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孔子家語(2)

공자가어(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공자가어(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孔子世系之圖
左傳昭七年 魯大夫孟僖子將死할새 屬其大夫曰 吾聞將有達者하니 曰孔丘 聖人之後也 而滅於宋이라하니라
○齊太史子與 謂南宮敬叔曰 孔子 先聖之嗣 自弗父何以來 世有德讓이라 天所祚也라하니라
○家語曰 孔子之先 宋之後 殷微子啓 帝乙之元子 紂之庶兄이니 以圻內諸侯 入爲王卿士
國名이요이라 武王伐殷하고 封紂子武庚於朝歌하여 使奉湯祀러니
武庚 與管蔡霍叔亂周어늘 周公東征하여 罪人斯得하고 乃改命微子하고 後殷國於宋하다
啓卒 弟仲思衍 嗣微之後故 號微仲이라 二微 俱以微之號自終이라 至于稽하여 乃稱公하다
迨弗父何하여 以國讓弟厲公하니 何之後 遂世爲宋卿이라
至孔父嘉하여 五世親盡하니 別爲公族하여 始以孔爲氏라하니라
四十七代孫傅 推譜牒曰 鄭有孔張하니 出於子孔이요 衛有孔達하고 魏有孔悝하니 出於姬姓이라
皆非子氏後하니 蓋姓同而族異일새라 孔氏子姓 爲先聖後者 世爲魯人하여 同居祖廟라하니라


공자 世系의 도표
春秋左氏傳昭公 7년 조에 다음과 같이 실려 있다. 나라 대부 가 죽으려 할 때에 대부들을 불러놓고 말하였다. “내가 들으니 앞으로 통달할 이가 있는데 이름이 ‘孔丘’라 한다. 聖人(湯王)의 후예이나 나라 때 멸문하였다.”
○≪공자가어≫에 다음과 같이 실려 있다. “공자의 선조는 나라의 후손이다. 나라 元子이자 庶兄이다. 의 제후의 신분으로 들어와 왕의 卿士가 되었다.
微子微子
는 나라 이름이고, 는 작위이다. 武王이 은나라를 정벌하고 의 아들 에 봉하고 湯王의 제사를 받들게 하였다.
후에 주공이 동쪽으로 정벌하여, 죄인을 다스렸다. 그리고 봉작을 바꾸어 미자에게 주고, 은나라의 뒤를 송나라로 잇도록 하였다.
미자 계가 죽자 아우 仲思衍나라를 승계하였다. 그러므로 微仲이라고 부른다. 미자와 미중은 모두 ‘’라는 국호를 가지고 죽었고, 에 이르러 ‘’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弗父 에 이르러, 나라를 아우 厲公에게 양보하였고, 弗父 의 후손은 마침내 대대로 송나라의 을 지냈다.
47대 후손 孔傅譜牒을 따져서 말하였다. “나라에 이 있으니, 에서 나왔다. 나라에 이 있고 나라에 가 있으니 姬姓에서 나왔다.
모두 子氏의 후손이 아니니, 성은 같으나 종족은 다르기 때문이다. 孔氏 가운데 성이 인 이들이 선성의 후손이다. 대대로 노나라 사람으로, 함께 祖廟에 산다.”


역주
역주1 微仲 : 姓은 子, 이름은 衍, 호는 仲思이다. 周나라 제후국 宋나라의 2대 군주이다. 殷나라 왕 帝乙의 아들이자 제후국 송나라 시조인 微子 啓의 아우이다.
역주2 宋公 稽 : 姓은 子, 이름은 稽이다. 미중의 아들로, 아버지가 죽은 후 작위를 물려받아 송나라 3대 군주가 되었다.
역주3 丁公 申 : 성은 子, 이름은 申, 시호는 丁이다. 송공 계의 아들로, 아버지가 죽은 후 작위를 물려받아 송나라 4대 군주가 되었다.
역주4 襄公……方祀 : 불보 하와 여공의 아버지가 양공 희로 표기되어 있으나, ≪史記≫에 의거하였을 때 湣公 共이 되어야 옳을 것이다.
역주5 襄公 熙 : 宋 丁公의 아들로, 이름이 熙이다. 형인 宋 湣公이 죽은 후 작위를 물려받아 5대 군주가 되었으나, 자기가 작위를 물려받아야 마땅하다고 생각한 형의 아들 鮒祀에게 죽임을 당하였다. ≪史記≫ 〈宋微子世家〉에는 ‘煬公’으로 표기되어 있다.
역주6 弗父 何 : 성은 子, 이름은 何, 자는 弗父이다. 宋 湣公의 장자로, 아우 鮒祀가 즉위한 후 송나라 上卿에 봉해지고, 栗 땅을 채읍으로 받았다. 공자의 元祖이다.
