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六韜直解

육도직해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육도직해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原注
軍用者 軍之器用也
器用有備하여 以之戰守 則無患矣리라
武王 問太公曰
王者擧兵 三軍器用攻守之具 科品衆寡 豈有法乎
原注
武王 問太公曰
王者擧兵征伐 三軍之器用 其攻守之具 科品或衆或寡 豈有法度乎
太公曰
大哉
王之問也
夫攻守之具 各有科品하니 此兵之大威也니이다
原注
太公對曰
大哉
王之所問也
夫攻守之器具 各有科品하니 此兵家之大威也
武王曰
願聞之하노라
太公曰
凡用兵之大數 將甲士萬人이면 用武衛大扶胥 三十六乘이니 材士强弩矛戟으로 爲翼하고 一車 二十四人 推之호되 以八尺車輪하며 車上 立旗鼓
兵法 謂之震駭라하니 陷堅陳하고 敗强敵이니이다
原注
武王曰
願聞科品之異하노라
太公對曰
凡用兵之大數 將帶甲之士萬人이면 其法 用武衛大扶胥 三十六乘이니 扶胥 車之別名也
材勇之士 持强弩矛戟하여 爲羽翼하고 每一車 用二十四人하여 推之호되 用八尺車輪하며 車之上 立旗與鼓
兵法 又謂之震駭라하니 用以陷堅陳, 敗强敵也
七十二具 材士强弩矛戟으로 爲翼하고 以五尺車輪호되 自副하니 陷堅陣하고 敗强敵이니이다
原注
武翼大櫓 車上之蔽也 置矛戟於車上하여 備擊
材勇之士 持强弩矛戟하여 爲羽翼하고 用五尺車輪호되 以絞車連弩自副하니 亦用以陷堅陣, 敗强敵也
一百四十 絞車連弩 自副하고 以鹿車輪이니 陷堅陣하고 敗强敵이니이다
原注
提翼小櫓 亦車上之蔽 但比大櫓 差小耳
以絞車連弩自副하고 用鹿車輪하니 亦以陷堅陣, 敗强敵也
三十六乘이니 材士强弩矛戟으로 爲翼하고 飛鳧電影으로 自副하니 飛鳧 赤莖白羽 以銅爲首하고 電影 靑莖赤羽 以鐵爲首하여
晝則以絳縞長六尺, 廣六寸으로 爲光耀하고 夜則以白縞長六尺, 廣六寸으로 爲流星이니 陷堅陣하고 敗步騎니이다
原注
大黃參連弩大扶胥 三十六乘이니 以材勇之士 持强弩矛戟하여 爲羽翼호되 上用飛鳧電影自副
飛鳧 用赤莖白羽호되 以銅爲之首하고 電影 用靑莖赤羽호되 以鐵爲之首
白晝 則以絳色之縞長六尺, 闊六寸으로 爲光耀하고 遇夜 則以白色之縞長六尺, 闊六寸으로 爲流星하니 取其遠視之有光也
用以陷堅陣, 敗步騎也
大扶胥衝車 三十六乘이니 螳螂武士共載하여 可以擊縱橫하여 敗强敵이니이다
原注
衝車 從傍衝擊者也
螳螂 蟲名이니 有奮擊之勢故 取以爲名이라
輜車騎寇 一名電車 兵法 謂之電擊이니 陷堅陣하고 敗步騎니이다
原注
輜車騎寇 疑有誤字
電車 言其忽往忽來하여 如電之疾也
兵法 謂之電擊이라
寇夜來前 一百六十乘이니 螳螂武士三人 共載
兵法 謂之霆擊이니 陷堅陣하고 敗步騎니이다
原注
寇遇夜來吾營前이어든 矛戟扶胥輕車一百六十乘이니 每乘螳螂武士三人 共載
兵法 謂之霆擊이니 言其輕疾往來하여 如雷霆之擊也
維朌 重十二斤이요 柄長五尺以上 千二百枚 一名天棓이며
原注
維朌 未詳이라
或曰 朌 大首也 重一十二斤이라
刃長八寸이요 重八斤이요 柄長五尺以上 千二百枚 一名天鉞이며 重八斤이요 柄長五寸以上 千二百枚 一名天槌 敗步騎群寇니이다
原注
言三者 皆可用之하여 敗步騎群寇也
長八寸이니 鉤芒 長四寸이요 柄長六尺以上 千二百枚 以投其衆이니이다
原注
用飛鉤하여 以投敵軍之衆也
三軍拒守 廣二丈 百二十具 一名行馬니이다
原注
