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尉繚子直解

울료자직해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울료자직해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原注
經卒令者 經理士卒之禁令也 以首有經卒令字故 以名篇하니라
經卒者 以經令分之하여 爲三分焉하니 左軍蒼旗 卒戴蒼羽하고 右軍白旗 卒戴白羽하고 中軍黄旗 卒戴黄羽하나니라
原注
經卒者 以經理士卒之禁令으로 分令之하여 爲三分焉이라
左一軍 用蒼色之旗하니 其卒 首戴蒼色之羽하고 右一軍 用白色之旗하니 卽右白虎也 其卒 首戴白色之羽하고 中一軍 用黄色之旗하니 其卒 首戴黄色之羽
卒有五章하니 前一行 蒼章이요 次二行 赤章이요 次三行 黄章이요 次四行 白章이요 次五行 黒章이니라
原注
卒有五色章號하니
前一行 用蒼色之章하니 蒼色 木也
木生火故 次二行 用赤色之章하니 赤色 火也
火生土故 次三行 用黄色之章하니 黄色 土也
土生金故 次四行 用白色之章하니 白色 金也
金生水故 次五行 用黒色之章하니 黒色 水也
次以經卒하여 亡章者 有誅니라
原注
次以經卒之令하여 若亡失章號者 皆有誅
前一五行 置章於首하고 次二五行 置章於項하고 次三五行 置章於胸하고 次四五行 置章於腹하고 次五五行 置章於腰
如此 卒無非其吏 吏無非其卒이니 見非而不詰하고 見亂而不禁이면 其罪如之니라
原注
前一五行 置章號於首하니 五行 則蒼赤黄白黒之章 皆具焉이라
次二五行 置章號於項하고 次三五行 置章號於胸하고 次四五行 置章號於腹하고 次五五行 置章號於腰
若能如此 卒無所非其吏 吏無所非其卒이니
若將吏見士卒之非而不詰問하고 見士卒之亂而不禁止하면 其罪亦如之 言與爲非作亂者 同罪也
鼓行交闘 則前行進이요 後行退 爲辱衆호되 踰五行而進者 有賞하고 踰五行而後者 有誅하니 所以知進退先後 吏卒之功也
原注
鼓行而前하여 與敵交闘 則前行勇而進者 爲之犯難이라
後行進 舊本 作後行退하니 今從之하니 謂後行怯而退者 爲之辱衆이라
踰越五行而前進者 有賞하고 踰越五行而後退者 有誅하니 所以能知進退先後[法令] 乃吏卒之功也
曰 鼓之하면 前如雷霆하고 動如風雨하여 莫敢當其前하고 莫敢躡其後라하니 言有經也니라
原注
曰 鼓之而前하면 如雷霆之迅疾하고 麾之而動하면 如風雨之暴驟하여 莫有人敢當其前하고 莫有人敢躡其後라하니


