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孔子家語(1)

공자가어(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공자가어(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子路問於孔子曰 管仲之爲人 何如잇고 子曰 仁也注+得仁道也니라 子路曰 昔管仲說襄公이어늘 公不受하니 是不辯也
欲立公子糾而不能하니 是不智也注+齊襄立 無常이어늘 鮑叔牙曰 君使民慢하니 亂將作矣라하고 奉公子小白하여 出奔莒하고 公孫無知殺襄公이어늘 管夷吾召忽奉公子糾하여 奔魯 齊人殺無知한대 魯伐齊하여 納子糾어늘 小白自莒先入하니 是爲桓公이라 公乃殺子糾어늘 召忽死之也 家殘於齊어늘 而無憂色하니 是不慈也
桎梏而居檻車어늘 無慙心하니 是無醜也注+言無恥惡之心이라 事所射之君하니 是不貞也
召忽死之어늘 管仲不死하니 是不忠也 仁人之道 固若是乎잇가
孔子曰 管仲說襄公이어늘 襄公不受 公之闇也 欲立子糾而不能 不遇時也
家殘於齊어늘 而無憂色 是知權命也 桎梏而無慙心 自裁審也 事所射之君 通於變也
不死子糾 量輕重也 夫子糾未成君하고 管仲未成臣하니 管仲才度義
管仲不死하고 束縛而立功名하니 未可非也 召忽雖死 過與取仁 未足多也니라


자로가 공자에게 물었다. “管仲의 사람됨은 어떻습니까?” 공자가 대답하였다. “하다.”注+仁道를 얻은 것이다. 자로가 물었다. “예전에 관중이 襄公에게 유세하였는데도 양공이 받아들이지 않았으니 이는 말재주가 없는 것입니다.
管仲管仲
公子 를 왕으로 세우려고 하였으나 그렇게 하지 못했으니 이는 지혜롭지 못한 것입니다.注+제 양공이 즉위하여 無道하자, 포숙아가 말하기를 “임금이 백성으로 하여금 不信하게 하니 난리가 일어날 것이다.”라고 하고 공자 小白을 모시고 나라로 出奔하였고, 公孫無知가 양공을 시해하자 管夷吾(管仲)와 소홀은 공자 규를 모시고 노나라로 出奔하였다. 제나라 사람이 공손무지를 죽이자 노나라가 제나라를 공격하여 공자 규를 들여보냈는데, 소백이 거나라에서 먼저 제나라로 들어갔으니 이 사람이 桓公이다. 환공이 마침내 공자 규를 죽이자 소홀은 따라 죽은 것이다. 집안이 제나라에서 망했는데도 근심하는 낯빛이 없었으니 이는 자애롭지 못한 것입니다.
차꼬를 찬 채 檻車에 갇혀 있었는데도 부끄러워하는 마음이 없었으니 이는 부끄러워할 줄 모르는 것입니다.注+羞惡之心이 없다는 말이다. 자신이 쏘아서 죽이려던 임금을 섬겼으니 이는 貞操가 없는 것입니다.
召忽은 죽었는데 관중은 죽지 않았으니 이는 不忠한 것입니다. 仁人가 참으로 이와 같습니까?”
공자가 대답하였다. “관중이 양공에게 유세하였는데도 양공이 받아들이지 않은 것은 양공이 사리에 어두웠기 때문이고, 공자 규를 왕으로 세우려고 하였으나 그렇게 못한 것은 때를 만나지 못하였기 때문이고,
집안이 제나라에서 망했는데도 근심하는 낯빛이 없었던 것은 時命을 헤아릴 줄 알았기 때문이고, 차꼬를 찬 상태에서도 부끄러워하는 마음이 없었던 것은 스스로 헤아리고 살폈기 때문이고, 자신이 쏘아서 죽이려던 임금을 섬긴 것은 변화에 통달하였기 때문이고,
공자 규를 따라 죽지 않은 것은 生死의 경중을 헤아렸기 때문이다. 당시 공자 규가 임금이 되지 않았고 관중도 신하가 되지 않았으니 관중은 다만 무엇이 의에 맞는지를 헤아린 것이다.


역주
역주1 8-6 : 이 부분은 四部叢刊本을 저본으로 하였다.
역주2 자로가……된다 : 이 부분은 자로가 관중이 仁한지를 묻자 공자가 몇 가지 예시를 들어 설명한 대목이다. ≪論語≫ 〈憲問〉에도 관중의 인에 대해 공자와 제자간의 묻고 답한 내용이 보인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자로가 말하기를 ‘桓公이 公子 糾를 죽이자 召忽은 죽었고 관중은 죽지 않았으니, 관중은 인하지 못합니다.’ 하니, 공자가 대답하기를 ‘환공이 제후들을 糾合하되, 武力을 쓰지 않은 것은 관중의 힘이었다. 누가 그의 仁만 하겠는가. 누가 그의 인만 하겠는가.’ 하였다. 또 자공이 말하기를 ‘관중은 仁者가 아닐 것입니다. 환공이 공자 규를 죽였는데, 죽지 않고 또 환공을 도와주었으니 말입니다.’ 하니, 공자가 답하기를 ‘관중이 환공을 도와 제후의 霸者가 되어 한 번 천하를 바로잡아 백성들이 지금까지 그 혜택을 받고 있다. 그러니 관중이 아니었다면 우리는 오랑캐처럼 머리를 풀고 옷깃을 왼편으로 하고 있을 것이다. 어찌 관중이 匹夫匹婦처럼 알아주는 이 없이 작은 信義를 위하여 스스로 도랑에서 목매어 죽겠는가.’ 하였다.[子路曰 桓公殺公子糾 召忽死之 管仲不死 曰未仁乎 子曰 桓公九合諸侯 不以兵車 管仲之力也 如其仁如其仁 子貢曰 管仲非仁者與 桓公殺公子糾 不能死 又相之 子曰 管仲相桓公霸諸侯 一匡天下 民到于今 受其賜 微管仲 吾其被髮左衽矣 豈若匹夫匹婦之爲諒也 自經於溝瀆而莫之知也]”

공자가어(1) 책은 2020.12.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