三軍與敵拒守 用木螳螂劍刃扶胥 廣闊二丈 一百二十具 一名曰行馬
平易地 以步兵敗車騎去地二尺五寸 百二十具니이다
原注
平易之地 以步兵敗敵之車騎 用木蒺藜去地高二尺五寸 一百二十具
敗步騎하고 要窮寇하고 遮走北 百二十具 니이다
原注
敗敵之步騎하고 要截窮寇하고 遮攔走北 旋軸短衝矛戟扶胥 用一百二十具 黃帝昔日所以敗蚩尤氏也
敗步騎하고 要窮寇하고 遮走北호되 狹路微徑 銕蒺藜 芒高四寸이요 廣八寸이요 長六尺以上 千二百具니이다
原注
言狹路微徑 用銕蒺藜하여 以敗步騎하고 要窮急之寇하고 遮走北之人也
敗走騎突來前促戰하여 白刃接 張地羅하고 호되 芒間相去二尺 萬二千具
니이다
原注
敗走騎及衝突暝黑之時하여 而來前促戰하여 白刃相接이면 則張設地羅하고 鋪兩鏃蒺藜하고 幷參連織女호되 芒刃之間相去二尺 一萬二千具
曠野草中 千二百具
張鋌矛法 高一尺五寸이니 敗步騎하고 要窮寇하고 遮走北니이다
原注
曠野深草之中 用方胸鋌矛 一千二百具 張鋌矛之法 高一尺五寸이니 用以敗敵人之步騎하고 要截窮寇하고 遮隔走北也
狹路, 微徑, 地陷 銕械鎖參連 百二十具 敗步騎하고 要窮寇하고 遮走北니이다
原注
狹窄之路 微小之徑 地內陷 以銕械鎖參連者 一百二十具 亦可以敗步騎하고 要窮寇하고 遮走北也
壘門拒守 十二具 絞車連弩自副 三軍拒守 天羅, , 鎖連一部 廣一丈五尺이요 高八尺 百二十具 廣一丈五尺이요 高八尺 五百一十具니이다
原注
此三者 皆拒禦之器也
一間 廣一丈五尺이요 長二丈以上이니 着轉關八具하고 以環利通索으로 張之니이다
原注
着以轉關轆轤 欲易動也 張以環利通索 欲堅固也 踰垠之具也
廣一丈五尺이요 長二丈以上 八具 以環利通索으로 張之하고 矩內하여 徑四尺以上이요 環絡自副 三十二具 以天浮 張飛江하여 濟大海 謂之天潢이니 一名 天船이니이다
原注
飛江, 天潢 皆濟大水之具也 天浮鐵螳螂 用以張飛江者也
山林野居 結虎落호되 環利鐵鎖 長二丈以上 千二百枚 環利大通索 大四寸, 長四丈以上 六百枚 環利中通索 大二寸, 長四丈以上 二百枚 環利小微縲 長二丈以上 萬二千枚
天雨 蓋重車上板호되 하고 廣四尺, 長四丈以上 車一具 以鐵杙張之니이다
原注
環利鐵鎖, 通索, 微縲 卽今之連環鐵索也 但有大小長短之異耳
天雨 盖車上之板也
結泉鉏鋙 刻板爲齒하여 不相値也
橛也 鐵杙 以鐵爲橛也
伐木天斧 重八斤이요 柄長三尺以上 三百枚 刃廣六寸이요 柄長五尺以上 三百枚 銅築固爲垂 長五尺以上 三百枚니이다
原注
用以斫이요 用以이라
銅築固爲垂 未知何用이라
柄長七尺以上 三百枚 柄長七尺以上 三百枚 柄長七尺以上 三百枚 柄長七尺以上 三百枚 大櫓刃 重八斤, 柄長六尺以上 三百枚 長三尺以上 三百枚 重五斤, 柄長二尺以上 百二十具니이다
原注
委環銕杙者 以銕爲橛하여 上連以環也
擊也
甲士萬人 强弩六千이요 戟櫓二千이요 矛楯二千이요 修治攻具하고 砥礪兵器巧手 三百人이니 擧兵之大數也니이다
武王曰
允哉
原注
修治 欲其常完也 砥礪 欲其常銳
允者 信其言也


原注
범[虎]은 백수百獸의 왕으로서, 위엄과 용맹이 뛰어나다 하여 편명篇名으로 삼은 것이다. 이 편에서는 의 병기와 장비, 진법陣法과 작전 요령 등에 관한 내용이 언급되어 있다. 《육도六韜》를 크게 나누어볼 때, 〈문도文韜〉‧〈무도武韜〉‧〈용도龍韜〉의 전반부 3편은 주로 전략에 대하여 논한 반면, 〈호도虎韜〉‧〈표도豹韜〉‧〈견도犬韜〉의 후반부 3편은 주로 전술의 구체적인 방법을 논한 것이 특징이다. 다만 전투에 사용하는 각종 장비의 명칭은 자세히 알 수 없다.
