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墨子閒詁(1)

묵자간고(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묵자간고(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3-2-17 齊桓 染於管仲鮑叔하며 晉文 染於舅犯高偃하며
齊桓晉文下 治要 竝有公字하다
畢云 未詳이라 呂氏春秋하다 疑當爲郤하니 晉有郤氏라하다
王云 高 當爲𩫏이라 𩫏 卽城郭之郭이니 形與高相近할새 因譌爲高
賈子過秦篇 據億丈之𩫏이라한대 今本 𩫏譌作高하니 墨子多古字 後人不識이라 傳寫多誤耳하다
左傳 晉大夫 晉語 作郭偃한대 韋注 曰 郭偃 晉大夫卜偃也라하다
商子更法篇 韓子南面篇 竝與晉語同하다 呂氏春秋 作郤偃하니 卽郭之譌 非郤氏之郤也
太平御覽治道部一 引呂氏春秋 正作郭偃하다 云 高與郭 聲之轉也라하다
兪云 高 亦可讀如郭이라 詩緜篇毛傳 曰 王之郭門 曰皐門이라하니 郭偃之爲高偃 猶郭門之爲皐門也라하다


桓公管仲鮑叔에 물들었으며, 文公舅犯高偃에 물들었으며,
管仲管仲
齊桓’과 ‘晉文’ 아래에는 ≪群書治要≫에 모두 ‘’자가 있다.
畢沅:자세히 알 수 없다. ≪呂氏春秋≫에 ‘’는 ‘’으로 되어 있다. 마땅히 ‘’이 되어야 할 듯하니, 나라에 郤氏가 있었기 때문이다.
王念孫:‘’는 ‘𩫏’이 되어야 한다. ‘𩫏’은 곧 ‘城郭’이라고 할 때의 ‘’이니, 모양이 ‘’자와 비슷하여 이 때문에 ‘’로 잘못된 것이다.
賈誼의 ≪新書≫ 〈過秦〉에 “據億丈之𩫏(억장의 성곽에 의지하다.)”이라 하였는데, 今本에는 ‘𩫏’자가 ‘’자로 잘못되어 있다. ≪墨子≫에는 古字가 많아서 後人들이 잘 알지 못하였다. 그러므로 傳寫하면서 잘못된 글자가 많다.
春秋左氏傳≫의 나라 大夫卜偃’은 ≪國語≫ 〈晉語〉에는 ‘郭偃’으로 되어 있는데, 韋昭에 “郭偃나라 大夫卜偃이다.”라 하였다.
商子≫ 〈更法〉과 ≪韓非子≫ 〈南面〉에는 모두 〈‘郭偃’으로 되어 있으니,〉 ≪國語≫ 〈晉語〉와 같다. ≪呂氏春秋≫에는 ‘郤偃’으로 되어 있는데, ‘’은 곧 ‘’의 誤字이니, ‘郤氏’라고 할 때의 ‘’이 아니다.
太平御覽≫ 〈治道部〉 1에서 ≪呂氏春秋≫를 인용한 곳에는 ‘郭偃’으로 바르게 되어 있다. 梁玉繩은 “‘’는 ‘’과 소리가 轉變한 것이다.”라 하였다.
兪樾:‘’ 또한 ‘’과 같이 읽을 수 있다. ≪毛詩≫ 〈〉의 毛傳에 “郭門을 ‘皐門’이라고 한다.”라 하였으니, ‘郭偃’이 ‘高偃’이 되는 것은 ‘郭門’이 ‘皐門’이 되는 것과 같다.


역주
역주1 : 畢本에는 ‘郤’으로 되어 있는데, 孫詒讓이 교감하면서 ‘卻’으로 고쳐 인용하였다.
역주2 卜偃 : 卜筮를 맡은 晉나라 大夫이다. 魯나라의 梓愼, 宋나라의 子韋, 楚나라의 甘公, 魏나라의 石申 등이 占卜과 星象에 밝았다고 한다.
역주3 梁玉繩 : 1744~1819. 淸나라 浙江 錢塘 사람이다. 字는 曜北, 號는 諫菴 또는 淸白士이다. 저서에 ≪史記志疑≫, ≪漢書古今人表考≫, ≪呂子校補≫ 등이 있다.

묵자간고(1) 책은 2020.12.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