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墨子閒詁(1)

묵자간고(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묵자간고(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3-12 臣下 重其爵位而不言하여 近臣則喑하며
畢云 當爲瘖이니 說文 云 瘖 不能言也라하다 宋齊 謂兒泣不止 曰 喑이라하나 非此義
玉篇 云 瘖 於深切이니 不能言이라하고 於金‧於甘二切이니 啼極無聲也라하니 則作喑 亦是라하다
詒讓案 喑 瘖字同이니 尙賢下篇 有瘖字 晏子諫下篇 云 近臣嘿이요 遠臣瘖이라하고
又云 朝居嚴이면 則下無言이요 下無言이면 則上無聞矣
下無言 則吾謂之瘖이라하고 上無聞 則吾謂之聾이라하고
正諫篇 晏子云 下無言 則謂之喑이라하니 卽瘖也
又穀梁文六年傳 云 下闇이면 則上聾이라하니 與喑‧瘖字亦通이라


신하가 자신의 爵位를 소중히 여겨 바른말을 하지 않아서 近臣은 입을 다물고
畢沅:〈‘’은〉 ‘’이 되어야 하니, ≪說文解字≫에 “‘’은 말을 못하는 것이다.”라 하였다. “‘’은 나라와 나라에서 어린아이가 울음을 그치지 않는 것을 ‘’이라 한다.”라 하였으나 이 뜻은 아니다.
玉篇≫에 “‘’은 ‘’와 ‘’의 반절이니, 말을 못하는 것이다.”라 하였고, “‘’은 ‘’와 ‘’의 반절, ‘’와 ‘’의 반절 두 가지 음이니, 울다가 목이 잠겨 소리를 못내는 것이다.”라 하였으니, ‘’으로 써도 옳다.
詒讓案:‘’은 ‘’자와 같으니, ≪墨子≫ 〈尙賢 〉에 ‘’자가 있다. ≪晏子春秋≫ 〈諫下〉에 “가까운 신하는 침묵하고 먼 신하는 말을 잃는다.[近臣嘿 遠臣瘖]”라 하였고,
또 “조정이 엄하기만 하면 아래에서는 입을 다물고 아래에서 입을 다물면 위에서는 듣지 못한다.
아래에서 입을 다무는 것을 나는 ‘’이라 하고 위에서 듣지 못하는 것을 나는 ‘’이라 한다.”라 하였고,
說苑≫ 〈正諫〉에 “晏子가 이르기를 ‘아래에서 말이 없는 것을 ’이라 하였다.”라 하니, ‘’은 곧 ‘’이다.
또 ≪春秋穀梁傳文公 6년 조에 “아래에서 침묵하면[] 위에서는 듣지 못한다.”라 하였으니, ‘’은 ‘’‧‘’자와도 통한다.


역주
역주1 說苑 : 前漢의 劉向(B.C.77?~B.C.6?)의 저술이다. 총 20권이다. 춘추시대로부터 漢나라 초에 이르는 여러 학자의 전기와 일화를 모은 책이다. 宋나라의 曾鞏이 散佚된 것을 보충하였다.

묵자간고(1) 책은 2020.12.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