原注
경졸령經卒令이란 병사들을 경리經理하는 금령禁令이니, 첫머리에 ‘경졸령經卒令’이라는 글자가 있기 때문에 이를 편명으로 삼은 것이다.
경졸經卒이란 경리經理하는 금령禁令을 가지고 나누어 셋으로 만드는 것이니, 창기蒼旗좌군左軍창색蒼色의 깃털을 머리에 꽂고, 백기白旗우군右軍백색白色의 깃털을 머리에 꽂고, 황기黄旗중군中軍황색黃色의 깃털을 머리에 꽂는다.
原注
경졸經卒은 병사들을 경리經理하는 금령을 가지고 병사들을 나누어 명령해서 셋으로 만드는 것이다.
왼쪽에 있는 1창색蒼色의 깃발을 사용하니 바로 좌청룡左青龍으로 병사들은 머리에 창색蒼色의 깃털을 꽂고, 오른쪽에 있는 1백색白色의 깃발을 사용하니 바로 우백호右白虎로 병사들은 머리에 백색白色의 깃털을 꽂고, 중앙에 있는 1황색黄色의 깃발을 사용하니 병사들은 머리에 황색黄色의 깃털을 꽂는다.
울료자尉繚子》의 에 다만 군대를 좌군左軍우군右軍중군中軍으로 나눈 것은, 생각하건대 당시 나라에 삼군三軍만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병사들에게는 다섯 가지 휘장徽章이 있으니, 앞의 첫 번째 줄은 창색蒼色 휘장이고, 다음 두 번째 줄은 적색赤色 휘장이고, 다음 세 번째 줄은 황색黄色 휘장이고, 다음 네 번째 줄은 백색白色 휘장이고, 다음 다섯 번째 줄은 흑색黒色 휘장이다.
原注
병사들에게는 오색의 장호章號(휘장의 칭호)가 있다.
앞의 첫 번째 줄은 창색蒼色장호章號를 사용하니, 창색蒼色이다.
를 낳기 때문에 다음 두 번째 줄은 적색赤色장호章號를 사용하니, 적색赤色이다.
를 낳기 때문에 다음 세 번째 줄은 황색黄色장호章號를 사용하니, 황색黄色이다.
을 낳기 때문에 다음 네 번째 줄은 백색白色장호章號를 사용하니, 백색白色이다.
를 낳기 때문에 다음 다섯 번째 줄은 흑색黒色장호章號를 사용하니, 흑색黒色이다.
이는 오행상생五行相生의 방도를 취한 것이다.
다음에는 병사들을 경리經理하여 장호章號를 잃은 자에게는 벌을 내린다.
原注
다음에는 병사들을 경리經理하는 금령을 써서 만약 장호章號를 잃은 자에게는 모두 벌을 내린다.
앞의 첫 번째 다섯 줄은 장호章號를 머리에 두고, 다음 두 번째 다섯 줄은 장호章號를 목에 두고, 다음 세 번째 다섯줄은 장호章號를 가슴에 두고, 다음 네 번째 다섯 줄은 장호章號를 배에 두고, 다음 다섯 번째 다섯 줄은 장호章號를 허리에 둔다.
이와 같이 하면 병사들은 군리軍吏의 소속이 아닌 자가 없고, 군리軍吏는 병사의 상관이 아닌 자가 없을 것이니, 군리軍吏가 병사들의 잘못을 보고서도 힐문하지 않고 문란한 것을 보고서도 금지하지 않으면 그 죄를 똑같이 처벌한다.
原注
앞의 첫 번째 다섯 줄은 장호章號를 머리에 두니, 다섯 줄은 창색蒼色적색赤色황색黄色백색白色흑색黒色장호章號가 모두 구비된 것이다.
다음 두 번째 다섯 줄은 장호章號를 목에 두고, 다음 세 번째 다섯 줄은 장호章號를 가슴에 두고, 다음 네 번째 다섯 줄은 장호章號를 배에 두고, 다음 다섯 번째 다섯 줄은 장호章號를 허리에 둔다.
만약 이와 같이 하면 병사들은 〈자기 상관의〉 소속이 아닌 자가 없고, 또 군리軍吏는 〈자기 부하의〉 상관이 아닌 자가 없을 것이다.
만약 장수와 관리가 병사들의 잘못을 보고도 힐문하지 않고 병사들의 혼란함을 보고도 금지하지 않으면 그 죄가 또한 같으니, 그 죄가 같다는 것은 잘못을 저지르고 혼란하게 한 자와 죄가 같음을 말한 것이다.
북을 쳐 행군하여 서로 싸우면, 앞으로 나아가는 자는 험난함을 무릅씀이 되고, 뒷줄에 있어 후퇴하는 자는 군대를 욕되게 함이 되는바, 다섯 줄을 넘어서 전진하는 자에게는 상이 있고, 다섯 줄을 넘어서 후퇴하는 자에게는 벌이 있으니, 이는 나아가고 물러감과 먼저 하고 뒤에 하는 법령이 관리와 병사들의 임을 알게 하려는 것이다.
原注
북을 쳐 행군하여 앞으로 나아가서 적과 서로 싸우게 되면, 앞장서서 용감하게 전진하는 자는 험난함을 무릅쓴다고 하는 것이다.
후행진後行進’을 구본舊本에는 ‘후행퇴後行退’로 썼으니 지금 이를 따르는바, 뒤의 항렬이 겁내어 후퇴하는 자를 일러 군대를 욕되게 한다고 하는 것이다.
다섯 줄을 건너뛰어 전진하는 자는 상이 있고, 다섯 줄을 건너뛰어 후퇴하는 자는 벌이 있으니, 이는 능히 나아가고 물러가고 먼저 하고 뒤에 하는 법령이 관리와 병사들의 임을 알게 하려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르기를 “북을 치면 우레나 벼락처럼 전진하고 폭풍우와 같이 출동하여, 감히 그 앞을 가로막지 못하고 감히 그 뒤를 따르지 못한다.” 하였으니, 경리經理함이 있음을 말한 것이다.
原注
그러므로 이르기를 “북을 쳐 전진하게 하면 우레나 벼락처럼 빠르게 행동하고, 깃발을 휘저어 움직이게 하면 폭풍우처럼 신속히 출동하여, 적이 감히 그 앞을 가로막는 자가 없고 적이 감히 그 뒤를 따라오는 자가 없다.” 하였으니, 이는 경리經理하는 명령이 있음을 말한 것이다.


역주
역주1 左青龍 : 青龍은 四方의 방위를 맡은 四神 중의 하나인데 陰陽五行 상 木은 방위로는 동쪽(왼쪽), 色에 있어서는 靑色에 해당되므로 左青龍이라 한 것이다. 金은 서쪽(오른쪽)이고 白色에 해당되므로 右白虎라 하며, 水는 북쪽(뒤쪽)이고 黑色에 해당되므로 北玄武라 하며, 火는 남쪽(앞쪽)이고 赤色에 해당되므로 南朱雀이라 하는바, 이러한 개념은 天文과 風水地理說에도 널리 이용되었다.
역주2 尉繚之法……止有三軍與 : 원래 군대는 중앙에 있는 中軍과 前‧後‧左‧右의 四軍이 있어 五軍이 되는데, 여기에는 左‧右‧中의 三軍만을 거론했기 때문에 이렇게 말한 것이다.
역주3 [取相生之道也] : 이 구절은 저본에는 없으나 漢文大系本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위의 내용은 天干과 春‧夏‧秋‧冬의 사계절을 따른 것으로, 甲‧乙은 木으로 春이고, 丙‧丁은 火로 夏이고, 戊‧己는 土로 中央이고, 庚‧辛은 金으로 秋이고, 壬‧癸는 水로 冬이다.
역주4 犯難 : 험난함을 범하는 것으로, 강한 적진으로 쳐들어감을 이른다.
역주5 [法令] : 저본에는 없으나 漢文大系本에 의거하여 《直解》와 함께 보충하였다.
역주6 言其有經令也 : 漢文大系本에는 이 부분이 “이는 병사들에게 經理하는 명령이 있으면 적이 능히 우리를 막아내지 못함을 말한 것이다.[言其士卒有經令 莫之能禦也]”라고 부연 설명되어 있다.

울료자직해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