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孔子家語(1)

공자가어(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공자가어(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於是 朝政注+子乃與朝廷之政事七日而誅亂政大夫少正卯注+權相七日 朝有亂政大夫少正卯者어늘 孔子戮之하여 戮之于兩觀之下注+殺之于兩闕之下하고 尸於朝三日注+陳正卯尸於朝하여 令衆三日이라한대
子貢進曰注+子貢進謂子言이라 夫少正卯 魯之聞人也注+少正卯 乃魯國名譽之人也 今夫子爲政而始誅之注+今夫子初相하여 方爲政 卽誅之하시니 或者爲失乎注+託或人하여 言夫子得無過失歟인저하니이다
孔子曰注+孔子言이라하라 吾語注+ 去聲이라注+爾有此하라 我爲汝言이라호리라 天下有大惡者五注+天下有大不美者五事 而竊盜不與焉注+盜竊雖不美 不在此五惡之數內이니
一曰心逆而險注+第一是處心 逆詐奸險이라이요 二曰行注+ 下孟切이라僻而堅注+二是所行所爲 怪辟堅固이요 三曰言僞而辯注+三是所言 詐僞強辯이라이요 四曰記醜而博注+四是所行非義하여 其惡廣大이요 五曰順非而澤注+五是順意爲非호되 強文飾其過이라
此五者 有一於人注+已上五惡 人有其一이라이면 則不免君子之誅注+不免爲君子所殺이라어늘 而少正卯皆兼有之注+少正卯一身 兼有此五惡이라하니라
其居處足以掫注+ 則九切이라徒成黨注+其所居處 易得聚徒衆成群黨이라이요 其談說足以飾褒榮衆注+其言談 易得文飾褒揚하고 眩耀衆人이라이요 其彊禦足以返是獨立注+其剛強抗禦 反非爲是하고 獨立不改하니
此乃人之奸雄者也注+此是大奸之長者也 不可以不除注+不可不除去之니라 夫殷湯誅尹諧注+尹諧有惡이어늘 成湯誅之하고 文王誅潘正注+潘正有惡이어늘 周文誅之하고
周公誅管蔡注+管叔蔡叔欲害周公이라 故公誅之하고 太公誅華士注+虛僞之士 太公誅之하고 管仲誅付乙注+管仲殺付乙이라하고 子産誅史何注+子産除史何하니
凡此七子注+此七人이라 皆異世而同誅者注+生世不同이나 所誅則一이라 以七子異世而同惡注+以上七人 生於殊時 其惡則一이라이라 故不可赦也注+其罪惡 皆不可貸也니라
詩云憂心悄悄注+毛詩言 心悄悄而憂抑者 慍于群小注+乃是怒衆小人之爲惡也라하니 小人成群注+小人成群結黨이라 斯足憂矣注+斯可憂心矣니라


이에 조정의 정치에注+공자가 이에 조정의 정사에 참여한 것이다. 참여한 지 7일째 되는 날 정치를 어지럽힌 大夫 少正卯誅罰하여注+임시로 재상이 된 지 7일째에, 조정에 정치를 어지럽힌 대부 소정묘가 있어 공자가 주륙한 것이다. 아래에서 죽이고注+두개의 觀闕 아래에서 죽인 것이다. 조정에 3일 동안 시체를 진열하였다.注+조정에 소정묘의 시체를 진열하여 사람들에게 3일 동안 보인 것이다.
誅少正卯誅少正卯
그러자 子貢이 나와서 물었다.注+자공이 나아가 공자에게 말한 것이다. “소정묘는 노나라의 명망이 있는 사람입니다.注+소정묘는 바로 노나라의 명망이 있는 사람이라는 것이다. 그런데 이제 부자께서 정치를 하시는 처음에 그를 주벌하셨으니注+지금 부자가 처음으로 재상이 되어 정사를 하면서 즉시 주벌하였다는 것이다. 어떤 사람은 잘못된 행동이라고 말합니다.”注+或者에 가탁하여 부자가 잘못이 없겠냐고 말한 것이다.
