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尉繚子直解

울료자직해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울료자직해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金鼓鈴旗四者 各有法하여 鼓之則進하고 重鼓則擊하며 金之則止하고 重金則退하니 傳令也
麾之左則左하고 麾之右則右하니 奇兵則反是니라
原注
金, 鼓, 鈴, 旗四者 用之各有法하여 鼓之則前進하고 重鼓則奮而擊하며 金之則住止하고 重金則斂而退
用之傳令也
麾之而左하면 則軍皆左하고 麾之而右하면 則軍皆右하니 奇兵則反此道
一鼓 一擊而左하고 一鼓 一擊而右하니 一步一鼓 步鼓也 十步一鼓 趨鼓也 音不絶 騖鼓也
將鼓也 帥鼓也 小鼓 伯鼓也 三鼓同이면 則將, 帥, 伯 其心一也
奇兵則反是니라
鼓失次者 有誅하고 諠譁者 有誅하고 不聽金鼓鈴旗而動者 有誅하나니라
原注
有誅하고 士衆諠譁者 有誅하고 士衆 不聽金, 鼓, 鈴, 旗而擅動者 有誅
百人而敎戰하여 敎成이면 合之千人하고 千人敎成이면 合之萬人하고 萬人敎成이면 會之於三軍하니 三軍之衆 有分有合하여 爲大戰之法이라
敎成이면 試之以閲이니라
原注
百人敎之戰하여 敎成이면 合之於千人하고 千人敎成이면 合之於萬人하고 萬人敎成이면 會之於三軍하니 三軍之衆 則有分有合하여 而爲大戰之法이라
三軍敎之旣成이면 試之以大閲이라
方亦勝하고 圓亦勝하며 錯斜亦勝하고 臨險亦勝이라
敵在山이면 緣而從之하고 敵在淵이면 没而從之하여 求敵 如求亡子하여 從之無疑
能敗敵而制其命하나니라
原注
方陣亦勝하고 圓陣亦勝하며 錯斜之形亦勝하니 是也 臨險地亦勝이라
敵人若在山이면 則緣而從之하고 敵人若在淵이면 則没而從之하여 求敵人 若求亡失之子하여 從之 無所疑惑이라
能敗敵而制其生死之命이라
夫蚤決先定이니 若計不先定하고 慮不蚤決이면 則進退不定하여 疑生必敗하나니라
原注
夫用兵 在蚤決先定하니 若計不預先而定하고 慮不蚤爲之決이면 則進退之心不定하여 疑惑之心生하여 而軍必敗矣
正兵 貴先하고 奇兵 貴後로되 或先或後 制敵者也니라
世將不知法者 專命而行하고 先擊而勇하니 無不敗者也니라
原注
今世之將 不知奇正相變之法하여 專命而自行하니 言不從善也 先擊而恃勇하니 言無深謀也
無不敗者也
其擧有疑而不疑하고 其往有信而不信하고 其致有遲疾而不遲疾하니 是三者 戰之累也니라
原注
其擧動 本有所疑어늘 而反不疑하고 其往 本有所信이어늘 而反不信하고 其致人 本當有遲疾이어늘 而不能遲疾이면 此三者 爲戰之累也


原注
늑졸령勒卒令이란 병사들의 법령을 다스려서 시끄럽게 떠들어 차례를 잃지 않게 하는 것이다.
징과 북과 방울과 깃발 네 가지는 각기 사용하는 방법이 있어서, 북을 치면 나아가고 북을 거듭 치면 공격하며, 징을 치면 멈추고 징을 거듭 치면 후퇴하니, 방울은 명령을 전달하는 도구이다.
깃발은 왼쪽으로 휘저으면 왼쪽으로 가고 오른쪽으로 휘저으면 오른쪽으로 가는데, 기병奇兵은 이와 반대이다.
原注
징과 북과 방울과 깃발 네 가지는 사용함에 각기 방법이 있어서, 북을 치면 전진하고 북을 거듭 치면 분발하여 공격하며, 징을 치면 걸음을 멈추고 징을 거듭 치면 거두어 후퇴한다.
방울은 이를 사용하여 명령을 전달한다.
깃발을 휘저어서 왼쪽으로 가게 하면 군대가 모두 왼쪽으로 가고, 깃발을 휘저어서 오른쪽으로 가게 하면 군대가 모두 오른쪽으로 가는데, 기병奇兵은 이 방법과 반대이다.
북을 한 번 치면 한 번 공격하고 왼쪽으로 가며, 북을 한 번 다시 치면 한 번 공격하고 오른쪽으로 가니, 1에 북을 한 번 치는 것은 걸어가라는 북소리이고, 10보에 북을 한 번 치는 것은 종종걸음으로 달려가라는 북소리이고, 북소리가 끊이지 않음은 급히 달려가라는 북소리이다.
의 북이고 의 북이고 소고小鼓의 북이니, 세 북이 함께 울리면 이 마음이 똑같은 것이다.
