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孔子家語(1)

공자가어(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공자가어(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三年之喪畢하고 見於孔子한대 子曰 與之琴하라하고 使之絃한대
侃侃而樂하고 作而曰 先王制禮 [不敢不及이로이다 子曰 君子也 閔子三年之喪畢하고 見於孔子한대
子曰 君子也 子貢曰 閔子哀未盡이어늘 夫子曰君子也라하시고 子夏哀已盡이어늘 又曰君子也라하시니이다
二者殊情이로대 而俱曰君子라하시니 賜也하여 敢問之하노이다
孔子曰 閔子哀未忘이어늘 能斷之以禮하고 子夏哀已盡이어늘 能引之及禮하니 雖均之君子라도 不亦可乎


자하가 三年喪을 마치고 공자를 뵙자, 공자가 말하였다. “거문고를 주어라.” 그리고 거문고를 타게 하였는데,
和樂하고 즐겁게 연주하고는 일어나 말하였다. “先王이 제정한 예이기 때문에 감히 喪期를 채우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공자가 말하였다. “군자이다.” 閔子騫이 삼년상을 마치고 공자를 뵙자,
閔子騫閔子騫
공자가 말하였다. “거문고를 주어라.” 그리고 거문고를 타게 하였는데, 애절하고 슬프게 연주하고는 일어나 말하였다. “선왕이 제정한 예이기 때문에 감히 喪期를 연장할 수 없었습니다.”
공자가 말하였다. “군자이다.” 자공이 물었다. “민자건은 슬픔이 다하지 않았는데 부자께서 군자라고 하시고, 자하는 슬픔이 이미 다했는데 또 군자라고 하셨습니다.
두 사람은 감정이 서로 다른데 모두 군자라고 하시니, 저는 의혹되어 감히 그 이유를 묻습니다.”
공자가 말하였다. “민자건은 슬픔을 잊지 못하였는데도 예로써 끊었고 자하는 슬픔이 이미 다했는데도 슬픈 감정을 연장하여 예에 이르렀다. 그러니 비록 모두 군자라고 하더라도 또한 옳지 않겠는가.”


역주
역주1 15-4 : 이 부분은 四部叢刊本을 저본으로 하였다.
역주2 (子貢)[子夏] : 저본에는 ‘子貢’으로 되어 있으나, 뒤의 내용과 ≪說苑≫ 〈修文〉에 의거하여 ‘子夏’로 바로잡았다.
역주3 [不敢不及……先王制禮] : 이 부분은 저본에는 없으나, ≪詩經≫ 〈素冠〉의 毛序와 ≪說苑≫ 〈修文〉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역주4 (或)[惑] : 저본에는 ‘或’으로 되어 있으나, ≪說苑≫ 〈修文〉에 의거하여 ‘惑’으로 바로잡았다.

공자가어(1) 책은 2020.12.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