군용軍用이란 군대에서 사용하는 기구이다.
기구를 미리 구비하고서 싸우고 지키면 근심이 없을 것이다.
무왕武王태공太公에게 물었다.
왕자王者가 군대를 출동함에 삼군三軍이 사용하는 기구와 공격하고 수비하는 도구의 종류와 등급이 많고 적음에 어찌 법도가 있지 않겠는가?”
原注
무왕武王태공太公에게 물었다.
왕자王者가 군대를 일으켜 정벌征伐할 적에 삼군三軍이 사용하는 기구와 공격하고 수비하는 도구의 종류와 등급이 혹 많고 혹 적은 것에 어찌 법도法度가 있지 않겠는가?
태공太公이 대답하였다.
“훌륭하십니다.
임금님의 질문이여.
공격하고 수비하는 도구는 각각 종류와 등급이 있으니, 이것은 군대의 큰 위엄입니다.”
原注
태공太公이 대답하였다.
위대하다.
임금님의 질문이여.
공격하고 수비하는 기구에는 각각 종류와 등급이 있으니, 이는 병가兵家의 큰 위엄이다.
무왕武王이 말씀하였다.
“듣기를 원하노라.”
태공太公이 대답하였다.
“무릇 용병用兵하는 장비의 대체적인 숫자는, 갑옷 입은 병사 1만 명을 동원하게 되면 그 법에 무위대부서武衛大扶胥라는 대전차大戰車 36을 사용하니, 강한 쇠뇌와 창과 갈래진 창을 휴대한 병사로서 재주가 뛰어난 자를 우익羽翼으로 삼고, 수레 1대를 24명이 밀되, 8의 수레바퀴를 사용하며, 수레 위에 깃발과 북을 세웁니다.
병법兵法에서 이것을 일러 ‘진해震駭’라 하니, 이를 사용하여 적의 견고한 진영을 함락시키고 강한 적을 패퇴시키는 것입니다.
原注
무왕武王이 말씀하였다.
종류와 등급의 차이를 듣기를 원한다.
태공太公이 대답하였다.
무릇 용병用兵하는 장비의 대체적인 숫자는, 갑옷 입은 병사 1만 명을 동원하게 되면 그 법에 무위대부서武衛大扶胥라는 대전차大戰車 36을 사용하니, 부서扶胥는 수레의 별칭이다.
강한 쇠뇌와 창과 갈래진 창을 휴대한 병사로서 재주와 용맹이 뛰어난 자를 우익羽翼으로 삼고 수레 1대마다 24명으로 밀게 하되, 8의 수레바퀴를 사용하며, 수레 위에 깃발과 북을 세운다.
병법兵法에 이것을 일러 ‘진해震駭’라 하니, 이것을 사용하여 적의 견고한 진영을 함락시키고 강한 적을 패퇴시키는 장비이다.
무익대로모극부서武翼大櫓矛戟扶胥가 72이니, 강한 쇠뇌와 창과 갈래진 창을 잡은 재주가 뛰어난 병사를 우익羽翼으로 삼고, 5척의 수레바퀴를 사용하되 교거絞車와 연발쇠뇌를 따르게 하니, 적의 견고한 진영을 무찌르고 강한 적을 패퇴시키는 장비입니다.
原注
무익대로武翼大櫓는 수레 위를 가리는 방패이니, 갈고리창과 갈래진 창을 수레 위에 배치하여 적의 공격과 찌름에 대비하는 것이다.
쇠뇌와 창과 갈래진 창을 휴대한 재주와 용맹이 뛰어난 병사를 우익羽翼으로 삼고, 5척의 수레바퀴를 사용하되 교거絞車와 연발 쇠뇌로 수레를 따르게 하니, 또한 이것을 사용하여 적의 견고한 진영을 무찌르고 강한 적을 패퇴시키는 장비이다.
제익소로부서提翼小櫓扶胥가 146대이니, 교거絞車와 연발쇠뇌를 따르게 하고 작은 녹거鹿車 바퀴를 사용하니, 적의 견고한 진영을 무찌르고 강한 적을 패퇴시키는 장비입니다.
