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孔子家語(2)

공자가어(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공자가어(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先聖歷聘紀年之圖
二歲至三十歲 在魯하다
三歲 叔梁紇卒하다
十九歲井官氏하다
二十歲 子鯉生하다 爲乘田하고 爲委吏하다
二十四歲 母顔氏卒하다
二十七歲 適郯하다
二十九歲 適晉하여 學鼓琴하다
三十四歲 適周하여 問禮老聃하며 訪樂萇弘하고 反魯하다
三十五歲 適齊하여 留七年하다 又本適周 留齊 共七年이라
四十二歲 反魯하여 留十四年하다
五十一歲 爲中都宰하다
五十二歲 爲司空하고 爲司寇하다
五十六歲 攝行相事하여 與聞國政三月하다
五十六歲 適衛라가 十月去衛하여 過匡할새 匡人圍之하다
過蒲하여 復反衛하고 去衛過曹適宋하니 司馬相魋害之어늘 適鄭하다
五十七歲 自鄭適陳하여 留三年하다
五十九歲 適衛하고 去適晉이라가 及河하여 復反衛하고 如陳하여 留一年하다
六十一歲 自陳適蔡하다
六十二歲 自蔡如葉이라가 復去葉하여 反蔡하다
六十三歲 留陳蔡間할새 楚昭王聘之하니 蔡陳發徒하여 圍于野하다 適楚不用하니 反衛하다
六十四歲 在衛留五年하다
六十六歲 夫人井官氏卒하다
六十八歲 魯以幣迎孔子하니 遂自衛反魯하다 不仕하고
迺敍書하며 傳禮하며 刪詩하며 正樂하며 序易하며 修春秋하다
六十九歲 子鯉卒하다
七十一歲 感獲麟하여 而春秋絶筆하다
七十三歲夏四月己丑하고 五月 葬城北泗水上하다


先聖께서 차례로 聘問한 연대기의 도표
2세에서 30세까지 나라에 살다.
3세에 〈부친〉 叔梁 이 죽다.
19세에 나라 에게 장가들다.
20세에 아들 가 태어나다. 이 되다. 가 되다.
24세에 모친 顔氏가 죽다.
27세에 땅에 가다.
29세에 에 가서 을 연주하는 것을 배우다.
34세에 나라에 가서 老聃에게 예를 묻고, 萇弘에게 을 묻고 노나라로 돌아오다.
訪樂萇弘訪樂萇弘
35세에 나라에 가서 7년을 머물다. 또 본래 주나라에 간 것과 제나라에 머문 것이 모두 7년이 된다.
42세에 나라로 돌아가 14년을 머물다.
51세에 가 되다.
52세에 이 되다. 가 되다.
56세에 재상의 일을 섭정하여 3개월간 국정을 다스리다.
땅을 지나 다시 위나라로 돌아가다. 나라를 지나 나라로 가다. 나라로 가다.
57세에 나라에서 나라로 가서 3년을 머물다.
61세에 나라에서 나라로 가다.
62세에 나라에서 땅으로 갔다가 다시 섭 땅을 떠나 채나라로 돌아오다.
63세에 진나라와 채나라 사이에 머물 적에 昭王이 초빙하니, 채나라와 진나라에서 무리를 보내 들에서 포위하다. 초나라에 갔으나 쓰이지 못하고 위나라로 돌아오다.
64세에 위나라에서 5년 간 머물다.
66세에 부인 井官氏가 죽다.
68세에 노나라에서 폐백으로써 공자를 맞이하여 마침내 위나라에서 노나라로 돌아갔으나 벼슬을 하지 않고
≫를 서술하고 를 전하고 ≪≫를 산삭하고 을 바로잡고 ≪周易≫을 차례 짓고 ≪春秋≫를 수찬하다.
69세에 아들 가 죽다.
71세에 기린이 잡힌 것에 충격을 받고 ≪春秋≫를 절필하다.
西狩獲麟西狩獲麟
73세 여름 4월 기축일에 돌아가시다. 5월 성 북쪽 泗水 가에 장사 지내다.


역주
역주1 井官氏 : ‘丌官氏’, ‘亓官氏’, ‘幷官氏’ 등 書種과 판본에 따라 표기가 상이하다.
역주2 (朱)[宋] : 底本에는 ‘朱’로 되어 있으나, ≪孔子家語≫ 〈本姓解〉에 의거하여 ‘宋’으로 바로잡았다.
역주3 乘田 : 노나라의 관직명으로, 가축을 기르는 말단 관리이다. ≪孟子注疏≫ 趙岐의 注에 “乘田은 동산의 관리이다. 여섯 가지 가축을 기르는 것을 주관하는 자이다.[乘田 苑囿之吏也 主六畜之芻牧者也]”라고 하였다.
역주4 委吏 : 노나라 관직명으로, 창고 지키는 관리이다. ≪孟子注疏≫ 趙岐의 注에 “委吏는 창고에 비축하는 것을 주관하는 관리이다.[委吏 主委積倉庾之吏也]”라고 하였다.
역주5 中都宰 : 中都를 다스리는 지방관이다. 中都는 산동 지방의 汶上에 있던 도성이다.
역주6 司空 : 西周 시기 설치된 다섯 관직 가운데 하나로, 치수 및 토목공사를 맡아보던 벼슬이다.
역주7 司寇 : 西周 시기 설치된 다섯 관직 가운데 하나로, 형벌 및 규찰을 담당했던 벼슬이다.
역주8 10개월……떠나다 : 어떤 자가 衛 靈公에게 공자를 참소하여 위 영공이 公孫余假에게 공자를 감시하도록 하였으므로, 공자가 죄를 얻지나 않을까 걱정하여 떠난 것이다.(≪史記≫ 〈孔子世家〉)
역주9 匡……포위하다 : 예전에 노나라에서 난을 일으켰던 陽虎가 匡 땅에 와서 포악한 짓을 하였는데, 광 땅 사람들이 공자의 무리를 양호 무리로 오인하여 5일간 억류했던 일을 가리킨다.(≪史記≫ 〈孔子世家〉)
역주10 위나라를 떠나서 : 위 영공이 아내 南子와 같은 수레를 타고 환관 雍渠를 侍者로 태우고 宮門을 나서 거만하게 다니면서, 공자를 다른 수레에 태워 뒤따라오게 하였다. 공자가 위 영공이 여색을 좋아하고 덕을 쌓는 데 게으른 모습에 실망하여 위나라를 떠난 것이다.(≪史記≫ 〈孔子世家〉)
역주11 司馬相魋가 해치자 : 공자가 큰 나무 아래에서 제자들에게 예에 대하여 강론할 때, 사마상퇴가 공자를 살해하려고 큰 나무를 뽑아버린 일을 가리킨다.(≪史記≫ 〈孔子世家〉)
역주12 衛나라에……돌아갔다가 : 위 영공이 공자를 제대로 쓰지 못하자 공자가 趙簡子를 만나기 위해 떠났으나, 하수를 건너려고 할 때 조간자가 어진 대부 竇鳴犢과 舜華를 죽였다는 소식을 듣고는 실망하여 다시 돌아간 것이다. 그러나 위 영공이 공자와 대화 도중 날아가는 기러기를 보며 귀를 기울이지 않자 다시 위나라를 떠났다.(≪史記≫ 〈孔子世家〉)

공자가어(2) 책은 2020.11.3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