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孔子家語(2)

공자가어(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공자가어(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孔子在衛할새 衛之人有送葬者어늘 而夫子觀之曰 善哉 爲喪乎 足以爲法也로소니 小子識之하라
子貢問曰 夫子何善爾잇고 其往也如慕하고 其返也如疑로다 子貢曰 豈若速返而虞哉注+返葬而祭 謂之虞也리잇고
子曰 此情之至者也니라 小子識之하라 我未之能也호라


공자가 나라에 있을 때에 나라 사람 중에 죽은 이를 장사 지내 보내는 이가 있었다. 부자가 이 모습을 보고 말하였다. “훌륭하다. 을 치름이여! 모범이 될 만하도다. 제자들아, 기억해두어라.”
그러자 자공이 물었다. “부자께서는 어떤 점을 좋게 여기신 것입니까?” 공자가 대답하였다. 자공이 말하였다. 를 지내는 것이 낫지 않겠습니까?”注+장사를 지내고 돌아와 제사 지내는 것을 虞祭라고 한다.
그러자 공자가 대답하였다. “이는 죽은 이에 대한 이 지극한 것이다. 제자들아, 기억해두어라. 나는 저렇게 하지 못하였다.”


역주
역주1 42-13 : 이 부분은 四部叢刊本을 저본으로 하였다.
역주2 장사를……하였다 : ≪禮記纂言≫ 〈檀弓〉 鄭氏 注에 “慕는 어린아이가 부모를 따라가면서 우는 것을 말하고, 疑는 돌아가신 어버이가 저곳에 계시는 것을 슬퍼하여 돌아가려고 하지 않는 듯이 하는 것이다.[慕 謂小兒隨父母啼呼 疑者 哀親之在彼 如不欲還然]”라고 하였다.
역주3 차라리……않겠습니까 : ≪禮記集說大全≫ 〈檀弓 上〉 陳澔 注에 “자공은 의심하는 듯이 하면 돌아오는 것이 더디니 차라리 속히 돌아가 우제의 예를 행하는 것이 낫다고 생각한 것이다. 이는 예의 常道만 알고, 情의 지극함을 살피지 못한 것이다.[子貢以爲如疑則反遲 不若速反而行虞祭之禮 是知其禮之常 而不察其情之至矣]”라고 하였다.
역주4 虞祭 : 장례를 치른 뒤 죽은 이의 혼백을 평안하게 하기 위하여 지내는 제사로, 장례를 치른 날 지내는 初虞, 초우제 이후 柔日에 지내는 再虞, 재우제 이후 剛日에 지내는 三虞를 모두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역주5 [曰] : 저본에는 없으나 ≪禮記≫ 〈檀弓 上〉과 四庫全書本에 의거하여 ‘曰’을 보충하여 번역하였다.

공자가어(2) 책은 2020.11.3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