原注
제익소로提翼小櫓는 또한 수레 위를 가리는 방패이니, 다만 대로大櫓에 비하여 약간 작을 뿐이다.
교거絞車와 연발쇠뇌를 따르게 하고 작은 녹거鹿車 바퀴를 사용하니, 또한 이것으로써 적의 견고한 진영을 무찌르고 강한 적을 패퇴시키는 장비이다.
대황참련노대부서大黃參連弩大扶胥가 36대이니, 강한 쇠뇌와 갈고리창과 갈래진 창을 잡은 병사로서 재주가 뛰어난 자를 우익羽翼으로 삼고 비부飛鳧전영電影을 장착하여 따르게 하니, 비부飛鳧는 붉은 줄기에 흰 깃털을 사용하는데 구리로 머리 부분을 만들고, 전영電影은 푸른 줄기에 붉은 깃털을 사용하는데 쇠로 머리 부분을 만듭니다.
대낮에는 길이 6, 넓이 6의 붉은 비단으로 광요光耀라는 물체를 만들고, 밤에는 길이 6, 넓이 6의 흰 비단으로 유성流星이라는 물체를 만드니, 이것을 사용하여 적의 견고한 진영을 무찌르고 보병步兵기병騎兵을 패퇴시키는 것입니다.
原注
대황참련노대부서大黃參連弩大扶胥가 36대이니, 강한 쇠뇌와 갈고리창과 갈래진 창을 휴대한 병사로서 재주와 용맹이 뛰어난 자를 우익羽翼으로 삼되, 위에 비부飛鳧전영電影을 사용하여 따르게 한다.
비부飛鳧는 붉은 줄기에 흰 깃털을 사용하는데 구리로 머리를 만들고, 전영電影은 푸른 줄기에 붉은 깃털을 사용하는데 쇠로 머리를 만든다.
대낮에는 길이 6척, 넓이 6촌의 붉은 비단으로 광요光耀라는 물체를 만들고, 밤이 되면 길이 6척, 넓이 6촌의 흰 비단으로 유성流星이라는 물체를 만드니, 멀리서 볼 적에 빛이 나는 점을 취한 것이다.
이것을 사용하여 적의 견고한 진영을 무찌르고 보병과 기병을 패퇴시키는 것이다.
대부서충거大扶胥衝車가 36대이니, 당랑螳螂과 같이 용감한 무사武士를 함께 태워 종횡縱橫으로 공격해서 강한 적을 패퇴시키는 장비입니다.
原注
충거衝車는 옆에서 충돌하여 적의 을 공격하는 전거戰車이다.
당랑螳螂은 벌레 이름(사마귀)이니, 분발하여 공격하는 형세가 있으므로 이를 취하여 병사의 명칭으로 삼은 것이다.
치거기구輜車騎寇는 일명 전거電車라고 하는데 병법兵法에 이것을 일러 ‘전격電擊’이라고 하니, 적의 견고한 진영을 무찌르고 보병과 기병을 패퇴시키는 장비입니다.
原注
치거기구輜車騎寇는 의심컨대 오자誤字가 있는 듯하다.
전거電車는 갑자기 달려가고 갑자기 달려와서 번개처럼 빠름을 말한 것이다.
그러므로 병법兵法에 이것을 일러 ‘전격電擊’이라 한 것이다.
적이 밤중에 우리 진영의 앞으로 올 적에 모극부서경거矛戟扶胥輕車 160대를 사용하니, 수레 1대마다 당랑螳螂과 같이 용감한 무사武士 3명을 함께 태웁니다.
병법兵法에 이것을 일러 ‘정격霆擊’이라 하니, 적의 견고한 진영을 무찌르고 보병과 기병을 패퇴시키는 장비입니다.
原注
적이 야음을 틈타 우리의 진영 앞으로 습격해 오면 모극부서경거矛戟扶胥輕車 160대에, 수레 1대마다 당랑螳螂과 같은 무사武士 3명을 함께 태운다.
병법兵法에 이것을 ‘정격霆擊’이라 하니, 그 경쾌하고 빠르게 왕래하여 우레와 벼락이 치는 것과 같음을 말한 것이다.
방수철봉유분方首鐵棒維肦은 무게가 12근이고, 자루의 길이가 5척 이상인 것이 1,200개이니, 일명 천부天棓(天棒)이라 하며,
原注
유분維肦은 자세하지 않다.
혹자는 “은 큰 머리이니, 무게가 12근이다.”라고 한다.
