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孔子家語(2)

공자가어(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공자가어(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正南面
唐太宗貞觀二年 房玄齡言 周公仲尼 皆聖人이나 然釋奠於學 以夫子也니이다
大業以前 皆以孔子爲先聖하고 顔子爲先師 別祀周公하니이다
於是 罷周公하고 升孔子爲先聖하여 以顔子配하다
高宗永徽中 復聖周公하고 師孔子하다
顯慶二年 長孫無忌言 漢魏以來 取舍各異하여 孔子顔子 互作先師하고 周公尼父 迭爲先聖이러니
貞觀之末 親降綸言하여 依禮記之明文하고之奧說하여 正夫子爲先聖하니이다
若周公 作禮樂하니 當同王者之祀니이다하니 乃詔하여 以周公配武王하고 以孔子爲先聖하다
玄宗開元二十七年 諡孔子하여 爲文宣王하고 衣袞冕하며 二京及州縣學 孔子始皆南面하다
先是 開元八年 詔十哲爲坐像하고 七十二賢及從諸祀儒 圖于廟壁이러니 至是하여 皆贈爵有差하다


왕의 지위에 오르다
2년(628), 이 말하였다. “周公仲尼는 모두 성인입니다. 그러나 학교에서 을 지내는 것은 夫子 때문입니다.
이전에는 모두 孔子先聖이라 하고 顔子先師라 하였으며 周公에게는 별도로 제사를 지냈습니다.”
에 다시 주공을 先聖으로 삼고 공자를 先師로 삼았다.
2년(657),
가 말하였다. “ 이래로 取舍가 각기 달라서, 공자와 안자를 번갈아 先師로 삼았고, 주공과 尼父를 번갈아 先聖으로 삼았습니다.
그러다가 貞觀 말엽에 친히 황제께서 綸音을 내리셔서 ≪禮記≫의 분명한 기록에 의거하고 의 심오한 학설을 참작하여 공자를 先聖으로 바로잡게 하였습니다.
을 입혔으며, 의 학교에 공자가 비로소 모두 을 하게 되었다.
袞冕袞冕
을 좌상으로 만들었고, 72의 그림을 사당 벽에 걸었다. 이때 이르러 모두 추증하여 작위를 내렸는데, 차등을 두었다.


