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孔子家語(1)

공자가어(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공자가어(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公曰 敢問何謂敬身이니잇고 孔子對曰 君子過言이라도 則民作辭하고 過行이라도 則民作則하나니
言不過辭하고 動不過則이면 百姓恭敬以從命이라 若是 則可謂能敬其身이요 則能成其親矣리이다
公曰 何謂成其親이니잇고 孔子對曰 君子者也 人之成名也 百姓與名하여 謂之君子 則是成其親爲君而爲其子也니이다
孔子遂言曰 愛政而不能愛人이면 則不能成其身이요
不能成其身이면 則不能安其土 不能安其土 則不能樂天注+天道也이니이다


애공이 물었다. “감히 묻습니다. 무엇을 敬身(자신의 몸을 공경함)이라고 합니까?” 공자가 대답하였다. “군자(爲政者)가 잘못된 말을 하더라도 백성들이 바른 말로 여기고 잘못된 행동을 하더라도 백성들이 법칙으로 여기니,
말이 바른 말에서 벗어나지 않고 행동이 법칙에서 벗어나지 않으면 백성들은 공경하여 명령을 따릅니다. 이렇게 되면 자신의 몸을 공경하고 어버이의 명예를 이룰 수 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애공이 물었다. “무엇을 成親(어버이의 명예를 이룸)이라고 합니까?” 공자가 대답하였다. “君子 사람인데, 백성이 그에게 이름을 부여하여 君子라고 하면 그 어버이의 명예를 이루어 이 되게 하고 자신은 가 되는 것입니다.”
공자가 마침내 말하였다. “사람을 사랑하는 정치를 하면서 사람을 사랑하지 않으면 자신의 몸을 이룰 수 없고,
자신의 몸을 이룰 수 없으면 그 땅에서 편안하게 지낼 수 없고, 그 땅에서 편안하게 지낼 수 없으면 注+樂天은〉 天道이다.


역주
역주1 4-3 : 이 부분은 四部叢刊本을 저본으로 하였다.
역주2 명예를 이룬 : 명성이나 명예를 수립한다는 말로, ≪論語≫ 〈里仁〉에 “군자가 仁을 떠나면 어떻게 명예를 이룰 수 있겠는가.[君子去仁 惡乎成名]”라고 하였다.
역주3 天道를……없습니다 : 天命을 편안하게 여겨 스스로 즐길 수 없다는 말로, ≪周易≫ 〈繫辭傳 上〉에 “天道를 즐기고 天命을 알기 때문에 근심이 없고, 처하는 곳마다 편히 여기면서 仁德을 돈후하게 지니기 때문에 사람을 제대로 사랑할 수 있는 것이다.[樂天知命 故不憂 安土敦乎仁 故能愛]”라고 하였다.

공자가어(1) 책은 2020.12.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