역주7 厲公 方祀 : 성은 子이다. 이름은 ≪史記≫ 〈宋微子世家〉에는 ‘鮒祀’로 되어 있다. 송 민공의 둘째 아들로, 숙부 양공을 죽이고 즉위하였다. 작위를 형 불보 하에게 주었으나 형이 받지 않아 7대 군주에 올랐다.
역주8 宋父 周 : 弗父 何의 아들로, 송나라의 卿이었다.
역주9 世子 勝 : 宋父 周의 아들로, 송나라의 卿이었다.
역주10 正考父 : 世子 勝의 아들로, 戴公, 武公, 宣公의 세 임금을 섬겼으나 더욱더 공손하게 섬겼으며, 청렴결백한 인물이었다고 한다.
역주11 孔父 嘉 : ?~B.C. 710. 성은 子, 이름은 嘉, 자는 孔父이다. 宣公이 죽을 때 작위를 둘째 아들 穆公에게 물려주었다. 목공이 병이 깊자 공보 가를 불러서 작위를 자신의 아들이 아니라 형 殤公에게 줄 것을 부탁하였다. 공보 가가 반대하자 아들 公子 馮을 정나라로 떠나보내고 형에게 작위를 물려주었다. 상공이 즉위한 후 세 차례 정나라를 쳤는데, 大司馬인 공보 가가 대패하고 돌아왔다. 공보 가의 처에게 반해 있던 太宰 華督은 대패한 일로 백성이 원망한다는 말을 퍼뜨려 공보 가를 죽이고 처를 빼앗았으나 처는 도중에 자살하였다. 상공이 노하자, 화독은 상공을 죽이고 공자 풍을 정나라에서 맞이하여 세웠다.(≪史記≫ 〈孔子世家〉)
역주12 木金父 : 孔父 嘉의 아들로, 華督의 핍박을 피해 아들과 손자를 데리고 魯나라 鄒邑으로 이주하였고, ‘孔’을 姓으로 쓰기 시작하였다.
역주13 睾(고)夷 : 木金父의 아들이다. 노나라 대부로, 祁父라고도 불린다. 1723년 청의 雍正帝에 의해 裕聖王에 追封되었다.
역주14 防叔 : 睾夷의 아들이다. 노나라 防의 대부이다. 1723년 淸의 雍正帝에 의해 貽聖王에 追封되었다.
역주15 伯夏 : 防叔의 아들이다. 노나라 대부이다. 1723년 청의 雍正帝에 의해 昌聖王에 追封되었다.
역주16 叔梁紇 : 성은 孔, 이름은 紇, 자는 叔梁이다. 노나라 鄹邑의 대부이다. 施氏와 결혼하여 9명의 딸을 낳았고, 첩에게서 아들 孟皮를 얻었다. 70세에 顔徵在를 들여 공자를 낳았다.
역주17 孟皮 伯尼 : 성은 孔, 이름은 皮, 자는 伯尼이다. 孟皮 혹은 伯皮로 불린다. 숙량흘의 맏아들로, 정처에게서 딸밖에 없자 첩에게서 얻은 아들이다. 절름발이라 아버지의 작위를 이을 수 없었으므로, 만년에 숙량흘이 안씨를 들이게 된 원인이 되었다. 1남 1녀를 두었는데, 아들은 공자의 제자 72현 가운데 하나인 孔忠이고, 딸은 공자 제자인 南宮適에게 출가하였다.
역주18 丘 仲尼 : 공자이다. 이름은 丘, 자는 仲尼이다.
역주19 鯉 伯魚 : 성은 孔, 이름은 鯉, 자는 伯魚이다. 공자의 아들이다. 태어났을 때 魯 昭公이 잉어를 보내와 이름을 鯉라 지었다고 한다. 아버지보다 먼저 죽었다. 1102년 송의 徽宗에 의해 泗水侯에 추봉되었다.
역주20 伋 子思 : 성은 孔, 이름은 伋, 자는 子思이다. 曾子에게 배웠고, 魯 穆公에 출사하였다. 宋 徽宗이 沂水侯로, 元 文宗이 沂國述聖公으로, 明 世宗이 述聖公으로 추봉하였다.
역주21 白 子上 : 성은 孔, 이름은 白, 자는 子上이다. 공급의 아들이다. 47세에 죽었다.
역주22 傲……子高 : 孔求와 孔穿 사이에 孔箕가 누락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공기는 공구의 아들이자 공천의 아버지로, 자는 子京이다. 47세에 죽었다.(≪史記≫ 〈孔子世家〉)
역주23 傲 子家 : 성은 孔, 이름은 求, 혹은 傲 혹은 永을 쓰기도 한다. 자는 子家이다. 공백의 아들이다.
역주24 (笌)[穿] : 底本에는 ‘笌’로 되어 있으나, 慶長本에 의거하여 ‘穿’으로 바로잡았다.