기병奇兵은 이와 반대이다.
原注
북을 한 번 치면 1이 공격하고 왼쪽으로 가며, 북을 한 번 치면 1이 공격하고 오른쪽으로 가니, 군대가 1를 갈 때마다 북을 한 번 치는 것은 천천히 걸어가라는 북소리이고, 10보에 북을 한 번 치는 것은 종종걸음으로 달려가라는 북소리이고, 북소리가 끊이지 않는 것은 급히 달려가라는 북소리이다.
서방西方 의 소리이기 때문에 의 북이 되고, 동방東方 의 소리이기 때문에 의 북이 되고, 소고小鼓백장伯長의 북이니, 세 북소리가 똑같이 울리면 의 마음이 똑같은 것이다.
기병奇兵은 이 방법과 반대이다.
이는 정병正兵기병奇兵이 대부분 번갈아 가며 사용되기 때문이다.
북소리의 차례를 잃은 자는 벌이 있고, 시끄럽게 떠드는 자는 벌이 있고, 징과 북과 방울과 깃발의 명령을 따르지 않고 행동하는 자는 벌이 있다.
原注
북소리에 따른 차례를 잃은 자는 벌이 있고, 병사들 중에 시끄럽게 떠드는 자는 벌이 있고, 병사들 중에 징과 북과 방울과 깃발의 신호를 따르지 않고 제멋대로 행동하는 자는 벌이 있다.
전투하는 법식을 백 명에게 가르쳐서 교육이 이루어지면 천 명에 합치고, 천 명에게 가르쳐서 교육이 이루어지면 만 명에 합치고, 만 명에게 가르쳐서 교육이 이루어지면 삼군三軍에 합치니, 삼군三軍의 무리는 나눔이 있고 합침이 있어서 크게 전투하는 법식을 행한다.
그리하여 교육이 이루어지면 군대를 사열한다.
原注
전투하는 법식을 백 명에게 가르쳐서 교육이 이루어지면 천 명에 합치고, 천 명에게 가르쳐서 교육이 이루어지면 만 명에 합치고, 만 명에게 가르쳐서 교육이 이루어지면 삼군三軍에 합치니, 삼군三軍의 무리는 나눔이 있고 합침이 있어서 크게 전투하는 법식을 행한다.
삼군三軍에게 가르쳐서 교육이 이미 이루어지면 대규모 열병으로 시험한다.
은 천자가 군대를 사열하는 것이다.
방형方形으로도 승리하고 원형圓形으로도 승리하며, 비스듬히 엇갈린 으로도 승리하고 험한 곳에 임해서도 승리한다.
적이 에 있으면 적을 따라 으로 올라가고, 적이 못에 있으면 적을 따라 물속으로 뛰어들어서, 적을 찾기를 잃은 자식을 찾듯이 하여 적을 따르면서 의심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능히 적을 패퇴시키고 그 목숨을 제재하는 것이다.
原注
방형方形의 진으로도 승리하고 원형圓形의 진으로도 승리하며 비스듬히 엇갈린 진으로도 승리하니 앞에서 말한 거치鋸齒에서도 승리한다는 것이 이것이요, 험한 지역에 임하여도 승리한다.
적이 만약 높은 에 있으면 적을 따라 으로 올라가고, 적이 만약 깊은 못에 있으면 적을 따라 물속으로 들어가서, 적을 찾기를 잃은 자식을 찾듯이 하여 적을 따르면서 의혹하는 바가 없다.
그러므로 능히 적을 패퇴시키고 적의 사생死生의 운명을 제재하는 것이다.
착사錯斜는 교차하여 비스듬히 기운 것을 이르고, 은 붙잡고 오르는 것이다.
일찍 결단하고 미리 정해야 하니, 만약 계책을 일찍 정하지 않고 생각을 미리 결단하지 않으면, 진퇴를 결정하지 못해서 의심이 생겨 반드시 패한다.
原注
용병用兵은 계책을 일찍 결단하고 생각을 미리 정함에 달려있으니, 만약 계책을 일찍 결단하지 않고 생각을 미리 정하지 않으면, 진퇴에 대한 마음을 결정하지 못하여 의혹하는 마음이 생겨서 군대가 반드시 패하게 된다.
그러므로 정병正兵은 먼저 출동하는 것을 귀하게 여기고 기병奇兵은 뒤늦게 출동하는 것을 귀하게 여기나, 혹 먼저 하고 혹 뒤에 함은 적을 제압하는 방법이다.
原注
그러므로 정병正兵은 먼저 출동하는 것을 귀하게 여기고 기병奇兵은 뒤늦게 출동하는 것을 귀하게 여기나, 혹 기병奇兵이 도리어 먼저 출동하고 혹 정병正兵이 도리어 뒤에 출동하는 것은 바로 적을 제압하는 방법이다.
세상의 장수들 중에 병법兵法을 알지 못하는 자들은 명령을 제멋대로 시행하고 먼저 공격하여 용맹을 부리니, 이렇게 하고서 패하지 않는 자는 없다.
