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孔子家語(1)

공자가어(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공자가어(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子曰 夫道者 所以明德也注+人所通行之謂道 足於己之謂德이니 依道而行者 所以昭之德也 德者 所以尊道也注+人之有德이라야 所行之道 乃尊重이라 是以非德이면 道不尊注+人無德이면 則道不尊이라하고 非道 德不明注+非遵道而行이면 則不明其德이라이니라
是故 昔者 明王注+故古之哲王이라內修七敎注+在內則修其敎法 有七事하고 外行三至注+在外則行三至之道 至者 至極之理하시니 七敎修然後 可以守注+明王修七敎 則可守國이라하고 三至行然後 可以征注+三至旣行이면 則可行征伐之事이라
故曰 內修七敎而上不勞注+在內能修七敎 則君不勞而治하고 外行三至而財不費注+在外旣行三至 則國無所費라하니 此之謂明王之道也注+明王之道如此


공자가 말하였다. “라는 것은 을 밝히는 것이고注+사람들이 보편적으로 행하는 것을 라고 하고 자기에게 충족된 것을 이라고 하니, 도에 따라 행하는 것은 나의 덕을 밝히는 것이다. 이라는 것은 를 높이는 것이다.注+사람은 덕이 있어야 행하는 도가 이에 높아지고 중해지는 것이다. 이 때문에 덕이 아니면 도가 높아지지 않고注+사람이 덕이 없으면 도가 높아지지 않는 것이다. 도가 아니면 덕이 밝아지지 않는다.注+도를 따라 행하지 않으면 그 덕을 밝힐 수 없는 것이다.
이런 까닭에 옛날 明王注+‘그러므로 옛날 明哲한 왕의 경우에는’의 뜻이다. 안으로는 七敎를 닦고注+안으로는 일곱 가지의 敎法을 닦은 것이다. 밖으로는 三至를 행하였다.注+밖으로는 三至의 도를 행한 것이다. 는 지극한 이치이다. 칠교가 닦여진 뒤에야 나라를 지킬 수 있고注+명왕이 七敎를 닦으면 나라를 지킬 수 있는 것이다. 삼지가 행해진 뒤에야 정벌할 수 있는 것이다.注+三至가 행해졌으면 征伐하는 일을 행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안으로 칠교를 닦으면 윗사람이 수고롭지 않고,注+안으로 七敎를 닦으면 임금이 수고롭지 않아도 다스려지는 것이다. 밖으로 삼지를 행하면 재물이 낭비되지 않는다.’注+밖으로 三至를 행하면 나라에 낭비하는 것이 없는 것이다.라고 한 것이니, 이것을 명왕의 도라고 하는 것이다.”注+명왕의 도가 이와 같은 것이다.


역주
역주1 3-2 : 저본의 표제에 “안으로는 七敎를 닦고, 밖으로는 三至를 행하다.[內修七敎 外行三至]”라고 되어 있다.
역주2 : 江陵本에는 ‘君’으로 되어 있다.

공자가어(1) 책은 2020.12.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