역주25 穿 子高 : 성은 孔, 이름은 穿, 자는 子高이다. 孔箕의 아들이다. 51세에 죽었다. 초나라, 조나라 등에서 초빙한 바 있으나 모두 거절하였다고 한다. ≪孔叢子≫ 및 ≪公孫龍子≫에 公孫龍과 함께 ‘白馬非馬’에 대해 논변한 내용이 실려 있다.
역주26 孟僖子 : 성은 姬, 이름은 貜(확)이고 시호는 僖이며 세칭 仲孫貜이라 하였다. 노나라 孟孫氏의 8대 종주이다. 周禮를 힘써 배웠다. B.C.518년 임종할 때, 아들 孟懿子와 南宮敬叔에게 공자를 스승으로 삼으라고 유언하였다.
역주27 제나라……입니다 : ≪孔子家語≫ 〈本姓解〉에 보인다.
역주28 微子 啓 : 성은 子, 이름은 啓이다. 殷나라 왕 帝乙이 같은 아내에게서 세 아들 啓, 仲衍, 受德 세 아들을 얻었으나, 계와 중연은 어머니가 첩의 신분일 때 낳았고 수덕은 正妻의 신분일 때 낳았으므로, 막내인 수덕이 적자가 되어 왕의 자리에 올랐으니, 그가 은나라 마지막 왕인 紂이다. 주에게 여러 차례 충간을 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論語≫에서 ‘殷三仁’ 중 하나로 거론된다. 주나라가 선 후 은나라의 옛 땅을 받아 宋의 제후에 봉해졌다. ≪呂氏春秋≫ 〈當務〉
역주29 帝乙 : 성은 子, 이름은 羨이다. 은나라 30대 임금이다. 즉위한 후 국세가 쇠락하기 시작하여, 말년에 朝歌로 천도하였다.
역주30 : 帝辛. 성은 子, 이름은 受 혹은 受德, 시호는 紂이다. 帝乙의 아들로, 은나라 마지막 임금이다. 酒池肉林 등의 고사로 잘 알려져 있는 대표적인 폭군이다.
역주31 圻內 : 황성 주변 1,000리 안의 땅을 가리킨다.
역주32 武庚 : 紂의 아들로, 어려서부터 총명하고 학문을 좋아하였다. 은나라가 망한 후 은나라의 옛 땅에 제후로 봉해졌다. 어린 成王이 즉위하자, 이에 불만을 품은 衛나라의 管叔, 鄘나라의 蔡叔, 邶나라의 霍叔과 힘을 합쳐 난을 일으켰다. 周公이 군대를 이끌고 동쪽으로 정벌하여 무경과 관숙을 주살하고, 채숙은 축출하고 곽숙은 폐하여 서인으로 만들었다.
역주33 朝歌 : 은나라 마지막 수도이다. 현재 河南城 북쪽 淇縣에 위치해 있었다.
역주34 무경이……어지럽히자 : 三監之亂을 가리킨다. 管叔, 蔡叔, 霍叔은 모두 周 武王의 친동생들로, 무경을 감시하도록 朝歌의 동쪽, 서쪽과 남쪽, 북쪽에 각기 衛나라, 鄘나라, 邶나라를 설치하고 이들을 제후로 봉하였다. 무왕이 죽고 어린 成王이 즉위하자 무왕의 친동생인 周公이 섭정하니, 이에 의심을 품고 무경과 함께 난을 일으켰다. 주공이 난을 평정한 뒤, 은나라의 도읍을 조가에서 商丘로 옮겨 미자 계를 봉하고 나라 이름을 宋이라고 하였다.
역주35 공자의……삼았다 : ≪孔子家語≫ 〈本姓解〉에 실려 있다.
역주36 孔張 : 춘추시대 정나라의 대부이다. 증조부는 정나라 穆公, 조부는 公子嘉이다.
역주37 子孔 : 公子 嘉이다. 정나라 穆公의 아들이다. 춘추시대 정나라의 司徒, 當國을 지냈다. 후대에 공씨가 되었다.
역주38 孔達 : 성은 姬, 씨는 孔이다. 춘추시대 위나라의 卿이다. 위나라 成公 때 정권을 잡았다. 후에 晉나라의 압력으로 인해 죽음을 청하여 위나라 穆公에게 죽었다.
역주39 孔悝 : 성은 姬, 씨는 孔이다. 위나라 대부로, 위나라 靈公의 외손이다. 영공의 서자인 蒯聵가 영공 부인 南子를 죽이려다 실패하여 晉으로 피하였다가 아들 輒이 즉위하자 돌아와 자리를 되찾으려 하였다. 이때 외삼촌 공리의 힘에 기대 정변을 일으켰는데, 이때 반대편에게 죽임을 당하였다. 공자 제자 子路가 그의 가신으로 있으면서 구하려다가 역시 피살되었다. 괴외가 위나라 군주가 된 후 공리의 도움을 기려 銘鼎을 남겼다.

공자가어(2) 책은 2020.11.3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