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墨子閒詁(1)

묵자간고(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묵자간고(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5-2-15 諸侯之客 四隣之使 雍食而不盛하며
畢云 雍食 疑一饔字 說文 云 饔 孰食也라하다
王云 雍食 當爲雍飱이라 周官外饔 凡賓客之飱饔之事라한대
鄭注 曰 飱 客始至之禮 旣將幣之禮라하니 飱饔 卽饔飱也 饔雍 古字通이라하다
案 王說 是也 糴匡篇 云 年儉 賓祭以하며 年饑 則勤而不賓하며 大荒 賓旅設位有賜라하니 與此略同하다


제후들의 賓客과 사방 이웃 나라의 사신은 음식만을 대접하고 盛饌을 베풀어주지 않으며,
畢沅:雍食은 아마도 ‘’ 한 글자인 듯하다. ≪說文解字≫에 “‘’은 익힌 음식이다.”라 하였다.
王念孫:‘雍食’은 마땅히 ‘雍飱’이 되어야 한다. ≪周禮≫ 〈外饔〉에 “凡賓客之飱饔饗食之事(무릇 빈객에 대한 飱饔饗食의 일)”라 하였는데,
鄭玄에 “‘’은 이 처음 도착했을 때에 〈음식을 대접하는〉 이고, ‘’은 이미 幣帛을 바친 뒤에 〈음식을 대접하는〉 이다.”라 하였으니, ‘飱饔’이 곧 ‘饔飱’이다. ‘’과 ‘’은 옛날에는 글자를 통용하였다.
:王念孫이 옳다. ≪逸周書≫ 〈糴匡〉에 “年儉에는 賓祭中盛으로써 하며, 年饑에는 삼가서 賓禮를 하지 않으며, 大荒에는 賓旅에게 자리를 베풀고 下賜만 있다.”라 하였으니, 이와 대략 같다.


역주
역주1 饗食(사) : 외국 사신에게 饗應을 베푸는 饗禮와 食禮의 병칭이다.
역주2 中盛 : ‘盛’은 古代에 祭祀를 올릴 때, 容器에 穀物을 담은 것을 말한다. 보통 六穀으로 黍, 稷, 稻, 粱, 麥, 瓜를 쓴다. ‘中盛’은 이 중 稻와 粱을 쓰지 않는다. ≪逸周書≫ 〈糴匡〉에 “年儉穀不足 賓祭以中盛(흉년에는 곡식이 부족하여 賓祭에 中盛으로써 한다.)”이라고 하였다.

묵자간고(1) 책은 2020.12.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