대가부大柯斧는 날의 길이가 8, 무게가 8이고, 자루의 길이가 5척 이상인 것이 1,200개이니 일명 천월天鉞이라 하며, 방수철퇴方首鐵槌는 무게가 8이고 자루의 길이가 5 이상인 것이 1,200개로 일명 천퇴天槌라 하니, 적의 많은 보병과 기병을 패퇴시키는 장비입니다.
原注
천봉天棒천월天鉞천퇴天槌〉 세 가지를 모두 사용하여 적의 많은 보병과 기병을 패퇴시킬 수 있음을 말한 것이다.
飛鉤飛鉤
비구飛鉤는 길이가 8인데, 갈고리의 날[鉤芒]의 길이가 4이고 자루의 길이가 6 이상인 것이 1,200개이니, 적군의 병사들에게 투척하는 장비입니다.
原注
비구飛鉤를 사용하여 적군의 병사들에게 투척하는 것이다.
삼군三軍이 적과 대치하여 지킬 적에 목당랑검인부서木螳螂劍刃扶胥로 넓이가 2인 것 120개를 사용하니, 일명 행마行馬라 합니다.
原注
삼군三軍이 적과 대치하여 지킬 적에는 목당랑검인부서木螳螂劍刃扶胥로 넓이가 2인 것 120대를 사용하니, 일명 행마行馬라 한다.
평탄한 지역에서 보병步兵으로 적의 전거戰車기병騎兵 부대를 패퇴시킬 적에는 땅 위에서 높이 2 5목질려木蒺藜 120개를 사용합니다.
原注
평탄한 지역에서 보병步兵으로 적의 전차와 기병 부대를 패퇴시킬 적에는 땅 위에서 높이가 2 5목질려木蒺藜 120개를 사용한다.
적의 보병과 기병을 패퇴시키고 궁지에 몰린 적을 요격하며 패하여 도망하는 적을 차단할 적에는, 축선단충모극부서軸旋短衝矛戟扶胥 120대를 사용하니, 황제黃帝가 이것으로 치우씨蚩尤氏를 패퇴시켰습니다.
原注
적의 보병과 기병을 패퇴시키고 궁지에 몰린 적을 차단 공격하며 패하여 도망하는 적을 차단할 적에는, 축선단충모극부서軸旋短衝矛戟扶胥 120대를 사용하니, 황제黃帝가 옛날에 이것으로 치우씨蚩尤氏를 패퇴시켰다.
적의 보병과 기병을 패퇴시키고 궁지에 몰린 적을 요격하며 패하여 도망하는 적을 차단할 적에 협소한 길과 좁은 오솔길에는 철질려鐵蒺藜를 깔아놓으니, 촉의 높이가 4이고 넓이가 8이고 길이가 6 이상인 것이 1,200개입니다.
原注
협소한 길과 좁은 오솔길에 철질려鐵蒺藜를 사용하여 적의 보병과 기병을 패퇴시키고 궁지에 몰려 위급한 적을 요격하고 패하여 도망하는 적을 차단함을 말한 것이다.
패하여 도망하는 적의 기병이 어두울 때에 우리의 진영 앞으로 충돌해 와서 싸움을 재촉하여 시퍼런 칼날로 접전할 적에는, 그물인 지라地羅를 설치하고 양촉질려兩鏃蒺藜참련직녀參連織女를 펼쳐놓되, 촉과 칼날 사이가 서로 2이 떨어진 것이 1만 2천 개입니다.
原注
패하여 도망하는 적의 기병이 어두울 때에 우리의 진영 앞으로 충돌해 와서 싸움을 재촉하여 시퍼런 칼날로 접전하게 되면, 그물인 지라地羅를 설치하고 양촉질려兩鏃蒺藜를 펼쳐놓고 참련직녀參連織女를 나란히 배열하되, 촉과 칼날 사이가 서로 2이 떨어진 것 1만 2천 개를 사용하는 것이다.
넓은 들판과 풀 가운데에서는 방흉정모方胸鋌矛 1,200개를 사용합니다.
짧은 창을 펼쳐놓는 방법은 높이를 1 5으로 해야 하니, 적의 보병과 기병을 패퇴시키고 궁지에 몰린 적을 요격하고 패하여 도망하는 적을 차단하는 데에 사용하는 것입니다.
原注
넓은 들판과 무성한 풀이 있는 가운데에서는 방흉정모方胸鋌矛 1,200개를 사용하는데, 짧은 창을 펼쳐놓는 방법은 높이를 1 5으로 해야 하니, 이것을 사용하여 적의 보병과 기병을 패퇴시키고 궁지에 몰린 적을 요격하고 패하여 도망하는 적을 차단하는 것이다.