原注
지금 세상의 장수들은 이 서로 변화하는 방법을 알지 못해서 명령을 제멋대로 내리고 독단하여 행하니, 이는 남의 좋은 계책을 따르지 않음을 말한 것이요, 먼저 공격하여 용맹을 믿으니, 이는 깊은 계책이 없음을 말한 것이다.
그러므로 패하지 않는 자가 없는 것이다.
거동에 의심할 만한 점이 있는데도 의심하지 않고, 공격하러 갈 적에 자신할 만한 상황이 있는데도 자신하지 못하고, 적에게 도전할 적에 더디게 하거나 빠르게 해야 할 때가 있는데도 더디게 하거나 빠르게 하지 못하니, 이 세 가지는 전투의 우환이 된다.
原注
거동에 본래 의심할 만한 점이 있는데도 의심하지 않고, 공격하러 갈 적에 본래 자신할 만한 상황이 있는데도 자신하지 못하고, 적에게 도전할 적에 본래 마땅히 더디게 하거나 빠르게 해야 할 때가 있는데도 〈상황에 맞추어〉 더디게 하거나 빠르게 하지 못하면 거동擧動을 제대로 변화하지 못하는 것이니, 이 세 가지는 전투의 우환이 된다.


역주
역주1 勒卒令者……使不得諠譁失次也 : 漢文大系本에는 이 부분이 “勒卒令이란, 勒은 말의 입 안에 물리는 물건으로, 이를 사용하여 병사들에게 재갈을 물려서 시끄럽게 떠들어 차례를 잃지 않게 하는 것이다.[勒卒令者 勒是馬口中銜物 用以勒士卒 而使不得諠譁失次也]”라고 부연 설명되어 있다.
역주2 一鼓一軍擊而左……馳騖之鼓也 : 漢文大系本에는 이 부분이 “북을 치는 것은 기운을 發揚하는 것이니, 바로 거듭하여 북을 치는 것이다. 이는 북을 치는 방법이 똑같지 않음을 말한 것으로, 혹은 북을 한 번 치면 한 번 공격하고 군대가 왼쪽으로 가며, 북을 한 번 치면 한 번 공격하고 군대가 오른쪽으로 가니, 이는 북소리로써 좌‧우를 분별하는 것이다. 군대가 1步를 갈 때마다 북을 한 번 치는 것은 천천히 걸어가라는 북소리이고, 10보에 북을 한 번 치는 것은 종종걸음으로 급히 달려가라는 북소리이고, 북소리가 끊이지 않는 것은 군사들로 하여금 東西로 치달려서 다투어 공격하라는 북소리이다.[擊鼓 聲發揚也 卽再鼓也 此言鼓法之不一 或有一鼓一擊 而軍人左行者 一鼓一擊 而軍人右行者 此以鼓聲分左右也 兵行一步而鼓者 步鼓也 十步而一鼓者 趨走之鼓也 音不斷絶者 欲人東西馳騖爭擊之鼓也]”라고 되어있다.
역주3 商西方金音也……故爲帥鼓 : 宮‧商‧角‧徵‧羽의 五音은 모두 五行에 배열되는바, 宮은 土에, 商은 金에, 角은 木에, 徵는 火에, 羽는 水에 속한다. 商은 金에 속하므로 방위에 있어서는 西方이 되고, 角은 木에 속하므로 東方이 되며, 徵는 火에 속하므로 南方이 되고, 羽는 水에 속하므로 北方이 되며, 宮은 土에 속하므로 中央이 된다.
역주4 [以其多錯用也] : 이 구절은 저본에는 없으나 漢文大系本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역주5 鼓音 失其次序者 : 漢文大系本에는 이 부분이 “북소리에 따른 차례를 잃어 절도에 부합하지 못한 자[鼓音失其次序不合度者]”라고 되어있다.
역주6 [閱 是天子觀兵也] : 이 구절은 저본에는 없으나 漢文大系本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역주7 前所謂鋸齒亦勝 : 前은 본서 〈兵談〉편을 이른다. 鋸齒는 톱날처럼 뾰족뾰족하고 험악한 지형을 이른다.
역주8 [錯斜……攀緣也] : 이 구절은 저본에는 없으나 漢文大系本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역주9 故……乃制敵之法也 : 漢文大系本에는 이 부분이 “앞의 두 句는 奇兵과 正兵을 운용하는 일반적인 이치이다. 그러나 기병인데도 혹 먼저 출동하고 정병인데도 혹 뒤에 출동할 수 있으니, 이는 적을 제압하는 법칙인 것이다.[上二句 用奇正之常理 然[或]有奇兵而或先者 有正兵而或後者 此制敵之法則也]”라고 부연 설명되어 있다. ‘兵’은 위아래의 文理에 따라 보충하였다.
역주10 [則擧動不變化] : 이 구절은 저본에는 없으나 漢文大系本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울료자직해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