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孔子家語(1)

공자가어(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공자가어(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公曰 寡人聞郊而莫同 何也注+定公問夫子曰 郊禮有不同 何也잇고잇고 孔子曰 郊之祭也 迎長日之至也注+周人以冬至日長故 迎而祭之
大報天而主日하고 配以月注+大禮答天神하니 以日爲中하고 合其月而祭이라 故周之始郊 其月以日至注+故周家初郊 取冬至之日也하고 其日用上辛注+謂十一月上旬辛日이라하며 至於啓蟄之月하여는 則又祈穀于上帝注+至蟄虫開戶之時하여는 又爲農祈年于天帝하니
此二者 乃天子之禮也注+此二祀 乃天子所行之禮 魯無冬至大郊之事注+魯國無冬至郊天之禮 降殺注+ 色界切이라於天子 是以不同也注+公降天子一等이라 其祀天之禮有減殺 故不同也니이다


29-2 정공이 물었다. “과인은 郊祭가 나라마다 같지 않다고 들었습니다. 어째서입니까?”注+정공이 부자에게 묻기를, “교제의 예가 나라마다 같지 않은 것은 어째서입니까?”라고 한 것이다. 공자가 대답하였다. “교제는 장차 길어질 해가 이르는 것을 맞이하는 것입니다.注+주나라 사람은 동지에 해가 길어진다고 여겼기 때문에 맞이하여 제사 지낸 것이다.
하늘의 은덕에 크게 보답하는데 해를 로 하고 달을 배향합니다.注+크게 天神에게 예로 보답하는데 해를 주로 하고 달을 함께 제사 지내는 것이다. 그러므로 주나라에서 처음 교제를 지낼 때에, 달은 동짓달을 쓰고注+그러므로 주나라에서 처음 교제를 지낼 때에 동짓달의 날을 취한 것이다. 날은 上旬辛日을 썼으며,注+11월 상순의 辛日을 말하는 것이다. 冬眠하던 벌레가 나오는 달(正月)에 이르러서는 또 상제에게 祈穀祭를 올렸습니다.注+冬眠하던 벌레가 나오는 때에 이르러서는 또 농사를 위해 天帝에게 풍년이 들기를 기원하는 것이다.
이 두 가지는 바로 천자가 행하는 예입니다.注+이 두 제사는 바로 천자가 행하는 예이다. 노나라에서 동지에 크게 교제를 지내지 않는 것은注+노나라는 동지 때 하늘에 교제를 지내는 예가 없었던 것이다. 천자보다 낮추어야 하기 때문입니다.注+頭註:(낮추다)는 反切이다. 그러므로 같지 않은 것입니다.”注+은 천자보다 한 등급이 낮으니 하늘에 제사 지내는 예를 낮추어야 하기 때문에 같지 않은 것이다.


역주
역주1 : 여기서 谷은 穀(곡식)의 의미로 쓰였다.

공자가어(1) 책은 2020.12.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