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孔子家語(2)

공자가어(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공자가어(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衛孫桓子 侵齊하여 遇敗焉注+桓子 孫良夫也 侵齊라가 與齊師遇하여 爲齊所敗也한대 齊人乘之하여 新築大夫하니 仲叔于奚 以其衆救桓子하여 桓子乃免하다
衛人 以邑賞仲叔于奚한대 于奚辭하고 請曲懸之樂注+諸侯 軒懸이라 軒懸 闕一 故謂之曲懸之樂이라 繁纓以朝注+馬纓 當膺以索群銜이라 以黃金爲飾也어늘 許之하고 書在三官注+司徒 書名하고 司馬 書服하고 司空 書勳也이라
子路仕衛라가 見其故하고 以訪孔子한대 孔子曰 惜也 不如多與之邑이니라 惟器與名 不可以假人注+ 禮樂 尊卑이라이니 君之所司注+일새라
名以出信하며 信以守器하며 器以藏禮注+有器然後 得行其禮 故曰器以藏禮라하니라하며 禮以行義하며 義以生利하며 利以平民하나니 政之大節也
若以假人이면 與人政也 政亡則國家從之하리니 不可止也니라


나라 나라를 침략하는 도중에 제나라 군대를 만나 싸워 패배하였다.注+桓子孫良夫이다. 제나라를 침략하는 중에 제나라 군대와 만나 제나라에 패배한 것이다. 이때 제나라 사람이 틈을 타 공격하여 新築大夫를 사로잡았다. 그러자 仲叔于奚가 그 군대를 거느리고 가서 桓子를 구하여 환자가 이에 죽음을 면하게 되었다.
뒤에 위나라 사람이 중숙우해에게 고을을 상으로 주자 우해가 사양하고 曲懸의 음악과注+제후는 을 쓴다. 軒懸四面에서 한쪽 면을 비워두기 때문에 ‘曲懸의 음악’이라고 하는 것이다. 을 갖추고 조현할 수 있도록注+馬纓(말 가슴걸이)은 가슴에 걸어 재갈들을 묶는 것이다. 황금으로 장식한다. 청하였는데, 衛侯가 허락하고 이를 세 官府에 기록하게 하였다.注+司徒名號를 기록하고 司馬服飾을 기록하고 司空功勳을 기록한다.
이때 자로가 위나라에서 벼슬하고 있었는데 이 일을 보고 공자를 찾아가서 묻자 공자가 대답하였다. “애석하다. 고을을 많이 주는 것만 못하다. 器物名號만은 남에게 빌려주어서는 안 되니,注+禮樂의 기물이고, 尊卑의 명호이다. 이는 임금이 주관하는 것이기 때문이다.注+는 주관한다는 뜻이다.
명호에 맞게 하여 백성의 信賴를 얻고 신뢰를 바탕으로 기물을 지켜내며 기물로써 거기에 담긴 예를 표현하는 것이다.注+어떤 기물이 있은 뒤에야 그 기물을 가지고 예를 행할 수 있기 때문에 ‘기물로써 거기에 담긴 예를 표현한다.’라고 한 것이다. 예로써 를 행하고 로써 이익을 내며 이익으로 백성을 다스리는 법이니, 이는 정치의 큰 綱領이다.
만약 이것을 남에게 빌려준다면 政權을 주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정권을 잃으면 국가도 따라서 망하게 되어 막을 수가 없는 것이다.”


역주
역주1 41-18 : 이 부분은 四部叢刊本을 저본으로 하였다.
역주2 孫桓子 : 孫良夫로 衛나라 卿이다. 孫林夫의 아버지이다.
역주3 軒懸 : 제후의 음악을 말한다. ‘懸’은 ‘縣’과 통용된다. ≪周禮≫ 〈春官 小胥〉에 “악기를 배열하는 위차를 바로잡는데, 왕은 宮縣이고, 제후는 軒縣이고, 대부는 判縣이고, 士는 特縣이다.[正樂縣之位 王宮縣 諸侯軒縣 卿大夫判縣 士特縣]”라고 하였는데, 宮縣은 동서남북 사면에 악기를 배치하는 것이고, 軒縣은 동서북 삼면에 악기를 배치하는 것이고, 判縣은 동서 양면에 악기를 배치하는 것이고, 特縣은 동쪽 한 면만 악기를 배치하는 것이다.
역주4 繁纓(반영) : ≪春秋左氏傳≫ 成公 2년 조 杜預 注에는 “말의 粧飾이다. 모두 諸侯의 복식이다.[馬飾 皆諸侯之服]”라고 되어 있고, ≪通鑑節要≫ 威烈王 23년 조의 釋義에는 “繁은 말갈기 위의 장식이고, 纓은 말 가슴 앞의 장식이다.[繁 馬鬣上飾 纓 馬膺前飾]”라고 되어 있다.
역주5 : 四庫全書本에는 이 글자가 없고 ≪春秋左氏傳≫ 成公 2년 조의 杜預 注에는 “于奚는 新築을 지키는 대부이다.[于奚 守新築大夫]”라고 하였다.
역주6 (向)[面] : 저본에는 ‘向’으로 되어 있으나, 四庫全書本과 漢文大系本에 의거하여 ‘面’으로 바로잡았다.
역주7 (以)[之] : 저본에는 ‘以’로 되어 있으나, 四庫全書本과 漢文大系本에 의거하여 ‘之’로 바로잡았다.
역주8 (以)[之] : 저본에는 ‘以’로 되어 있으나, 四庫全書本과 漢文大系本에 의거하여 ‘之’로 바로잡았다.

공자가어(2) 책은 2020.11.3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