공자가 대답하였다.注+공자가 말한 것이다. “앉아라. 내가 너에게注+頭註:(알리다)는 去聲이다. 그 이유를 말해주겠다.注+너는 여기에 있어라. 내가 너를 위해 말해주겠다는 것이다. 천하에 몹시 나쁜 행위가 다섯 가지가 있는데,注+천하에 몹시 나쁜 것이 다섯 가지가 있는 것이다. 도둑질은 여기에 들어가지 않는다.注+도둑질이 비록 나쁘지만 이 다섯 가지 악행 안에는 들어 있지 않은 것이다.
첫째는 마음에 거역할 뜻을 품고서 음험한 것,注+첫 번째는 마음가짐이 거스르고 속이면서도 奸邪하고 陰險한 것이다. 둘째는 하는 짓이注+頭註:(행실)은 反切이다. 편벽되면서 고집불통인 것,注+두 번째는 하는 짓이 怪辟하면서도 고집불통인 것이다. 셋째는 말이 거짓되면서 변명하는 것,注+세 번째는 하는 말이 거짓되면서도 속이고 억지로 辨明하는 것이다. 넷째는 醜惡한 것만 기억하여 크게 惡行을 저지르는 것,注+네 번째는 하는 짓이 에 맞지 않아서 그 악행이 큰 것이다. 다섯째는 제멋대로 非行을 저지르면서도 잘못을 꾸미는 것이다.注+다섯 번째는 자기 멋대로 비행을 저지르면서도 억지로 잘못을 꾸미는 것이다.
사람이 이 다섯 가지 중에 하나라도 있으면注+이상 다섯 가지 악행이 사람에게 하나라도 있을 경우이다. 군자의 주벌을 피할 수 없는데,注+군자에게 죽임을 당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소정묘는 다 갖추고 있다.注+소정묘의 一身에 이 다섯 가지 악행을 다 갖추고 있는 것이다.
그의 居處는 무리를 모아 黨派를 만들기에注+頭註:(모으다)는 反切이다. 충분하며,注+居處가 무리를 모아 黨派를 이루기에 쉬운 것이다. 그의 말재주는 거짓으로 꾸며 많은 사람들을 현혹하기에 충분하며,注+그 말이 그럴듯하게 꾸며서 자랑하고 사람들을 현혹하기에 쉬운 것이다. 그의 강퍅한 성질은 是非를 뒤엎고 자신의 주장만을 내세우기에 충분하다.注+그 강퍅하고 대드는 성질이 그른 것을 옳은 것으로 뒤집고 자기의 주장만 내세우고 바꾸지 않는 것이다.
이 사람이 바로 奸雄이니,注+이는 大奸 중에 으뜸인 자라는 것이다. 제거하지 않을 수 없었다.注+제거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나라
임금은 尹諧를 죽였고注+尹諧가 악행을 저지르자 成湯이 죽인 것이다. 文王潘正을 죽였고
注+潘正이 악행을 저지르자 文王이 죽인 것이다.
注+管叔蔡叔周公을 해치려고 하였기 때문에 주공이 죽인 것이다. 注+虛僞를 일삼는 선비를 太公이 죽인 것이다. 注+管仲付乙을 죽인 것이다. 注+子産史何를 제거한 것이다.
이 일곱 사람이注+이상 일곱 사람이다. 모두 시대는 다르지만 똑같이 죽임을 당한 것은注+ 태어난 시대는 같지 않으나 주벌 당한 것은 똑같은 것이다. 일곱 사람이 산 시대는 다르나 악행이 같았기 때문이다.注+ 이상 일곱 사람은 서로 다른 시대에 태어났으나 그 악행이 같은 것이다. 그래서 용서할 수 없었던 것이다.注+ 그 죄악을 모두 용서할 수 없는 것이다.
