리오 惟聖人이야 爲可以開明이니 他則 注+惟聖人……他則苓:咸曰 “苓當爲蒙, 字之誤也. 言開吾道之瞽, 以爲之明者, 惟聖人爾, 他則愈蒙闇矣. 他指莊列之類.” ○祕曰 “吾道以開明哉. 惟聞聖人之言, 爲可開明. 若諸子他道, 無所聞焉. 苓, 苓耳也. 苓耳, 徒有其名, 而無聆聞之實. 郭璞云 ‘苓耳, 形似耳, 叢生如盤.’” ○光曰 “開, 啓. 明, 白. 言通達可行. 苓, 音聆. 闕.”이니라
大哉 聖人이여 言之至也로다 開之하면 廓然見四海 注+大哉……廓然見四海:日月齊明, 視其文者, 不下堂, 知四方. ○祕曰 “聖人, 言之極至, 吾道, 無所昏曀, 開之, 廓然見四海.” ○光曰 “無所不通.”하고 閉之하면 閛然不覩牆之裏 注+閉之 閛然不覩牆之裏:不開聖卷, 諭無所見. ○祕曰 “自背其道, 不見數仞之內.” ○光曰 “宋吳本, 閛作闇, 今從李本. 音義曰 ‘閛, 匹庚切, 閉門也.’ 光謂.”하나니라


우리 를 어떻게 하면 발명發明할 수 있는가.注+은 어찌이다. 는 드러내는 것이다. 송함宋咸이 말하였다. “인의仁義를 내던지고 학문學問을 없애면 우리 도가 혼매昏昧해질 것이라는 말이다.” 오직 성인聖人이라야 발명發明할 수 있다. 그 밖에 다른 사람은 더욱 어두워지게 할 뿐이다.注+송함宋咸이 말하였다. “은 마땅히 이 되어야 하니 글자가 잘못된 것이다. 우리 도가 어두운 것을 드러내 밝혀줄 수 있는 것은 오직 성인聖人뿐이고, 그 밖에 다른 사람은 더욱 어두워지게 할 뿐이다. 장자莊子열자列子의 부류를 가리킨다.” ○오비吳祕가 말하였다. “우리 도를 어떻게 발명發明할 수 있는가? 오직 성인聖人의 말씀을 들으면 발명發明할 수 있다. 제자백가諸子百家와 그 밖에 다른 사람의 도는 들을 것이 없다. 영이苓耳이니, 영이苓耳는 한갓 영이苓耳라는 이름만 있을 뿐이지 듣는 실상은 없다. 곽박郭璞이 ‘영이苓耳는 모양이 귀와 비슷하고 소반같이 총생한다.’라고 하였다.” ○사마광司馬光이 말하였다. “이고 이니, 통달通達하여 행할 수 있음을 말한다. 인데, 〈뜻을 알 수 없어〉 주석注釋하지 않았다.”
위대하다. 성인聖人이여. 성인聖人의 말씀은 지극하도다. 책을 펴고서 〈성인의 말씀을〉 받아들이면 탁 트여 사해를 볼 수 있고注+〈성인은〉 해와 달처럼 밝으니 그 글을 본 자는 당을 내려가지 않고도 사방의 일을 알 수 있다. ○오비吳祕가 말하였다. “성인聖人은 말씀이 지극하여 우리 도가 가려진 바가 없으니, 성인의 교화를 받으면 탁 트여 사해를 볼 수 있다.” ○사마광司馬光이 말하였다. “통하지 않는 바가 없다.”, 책을 덮고 〈성인의 말씀을〉 받아들이지 않으면 어두워서 담 안도 보지 못한다.注+성인의 책을 펴보지 않으면 깨우쳐도 아는 바가 없다. ○오비吳祕가 말하였다. “스스로 도를 어기면 몇 길 안도 보지 못한다.” ○사마광司馬光이 말하였다. “송함본宋咸本오비본吳祕本에는 ‘’이 ‘’으로 되어 있으나, 지금 이궤본李軌本을 따랐다. 《음의音義》에 ‘반절反切이니, 문을 닫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내가 생각건대 배우지 않으면 담을 마주하고 서 있는 것과 같음을 이른다.”


역주
역주1 : 兪樾이 “苓은 마땅히 笭이 되어야 한다.”라고 하였다. 笭은 바람과 먼지를 피하기 위하여 수레 앞에 치는 대나무 발[竹簾]을 가리킨다. 그러므로 笭으로써 시야를 가려 어둡게 함을 비유한 것이다.
역주2 (開發) : 저본에는 있으나, 四部叢刊本에 근거하여 衍文으로 처리하였다.
역주3 [焉 安也 開 發也] : 저본에는 없으나, 四部叢刊本에 근거하여 보충하였다.
역주4 (可)[何] : 저본에는 ‘可’로 되어 있으나, 四庫全書本에 근거하여 ‘何’로 바로잡았다.
역주5 不學牆面 : 사람이 배우지 않으면 마치 담을 마주하고 서 있는 것처럼 답답하다는 뜻으로, 《書經》 〈周書 周官〉에 보인다.

양자법언(1) 책은 2019.06.07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