협소한 길과 작은 오솔길과 땅이 안으로 푹 파인 곳에서는 철계쇄銕械鎖(쇠사슬) 셋을 연결한 것 120개를 사용해야 하니, 적의 보병과 기병을 패퇴시키고 궁지에 몰린 적을 요격하고 패하여 도망하는 적을 차단하는 데에 사용하는 것입니다.
原注
협소한 길과 작은 오솔길과 땅이 안으로 푹 파인 곳에서는 철계쇄銕械鎖 셋을 연결한 것 120개를 사용해야 하니, 또한 적의 보병과 기병을 패퇴시키고 궁지에 몰린 적을 요격하고 패하여 도망하는 적을 차단하는 데에 사용하는 것이다.
보루의 문을 막고 지킴에는 모극소로矛戟小櫓 12대가 필요하니 교거絞車연노連弩가 뒤를 따르고, 삼군三軍이 막고 지킴에는 천라天羅호락虎落을 쇠사슬로 연결시킨 것 한 벌로 넓이가 1 5이고 높이가 8인 것 120개가 필요하며, 호락검인부서虎落劍刃扶胥는 넓이가 1 5이고 높이가 8인 것이 510대가 필요합니다.
原注
이 세 가지는 모두 적을 막는 도구이다.
도구참비교渡溝塹飛橋는 1칸에 넓이가 1 5이고 길이가 2 이상이니, 회전하는 녹로[轉關轆轤]를 장착한 것이 8개이고 고리를 연결한 쇠사슬로 설치합니다.
原注
회전하는 녹로轆轤를 장착하는 것은 움직이기 쉽게 하고자 해서이고, 고리를 연결한 쇠사슬로 설치하는 것은 견고하게 하고자 함이니, 이는 언덕을 넘어가는 도구이다.
도대수비강渡大水飛江은 넓이가 1 5이고 길이가 2 이상인 것 8개가 필요하니, 고리를 연결한 쇠사슬로 설치하고, 천부철당랑天浮鐵螳螂은 안이 네모지고 밖이 둥글어서 지름이 4 이상이고 둥근 고리가 달린 것이 32대입니다 천부天浮로써 비강飛江을 설치하여 큰 물을 건너는 것을 천황天潢이라 하니, 일명은 천선天船입니다.
原注
비강飛江천황天潢은 모두 큰 물을 건너는 도구이고, 천부철당랑天浮鐵螳螂비강飛江을 설치하는 데 사용하는 것이다.
산림山林이나 평야平野을 칠 때에는 호락虎落시영柴營을 만드는데, 고리를 연결한 쇠사슬은 길이가 2 이상인 것이 1,200개이고, 고리를 연결한 큰 쇠사슬은 굵기 4에 길이 4 이상인 것이 600개이고, 고리를 연결한 중간 정도의 쇠사슬은 굵기 2에 길이 4 이상인 것이 200개이고, 고리를 연결한 작고 가느다란 끈은 길이 2 이상인 것이 1만 2천 개입니다.
비를 막는 천우天雨치중거輜重車의 상판에 덮되, 결천서어結泉鉏鋙를 하고, 넓이 4에 길이 4 이상의 수레가 1대이니, 이는 쇠말뚝을 사용해서 설치합니다.
原注
환리철쇄環利鐵鎖통색通索미류微縲는 바로 지금의 고리를 연결한 쇠사슬이니, 다만 크고 작고 길고 짧은 차이가 있을 뿐이다.
천우天雨는 수레의 위에 판자를 덮어 비를 막는 것이다.
결천서어結泉鉏鋙는 판자를 갉아 이빨을 만들어서 서로 마주치지 않게 하는 것이다.
은 말뚝이니, 철익鐵杙은 쇠로 만든 말뚝이다.
나무를 베는 천부天斧는 무게가 8이고 자루의 길이가 3 이상인 것이 300개이고, 계곽棨钁(큰 괭이)은 날의 넓이가 6이고 자루의 길이가 5 이상인 것이 300개이고, 동축고위수銅築固爲垂는 길이가 3 이상인 것이 300개입니다.
原注
도끼는 나무를 찍는 데 사용하고, 괭이는 땅을 파는 데 사용하는 것이다.
동축고위수銅築固爲垂는 어디에 사용하는지 알지 못한다.