詩經≫에 이르기를, “근심스러운 마음으로 걱정한 것은注+毛詩≫에 말하기를 “근심스러운 마음으로 걱정한 것이다.”라고 한 것이다. 소인들의 악행에 화가 났기 때문이라네.”
注+ 바로 小人들의 악행에 화가 난 것이다.라고 하였으니, 소인이 당파를 만드는 것이注+ 소인이 무리를 이루어 黨派를 결성하는 것이다. 참으로 근심스러운 것이다.注+ 이것이 근심스러운 일이라고 한 것이다.


역주
역주1 2-2 : 저본의 표제에 “공자가 소정묘를 誅罰하다.[孔子誅少正卯]”라고 되어 있다.
역주2 두 개의 觀闕 : 궁문 앞에 세운 두 개의 높은 樓臺를 말한다. ≪禮記集說大全≫ 〈禮運〉에 “양관은 문의 양쪽 곁에 있는데, 국가 典章(법)의 내용을 위에 걸어 두어 사람에게 보인다.[兩觀在門之兩旁 懸國家典章之言於上以示人也]”라고 하였다.
역주3 湯임금은……죽였고 : 이 두 가지 사건은 다른 문헌에 보이지 않고, 다만 ≪荀子≫ 〈宥坐〉에 “湯은 尹諧를 죽였고 文王은 潘止를 죽였다.[湯誅尹諧 文王誅潘止]”라는 기록이 보인다.
역주4 周公은……죽였고 : 周 武王이 죽고 어린 아들 成王이 그 뒤를 잇게 되어 숙부인 周公이 섭정할 때 주공의 형제들인 管叔과 蔡叔 등이 반란을 일으켰는데, 주공은 반란을 진압한 다음 관숙을 처형하고 채숙을 추방하였다.(≪史記≫ 권35 〈管蔡世家〉)
역주5 太公은……죽였고 : 華士는 사람 이름인 동시에 虛僞를 일삼는 선비를 말한다. 太公望이 功을 세워 齊나라에 봉해졌는데, 동해 가에 살던 狂矞(광율)과 華士 두 사람이 신하되기를 거부하자, 태공이 이들을 죽였다. 주공이 그 이유를 묻자 태공이 말하기를, “이들은 스스로 어진 賢士라고 하나 군주에게 등용되려 하지 않고, 행실은 매우 어질다고 하나 세상에 쓰이려 하지 않습니다. 이 때문에 죽인 것입니다.” 하였다.(≪韓非子≫ 〈外儲說 右上〉)
역주6 管仲……죽였고 : 管仲은 춘추시대 齊나라의 名相으로 桓公으로부터 숙부의 칭호를 들으며 부국강병의 정치를 이룩하여 제후를 규합하고 천하를 통일함으로써 환공으로 하여금 春秋 五霸의 으뜸이 되게 만들었다. 관중이 付乙을 죽인 일은 보이지 않는다. ‘付乙’은 ≪荀子≫ 〈宥坐〉에 ‘付里乙’로 되어 있다.
역주7 子産은……죽였다 : 子産은 춘추시대 鄭나라 公孫僑이다. 네 조정에서 계속 재상으로 있으면서 뛰어난 외교수완을 발휘하여 당시 약소국이었던 정나라를 무사하게 보전하였다. 자산이 史何를 죽인 일은 보이지 않는다. ≪荀子≫ 〈宥坐〉에는 “자산이 鄧析과 史付를 죽였다.[子産誅鄧析史付]”라고 되어 있다.
역주8 詩經에……때문이라네 : 이 말은 ≪詩經≫ 〈國風 柏舟〉에 보인다. 朱熹는 이 구절이 본래 衛나라의 어진 사람이 여러 소인들에게 노여움을 받은 것이라고 하였는데, 여기에서는 여러모로 근심하는 이유가 소인들의 악행에 화가 나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역주9 : 慶長本에는 ‘宮’으로 되어 있다.

공자가어(1) 책은 2020.12.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