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韓非子集解(2)

한비자집해(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한비자집해(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20-191 慈於子者 不敢絶衣食하며 慈於身者 不敢離法度하며 慈於方圓者 不敢舍規矩
故臨兵而慈於士吏 則戰勝敵이요 慈於器械 則城堅固 故曰 慈하야 (於)[以]戰則勝이요 以守則固라하니라
○顧廣圻曰 傅本及今德經 皆作以하고 傅本 作陣이니 與各本全異
先愼曰 傅本 作正이라 案王注 相慜而不避於難이라 故勝也라하니
是晉時本作勝이니 傅本 當作以 慈字逗 老子慈上 有夫字


자식에게 자애로운 자는 감히 입는 것과 먹는 것을 끊지 않고, 자기 몸을 소중히 하는 자는 법도를 벗어나지 않으며, 네모와 동그라미를 잘 그리려는 자는 감히 그림쇠와 곱자를 버리지 않는다.
그러므로 전쟁을 앞두고 사졸을 애호하면 적과의 전투에서 승리할 것이고, 무기와 장비를 아끼면 성이 공고해질 것이다. 그러므로 ≪老子≫에서 “자애롭게 하여 그것으로 싸우면 승리하고, 그것으로 지키면 공고할 것이다.”라고 한 것이다.
顧廣圻傅奕本과 지금의 ≪德經≫에 ‘’는 모두 ‘’로 되어 있고, 傅奕本에 ‘’은 ‘’으로 되어 있으니, 각 본과 전연 다르다.
王先愼傅奕本에 ‘’은 ‘’으로 되어 있다. 살펴보건대 王弼에 ‘相慜而不避於難故勝也(서로 聰敏해서 어려움을 피하지 않기 때문에 승리한다.)’라고 하였으니,
이는 나라 때의 에 ‘’으로 되어 있는 것이니, 傅奕本은 잘못되었다. ‘’는 ‘’가 되어야 한다. ‘’자에서 쉬어야 하니, ≪老子≫에는 ‘’ 위에 ‘’자가 있다.



한비자집해(2) 책은 2021.01.12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