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孔子家語(1)

공자가어(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공자가어(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子路盛服하고 見於孔子한대 子曰 由 是倨倨者何也 夫江始出於岷山 其源可以濫觴注+ 可以盛酒 言其微이어늘
及其至于江津하여는 不舫舟하고 不避風이면 則不可以涉하니 非唯下流水多耶
今爾衣服旣盛하고 顔色充盈하니 天下且孰肯以非告汝乎 子路趨而出하여 改服而入한대 蓋自若也
子曰 由 志之하라 吾告汝호리라 奮於言者華注+自矜奮於言者 華而無實이라하고 奮於行者伐注+自矜奮行者 是自伐이라하니 夫色智而有能者 小人也
故君子知之曰智 言之要也 不能曰不能 行之至也 言要則智 行至則仁이라 旣仁且智하니 惡不足哉리오


자로가 잘 차려입고 공자를 뵙자, 공자가 말하였다. “야! 이렇게 거만한 것은 어째서인가? 강물이 에서 처음으로 나올 때에 그 근원은 술잔에 넘칠만한 정도인데,注+은 술을 담을 수 있는 것이니, 미미하다는 말이다.
강나루에 이르러서는 배를 타지 않거나 바람을 피하지 않으면 건널 수 없다. 이는 아래로 내려갈수록 물이 많아져서가 아니겠느냐.
지금 너의 의복은 매우 화려하고 안색은 거만하니, 천하 사람들이 또 누가 너에게 잘못을 말해주려 하겠느냐.” 자로가 종종걸음으로 나갔다가 옷을 바꿔 입고 들어왔는데 거만한 모습은 그대로였다.
공자가 말하였다. “유야! 기억해 두어라. 내가 너에게 말해주겠다. 우쭐대며 말하는 자는 화려한 것일 뿐이고注+스스로 우쭐대며 말하는 자는 화려할 뿐 실속이 없는 것이다. 우쭐대며 행동하는 자는 자랑하는 것일 뿐이니,注+스스로 우쭐대며 행동하는 자는 스스로 자랑할 뿐인 것이다. 겉으로 지혜가 있고 능력이 있는 체하는 자는 소인이다.
그러므로 군자가 아는 것을 안다고 말하는 것은 말의 요령이고, 하지 못하는 것을 하지 못한다고 말하는 것은 행동의 준칙이다. 말에 요령이 있으면 지혜롭고 행동에 준칙이 있으면 어질다. 이미 어질고 지혜로운데 어찌 부족하겠느냐.”


역주
역주1 9-7 : 이 부분은 四部叢刊本을 저본으로 하였다.
역주2 岷山 : 四川省 북부에 있는 높고 험한 산으로, 양자강의 근원이다.

공자가어(1) 책은 2020.12.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