응조방흉철파鷹爪方胸鐵把는 자루의 길이가 7 이상인 것이 300개이고, 방흉철차方胸鐵叉는 자루의 길이가 7 이상인 것이 300개이고, 방흉양지철차方胸兩枝鐵叉는 자루의 길이가 7 이상인 것이 300개이고, 삼초목대겸芟草木大鎌은 자루의 길이가 7 이상인 것이 300개이고, 대로인大櫓刃은 무게가 8이고 자루의 길이가 6 이상인 것이 300개이고, 위환철익委環鐵杙은 길이가 3 이상인 것이 300개이고, 탁익대퇴椓杙大槌는 무게가 5이고 자루의 길이가 2 이상인 것이 120개입니다.
原注
위환철익委環鐵杙이란 쇠를 가지고 말뚝을 만들어서 위에 고리를 연결하는 것이다.
은 말뚝을 박을 때에 말뚝을 치는 것이다.
갑옷 입은 병사 1만 명에 강한 쇠뇌를 지닌 병사가 6,000명이고, 갈래진 창과 큰 방패를 잡은 병사가 2,000명이고, 갈고리창과 큰 방패를 잡은 병사가 2,000명이며, 공격하는 기구를 수리하고 병기兵器를 숫돌에 가는 정교한 기술자가 300명이니, 이는 군대를 동원하는 대략적인 숫자입니다.”
무왕武王이 말씀하였다.
“그 말씀이 옳다.”
原注
병기兵器를 수리함은 항상 완전하고자 해서요, 숫돌에 가는 것은 항상 예리하게 하고자 해서이다.
이란 그 말이 옳음을 믿는 것이다.


역주
역주1 武翼大櫓矛戟扶胥 : 큰 방패와 갈고리창과 갈래진 창을 장착한 扶胥가 있는 中戰車로 보인다. 扶胥는 扶蘇로도 쓰며, 兵車 위에 큰 방패를 둘러 만든 보호막을 이른다.
역주2 絞車連弩 : 絞車는 무거운 것을 드는 기구이고, 連弩는 화살을 연발로 쏠 수 있는 기구이다.
역주3 : 척
역주4 提翼小櫓扶胥 : 작은 방패를 장착한 扶胥가 있는 小戰車로 보인다.
역주5 (九)[六具] : 저본에는 ‘九’로 되어있으나, 漢文大系本에 의거하여 ‘六具’로 바로잡았다.
역주6 大黃參連弩大扶胥 : 大黃이라는 3연발의 쇠뇌를 장착한 大扶胥가 있는 大戰車로 보인다.
역주7 矛戟扶胥輕車 : 갈고리창과 갈래진 창을 장착한 扶胥가 있는 輕車로 보인다.
역주8 方首銕棓 : 머리 부분이 네모진 쇠망치로 보인다. ‘銕棓’은 ‘鐵棒’과 같다.
역주9 大柯斧 : 자루가 긴 도끼로 보인다.
역주10 方首銕槌(퇴) : 머리가 네모진 鐵槌로 보인다.
역주11 飛鉤 : 적군이 모여있을 때에 던져 잡아오는 갈고리로, 한 번에 2명의 적을 잡아올 수 있다 하는 바, 적군을 낚아온다 하여 일명 鐵鴟라고도 한다. 《武備志 器械》
역주12 木螳螂劍刃扶胥 : 木螳螂과 칼날이 달린 扶胥로 보인다.
역주13 蒺藜 : 적군의 전진을 방해하는 데 사용하는 장애물로, 나무나 금속으로 만든다. 사방으로 뾰족한 날이 달려있다. 그 모양이 남가새[蒺藜]의 열매와 닮아서 이렇게 이름한 것이다.
역주14 軸旋短衝矛戟扶胥 : 軸이 짧아 회전하기 쉬운 衝車로 갈고리 창과 갈래진 창이 장착된 扶胥로 보인다.
역주15 黃帝所以敗蚩(치)尤氏 : 蚩尤는 당시 軍閥로 머리가 구리로 되어있고 이마가 쇠로 되어있으며 불을 뿜어내는 전설적인 인물인데, 黃帝가 指南車를 만들어 涿鹿에서 싸워 물리쳤다 한다.
역주16 (長)[張] : 저본의 ‘長’은 漢文大系本에 의거하여 ‘張’으로 바로잡았다.
역주17 (瞑)[暝] : 저본의 ‘瞑’은 ‘눈을 감다’의 뜻으로 여기에는 맞지 않으며, 明本의 經文에는 ‘暝’으로, 《直解》에는 ‘’暝으로 되어있으므로 이에 의거하여 ‘暝’으로 바로잡았다.
역주18 鋪兩鏃蒺藜 : 촉이 두 갈래로 된 蒺藜로 보인다.