역주
역주1 唐……貞觀 : 唐 太宗은 당나라 2대 황제 李世民(598~649)을 가리킨다. 貞觀은 당 태종의 연호 가운데 하나이다. 수나라 말기의 전쟁으로 인하여 인구 및 세금이 감소하였으나, 魏徵, 房玄齡, 長孫無忌 등의 보좌를 받으며, 외세를 제압 회유하고 租庸調 제도를 확립하고, 均田制, 府兵制를 마련하고, 과거제도를 정비하는 등 현종 연간까지 이어지는 당나라 발전의 기초를 만들었다. 이를 ‘貞觀의 治’라고 한다.
역주2 房玄齡 : 579~648. 이름은 喬, 자는 玄齡이다. 隋나라 말기 渭北에서 秦王이었던 李世民에게 투신하여, 謀士로 활약하였다. 이세민이 즉위한 후, 中書令으로서 조정의 정책을 책임졌다. 尙書左僕射, 司空 등을 역임하였고 梁國公에 봉해졌다. 시호는 文昭이다.
역주3 釋奠 : 공자에게 지내는 제사를 가리킨다. 본래 釋은 ‘두다[置]’는 뜻이고 奠은 祭需를 의미하여, 제수를 늘어놓는 것을 뜻하였으나, 先聖 孔子에게 지내는 제사로 의미가 고정되었다. 봄, 가을 두 차례 지낸다.
역주4 大業 : 隋 煬帝의 연호로, 605년에서 616년 사이를 가리킨다.
역주5 唐……배향하였다 : ≪新唐書≫ 권15 〈禮樂志〉에 보인다.
역주6 高宗……삼았다 : ≪新唐書≫ 권15 〈禮樂志〉에 보인다.
역주7 永徽 연간 : 永徽는 唐 高宗이 가장 오래 사용한 연호로, 650년에서 655년 사이를 가리킨다.
역주8 顯慶 : 顯慶은 唐 高宗의 두 번째 연호로, 656년에서 661년까지 사용되었다.
역주9 長孫無忌가 말하였다 : 장손무기가 당나라 고종에게 올린 〈先代帝王及先聖先師議〉를 가리킨다.(≪全唐文≫ 권136)
역주10 長孫無忌 : 594~659. 자는 機輔이다. 北魏의 황족 拓跋氏의 후손으로, 나중에 長孫氏로 바꾸었다. 李世民을 보좌하여 당이 건국된 후 개국공신이 되었고, 이세민이 황위에 오른 뒤에도 요직을 거치며 중추적인 역할을 하였다. 여동생이 이세민의 황후이기도 하다. 고종이 측천무후를 황후로 들이는 것에 반대하여 유배를 갔다가 압박을 받아 자결하였다.
역주11 康成 : 鄭玄(127~200)의 자이다. 후한의 경학가로, 전한과 후한의 경학을 집대성한 인물이다.
역주12 顯慶……삼았다 : 해당 기록은 ≪新唐書≫ 권15 〈禮樂志〉에 보인다.
역주13 (成康)[康成] : 底本에는 ‘成康’으로 되어 있으나, ≪全唐文≫ 〈先代帝王及先聖先師議〉에 의거하여 ‘康成’으로 바로잡았다.
역주14 玄宗……되었다 : ≪通鑑節要≫ 開元 27년(739)의 기록에 ≪舊唐書≫의 〈玄宗本紀〉와 〈禮樂志〉에 근거하여 “8월 공자를 追諡하여 文宣王으로 삼고, 남쪽을 향해 앉히고, 왕자의 복식을 입혔다. 제자들을 追贈하여 모두 公, 侯, 伯으로 삼았다.[八月 追諡孔子 爲文宣王 南向坐 被王者之服 追贈弟子 皆爲公侯伯]”라고 하였다.
역주15 袞冕 : 袞服과 冕冠을 가리킨다. 황제가 종묘에서 제사 지낼 때 쓰던 복장이다.
역주16 두 京師 : 長安과 洛陽을 가리킨다. 여기에서는 두 곳에 있는 국자감을 가리킨다.
역주17 南面 : 남쪽을 향함. 군주가 정사를 들을 때 북쪽에 앉아 남쪽을 향한 것에서 유래하여, 군주의 지위에 앉은 것을 가리킨다.
역주18 앞서……두었다 : 開元 8년(720) 李元瓘의 주청에 따라 10哲의 塑像을 만들고 70제자와 22賢의 순서를 바로잡아 그림을 벽에 걸었다고 한다.(≪舊唐書≫ 〈禮儀志〉)
역주19 10哲 : 공자 제자인 顔淵, 閔子騫, 冉伯牛, 仲弓, 宰我, 子貢, 冉有, 季路, 子遊, 子夏를 가리킨다. ≪論語≫ 〈先進〉에 “陳과 蔡 사이에 나를 따르던 자들이 모두 문하에 있지 않구나. 덕행은 안연, 민자건, 염백우, 중궁이 뛰어났고, 언어는 재아, 자공이 뛰어났고, 정사는 염유, 계로가 뛰어났고, 문학은 자유와 자하가 뛰어났다.[從我於陳蔡者 皆不及門也 德行 顔淵閔子騫冉伯牛仲弓 言語 宰我子貢 政事 冉有季路 文學 子遊子夏]”라고 하였다.
역주20 從祀한……儒者 : 22賢을 가리킨다. 左丘明, 卜子夏, 公羊高, 穀梁赤, 伏勝, 高堂生, 戴聖, 毛萇, 孔安國, 劉向, 鄭衆, 杜子春, 馬融, 盧植, 鄭玄, 服虔, 何休, 王肅, 王弼, 杜預, 范甯, 賈逵이다.

공자가어(2) 책은 2020.11.3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