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孔子家語(2)

공자가어(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공자가어(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哀公問於孔子曰 二三大夫 皆勸寡人使隆敬於高年하니 何也
孔子對曰 君之及此言하시니 將天下實賴之 豈唯魯哉리잇고 公曰 何也 其義可得聞乎잇가
孔子曰 昔者 有虞氏 貴德而尙齒하고 夏后氏 貴爵而尙齒하고 殷人 貴富而尙齒注+富貴世祿之家하고 周人 貴親而尙齒하니
虞夏殷周 天下之盛王也 未有遺年者焉하니 年者貴於天下久矣 次于事親이라
是故 朝廷 同爵而尙齒하며 七十 杖於朝하고 君問則席注+君欲問之則爲之設席而問焉이라하며
八十則하고 君問則就之하나니 而悌達乎朝廷矣
其行也 肩而不竝注+不敢與長者竝肩也하고 不錯則隨注+ 雁行이라 父黨 隨行이요 兄黨 雁行也하며 斑白者 不以其任於道路注+ 負也 少者代之也하나니 而悌達乎道路矣
居鄕 以齒而老窮하며 強不犯弱하며 衆不暴寡하나니 而悌達乎州巷矣
古之道 五十 不爲甸役注+五十 始老하니 不爲力役之事하고 不爲田獵之徒也하며 頒禽 隆之長者하나니 而悌達乎蒐狩矣
軍旅什伍 同爵則尙齒하나니 而悌達乎軍旅矣니이다 夫聖王之敎 孝悌 發諸朝廷하여 行於道路하며
至於州巷하며 放於蒐狩하며 循於軍旅하나니 則衆感以義死之언정 而弗敢犯하니이다 公曰 善哉 寡人雖聞之 弗能成이로이다


哀公이 공자에게 물었다. “여러 대부들이 모두 寡人에게 나이가 많은 사람을 공경하라고 권합니다. 어째서입니까?”
공자가 대답하였다. “임금께서 이런 말씀을 하시니, 장차 천하 사람들이 실로 恩澤을 입을 것입니다. 어찌 나라뿐이겠습니까.” 애공이 물었다. “어째서입니까? 그 의미를 들을 수 있겠습니까?”
공자가 대답하였다. “옛날에 有虞氏이 있는 사람을 귀하게 여기면서도 나이가 많은 사람을 높였고, 夏后氏爵位가 있는 사람을 귀하게 여기면서도 나이가 많은 사람을 높였으며, 殷人富貴한 사람을 귀하게 여기면서도 나이가 많은 사람을 높였고,注+富貴하여 대대로 俸祿을 받는 집안이다. 周人은 친한 사람을 귀하게 여기면서도 나이가 많은 사람을 높였습니다.
, , , 시대에는 천하에 훌륭한 왕이 있어서 나이 많은 사람을 버린 경우가 있지 않았습니다. 나이가 많은 사람이 천하에 귀하게 여겨진 지가 오래되었으니 어버이를 섬기는 일에 버금갔던 것입니다.
이 때문에 조정에서 작위가 같을 경우 나이가 많은 사람을 높였으며, 임금이 묻고자 하면 자리를 깔아 주었으며,注+임금이 묻고자 하면 그에게 자리를 깔아주고서 묻는 것이다.
80세가 되면 조정에서 벼슬하지 않고 임금이 묻고자 하면 그 집을 찾아갔으니, 공손한 도리가 조정에 두루 퍼졌기 때문입니다.
길을 갈 때에는 어깨를 나란히 하여 걷지 않으며,注+감히 長者와 어깨를 나란히 하여 걷지 않는 것이다. 조금 뒤처지게 걷거나 그렇지 않으면 따라 가며,注+雁行이다. 아버지의 항렬은 뒤따라가고 형의 항렬은 나란히 걷되 조금 뒤쳐져 가는 것이다. 斑白의 노인은 도로에서 짐을 지지 않았으니,注+은 짐이니 젊은 사람이 대신 짊어지는 것이다. 공손한 도리가 도로에 두루 퍼졌기 때문입니다.
에 거처할 때에는 나이 많은 사람을 존중하여 늙고 궁한 사람을 곤란하게 하지 않았으며, 강한 사람이 약한 사람을 하지 않았으며, 많은 사람이 적은 사람을 사납게 대하지 않았으니, 공손한 도리가 에 두루 퍼졌기 때문입니다.
옛날의 는 50세가 되면 임금이 사냥하는 일에 동원되거나 힘으로 하는 일을 하지 않았으며,注+50세가 되면 비로소 늙게 되므로, 힘으로 하는 일을 하지 않고 사냥하는 데 동원되지 않는 것이다. 사냥한 짐승을 나누어줄 때에는 長者에게 후하게 주었으니, 공손한 도리가 에 두루 퍼졌기 때문입니다.
軍隊에서 작위가 같을 경우 나이가 많은 사람을 높였으니, 공손한 도리가 군대에 두루 퍼졌기 때문입니다. 聖王의 가르침은 孝悌가 조정에서 일어나서 도로에서 행해지고
州巷에 이르며 사냥하는 데에 퍼지고 군대에서도 두루 행해졌습니다. 그래서 사람들이 감동하여 의리를 지키고 죽을지언정 감히 도리에 어긋나는 짓을 하지 않았던 것입니다.” 애공이 말하였다. “좋은 말씀입니다. 과인이 비록 듣기는 하였지만 그 도리를 성취하지는 못하겠습니다.”


역주
역주1 41-22 : 이 부분은 四部叢刊本을 저본으로 하였다.
역주2 70세가……짚고 : ≪禮記≫ 〈王制〉에는 “50세가 되면 집안에서 지팡이를 짚고, 60세가 되면 鄕에서 지팡이를 짚고, 70세가 되면 나라에서 지팡이를 짚고, 80세가 되면 조정에서 지팡이를 짚는다.[五十杖於家 六十杖於鄕 七十杖於國 八十杖於朝]”라고 되어 있다.
역주3 州巷 : 일반적으로 백성들이 사는 곳을 말한다. ≪禮記集說大全≫ 〈祭義〉 鄭氏 注에 “1鄕은 5州이고 巷은 閭와 같다.”라고 하였다.
역주4 蒐狩(사냥) : ≪禮記集說大全≫ 〈祭義〉 陳澔의 注에 “봄에 수렵하는 것을 蒐라고 하고, 겨울에 수렵하는 것을 狩라고 한다.”라고 하였다.
역주5 什伍 : 군대의 편제 단위이다. ≪禮記集說大全≫ 〈祭義〉 陳澔의 注에 “5人이 伍이고 2伍가 什이다.”라고 하였다.
역주6 不仕朝 : ≪禮記≫ 〈祭義〉에는 ‘조회가 끝나기를 기다리지 않다.[不俟朝]’라고 되어 있다.
역주7 不匱 : ≪禮記≫ 〈祭義〉에는 ‘버리지 않다.[不遺]’라고 되어 있다.

공자가어(2) 책은 2020.11.3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