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孔子家語(1)

공자가어(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공자가어(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孔子曰 小辯害義注+夫子言 小人口辯 害正義하고 小言破道注+小人言語 破碎大道 關雎興于鳥而君子美之注+毛詩關雎篇 以鳥取興호되 君子美其詩 取其雌雄之有別注+取其匹偶有分別이라이요
鹿鳴興于獸而君子大之注+鹿鳴篇 以獸取興호되 君子大其詩 取其得食而相呼注+取鹿相呼喚而食之意 若以鳥獸之名嫌之인댄 固不可行也注+如嫌其鳥獸之名하여 而不取其義 固不可以言詩니라


공자가 말하였다. “小人口辯를 해치고注+부자가 말하기를 “소인의 口辯正義를 해친다.”라고 한 것이다. 소인의 언어는 를 깨뜨린다.注+소인의 언어는 大道를 깨뜨려 부수는 것이다.
關雎(관저)〉는 새를 보고 을 취하였는데도 군자가 찬미한 것은注+毛詩≫의 〈關雎〉는 새를 보고 을 취하였는데도 군자가 그 시를 찬미한 것이다. 암수의 분별이 있는 점을 취하였기 때문이고,
注+암수 짝이 분별이 있는 점을 취하였기 때문인 것이다.
鹿鳴〉은 짐승을 보고 흥을 취하였는데도 군자가 훌륭하게 여긴 것은注+鹿鳴〉은 짐승을 보고 을 취하였는데도 군자가 그 시를 훌륭하게 여긴 것이다. 먹을 것을 얻으면 서로 부르는 뜻을 취하였기 때문이다.
注+사슴끼리 서로 불러서 먹는 뜻을 취하였기 때문인 것이다. 만약 조수라는 이름만으로 싫어한다면 진실로 시를 말할 수 없을 것이다.注+만약 조수라는 이름을 싫어하여 그 좋은 뜻을 취하지 않는다면 진실로 시를 말할 수 없을 것이라고 한 것이다.


역주
역주1 10-11 : 저본의 표제에 “小人의 口辯이 義를 해치다.[小辯害義]”라고 되어 있다.
역주2 關雎는……때문이고 : 〈關雎〉는 ≪詩經≫ 國風의 편명으로, 그 가사를 보면 “정답게 우는 물수리는 河水의 모래섬에 있도다. 얌전하고 고운 숙녀는 군자의 좋은 짝이로다.[關關雎鳩 在河之洲 窈窕淑女 君子好逑]”라고 하여 새를 보고서 詩想을 일으켰다. 朱熹의 주에 “이 시는 부부간에 서로 더불어 화락하면서도 공경함이 또한 물수리가 정이 두터우면서도 분별이 있는 것과 같음을 말한 것이다.”라고 하였다. 興은 시의 수사법의 하나로, 먼저 다른 사물을 말하여 읊을 말을 이끌어내는 것이다.
역주3 鹿鳴은……때문이다 : 〈鹿鳴〉은 ≪詩經≫ 小雅의 편명으로, 그 가사를 보면 “사슴이 울면서 들판에서 쑥을 뜯네. 나에게 반가운 손님들 있어, 비파 뜯고 피리도 부노라.[呦呦鹿鳴 食野之苹 我有嘉賓 鼓瑟吹笙]”라고 하여 사슴을 보고 詩想을 일으켰다. 주희의 주에 “先王이 먹고 마시고 모일 때를 인하여 燕饗의 예를 제정해서 상하 사람들의 情을 통하게 하였고, 그 樂歌는 또 사슴이 우는 것으로 興을 일으켰다.”라고 하였다.

공자가어(1) 책은 2020.12.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