역주19 參連織女 : 蒺藜 셋이 연결된 織女로 보인다.
역주20 三軍拒守……萬二千具 : 위의 ‘三軍拒守’로부터 ‘萬二千具’까지 다섯 節의 단락은 漢文大系本 《六韜直解》와 크게 다르므로, 아래에 漢文大系本의 전문을 竝起하고 번역문을 함께 싣는다.
三軍拒守에 木螳螂劍刃扶胥 廣二丈이 百二十具니 一名行馬니 平易地에 以步兵敗車騎니이다
三軍이 적과 대치하여 지킬 적에 木螳螂劍刃扶胥로 넓이가 2丈인 것 120개를 사용하니, 일명 行馬라 하니, 평탄한 지역에서 步兵으로 적의 전차와 기병 부대를 패퇴시킵니다.
木蒺藜는 去地二尺五寸이 百二十具니 敗步騎하고 要窮寇하고 遮走北니이다
木蒺藜는 땅 위에서 높이 2尺 5寸인 것이 120개이니, 적의 보병과 기병을 패퇴시키고 궁지에 몰린 적을 요격하며 패하여 도망하는 적을 차단합니다.
軸旋短衝矛戟扶胥 百二十具니 黃帝所以敗蚩尤氏니 敗步騎하고 要窮寇하고 遮走北니이다
軸旋短衝矛戟扶胥가 120대니, 黃帝가 이것으로 蚩尤氏를 패퇴시켰으니, 적의 보병과 기병을 패퇴시키고 궁지에 몰린 적을 요격하며 패하여 도망하는 적을 차단합니다.
狹路微徑에 張銕蒺藜하니 芒高四寸이요 廣八寸이요 長六尺以上이 千二百具니 敗走騎니이다
협소한 길과 좁은 오솔길에는 鐵蒺藜를 깔아놓으니, 촉의 높이가 4寸이고 넓이가 8寸이고 길이가 6尺 이상인 것이 1,200개이니 적의 기병을 패주시킵니다.
突暝來前促戰하여 白刃接엔 張地羅하고 鋪兩鏃蒺藜와 參連織女하니 芒間相去二尺이 萬二千具니이다
어두울 때에 우리의 진영 앞으로 충돌해 와서 싸움을 재촉하여 시퍼런 칼날로 접전할 적에는, 그물인 地羅를 설치하고 兩鏃蒺藜와 參連織女를 펼쳐놓으니, 촉과 칼날 사이가 서로 2尺이 떨어진 것이 1만 2천 개입니다.
역주21 方胸鋌矛 : 가슴 부분이 네모진 짧은 창으로 보인다.
역주22 矛戟小櫓 : 갈고리창과 갈래진 창과 작은 방패를 장착한 수레로 보인다.
역주23 虎落 : 城邑과 營寨를 방어하는 데 쓰는 대나무 울타리이다.
역주24 虎落劍刃扶胥 : 虎落과 칼날이 장착된 扶胥가 있는 戰車로 보인다.
역주25 渡溝塹飛橋 : 도랑과 참호를 건너갈 때 사용하는 浮橋의 일종이다.
역주26 轆轤(녹로) : 사슬이 달려있는 도르래로, 무거운 물건을 들어 올리는 데 쓰는 도구이다.
역주27 渡大水飛江 : 큰 물을 건너갈 때 사용하는 浮橋의 일종이다.
역주28 天浮銕螳螂 : 하늘 높이 세워 飛江을 설치할 때 사용하는 철 구조물로 보인다.
역주29 : 圓과 같다.
역주30 柴營 : 나무 섶으로 만든 營寨로 보인다.
역주31 結泉鉏鋙(서어) : 확실하지 않으나 鉏鋙로 보아 이빨 모양으로 어긋나게 만들어서 서로 물리게 한 장비로 보인다.
역주32 棨钁 : 계곽
역주33 : 촉
역주34 鷹爪方胸銕(杷)[把] : 매발톱 모양의 네모난 쇠고무래이다. 저본의 ‘杷’는 漢文大系本에 의거하여 ‘把’로 바로잡았다.
역주35 方胸銕叉 : 네모난 쇠도리깨이다.
역주36 方胸兩枝銕叉 : 네모난 두 갈래 쇠도리깨이다.
역주37 芟(삼)草木大鎌(겸) : 풀과 나무를 베는 큰 낫이다.
역주38 委環銕杙 : 고리가 달린 쇠말뚝이다.
역주39 椓(탁)杙大槌 : 쇠말뚝을 박는 큰 망치이다.

육도직해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