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孔子家語(1)

공자가어(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공자가어(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好生 第十注+舜之爲政 好生而惡殺이라 因以名篇하니라
魯哀公問於孔子曰注+哀公問夫子 昔者 舜冠何冠注+ 上去聲이요 下如字注+古之舜帝 戴何冠冕잇고 對曰 君之問 不先其大者注+夫子言 公之所問 不先大道로이다
公曰 其大 何乎注+公問 所謂大者 何事잇고 孔子曰 舜之爲君也注+好惡 竝去聲이라 其政 好生而惡注+子言 舜帝之爲人君이라注+其爲政事 好生惡殺이라하고 其任 授賢而替不肖注+其用人 則取其賢者하고 去其不肖者하며
德若天地而靜虛注+德之大 如天地하여 이라하고 化若四時而變物注+神化使民 如四時之變化萬物이라이라 是以四海承風하여 暢於異類注+天下咸奉承其風敎하여 以及於夷狄하여 皆仰舜德이라하고
鳳翔麟至하여 鳥獸馴德注+鳳鳥至麒麟出하여 禽獸皆順其德이라하니 無他也注+其他無事 好生故也注+惟行好生之政이라 故能如此니이다


제10편 살리기를 좋아함注+임금이 정치를 할 때에 살리기를 좋아하고 죽이기를 싫어하였으므로, 이로 인하여 편명을 붙인 것이다.
孔子가 고대의 역사적 사실에 대하여 평론한 말들을 기록한 편이다. 첫 문장에서 의 임금됨을 말하면서 “임금이 군주로 있을 때 그 정치는 살리기를 좋아하고 죽이기를 싫어하였다.[舜之爲君也 其政好生而惡殺]”라는 ≪書經≫의 구절을 인용하여 말했으므로, 편명을 ‘好生’이라고 하였다. 그 외에 ≪詩經≫을 인용한 부분도 곳곳에 보이는데, 이를 통해 공자가 六經을 바탕으로 제자들을 가르쳤음을 알 수 있다.
10-1 哀公이 공자에게 물었다.注+애공이 부자에게 물은 것이다. “옛날 임금은 어떤 관을注+은 위는 去聲(쓰다)이고 아래는 본래 글자의 의미(관)이다. 쓰셨습니까?”注+옛날 순임금은 어떤 면류관을 썼느냐고 한 것이다. 공자가 대답하였다. “임금의 질문이 大道를 우선시하지 않는군요.”注+부자가 말하기를 “공의 질문이 大道를 우선시하지 않는군요.”라고 한 것이다.
애공이 물었다. “대도란 무엇입니까?”注+애공이 묻기를 “말씀하신 대도는 어떠한 일입니까?”라고 한 것이다. 공자가 대답하였다.
“순임금이 군주로 있을 때注+頭註:(좋아하다)와 (미워하다)는 모두 去聲이다. 그 정치는 살리기를 좋아하고 죽이기를注+공자가 순임금이 군주로 있었을 때는 다음과 같았다고 말한 것이다. 싫어하였고,
注+그 정사는 살리기를 좋아하고 죽이기를 싫어한 것이다. 그 등용은 어진 자에게 맡기고 무능한 자를 버렸습니다.注+그 사람을 들어 쓰는 것은 어진 자를 취하고 무능한 자를 버린 것이다.
그리고 그 덕은 천지처럼 고요하고 비었으며注+덕은 천지처럼 커서 비고 고요한 것이다. 교화는 四時처럼 만물을 변화시켰습니다.注+신묘한 교화로 백성을 부림은 사시가 만물을 변화시키듯 한 것이다. 이 때문에 온 천하가 風敎를 받들어 이민족에게까지 미쳤고,注+천하 사람들이 모두 그 風敎를 받들어서 夷狄에까지 미쳐 모두 순임금의 덕을 앙모한 것이다.
鳥獸까지 순임금의 덕에 귀의하였던 것입니다.注+봉황이 날아오고 기린이 세상에 나와 금수가 모두 그 덕에 귀의한 것이다. 이는 다른 이유가 아니라注+그밖에 달리 일삼은 것은 없는 것이다. 살리기를 좋아했기 때문입니다.”注+오직 살리기를 좋아하는 정치를 행하였기 때문에 이와 같을 수 있었던 것이다.


역주
역주1 순임금이……싫어하였고 : ≪書經≫ 〈大禹謨〉에 보이는 말로, 법관인 皐陶가 순임금의 好生之德을 찬양하면서 “죄가 의심스러운 경우는 벌을 가볍게 하시고 공이 의심스러운 경우는 상을 후하게 주셨으며, 죄 없는 자를 죽이느니 차라리 정상적인 법대로 하지 않는 실수를 하시겠다고 하여 살리기를 좋아하는 덕이 민심에 흡족합니다.[罪疑惟輕 功疑惟重 與其殺不辜 寧失不經 好生之德 洽于民心]”라고 하였다.
역주2 봉황이……와서 : 봉황과 기린은 모두 성인이 나타나면 출현하는 새와 짐승으로 태평시대의 상서로운 조짐을 뜻한다.
역주3 虛而靜 : 江陵本과 慶長本에는 ‘虛一而靜’으로 되어 있다.

공자가어(1) 책은 2020.12.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