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墨子閒詁(1)

묵자간고(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묵자간고(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7-2-4 武王勝殷殺紂하여 環天下하여 自立以爲王 事成功立하여 無大後患이라 因先王之樂하여 又自作樂하고 命曰 象하니라
畢云 呂氏春秋 云 周公 爲三象이라하니 乃成王之樂이라 此云 象又是武王作이니 未詳이라하다
案 毛詩周頌序 云 維淸 奏象舞也라한대 鄭箋 云 象 用兵時 刺伐之舞 武王制焉이라하다
禮記文王世子 下管象이라한대 鄭注 云 象 周武王伐紂之樂이라하다
春秋繁露三代改制質文篇 云 文王作武樂하며 武王作象樂하며 周公作汋樂이라하다
淮南子氾論訓 云 周武象이라한대 高注 云 武王樂也라하다
白虎通義禮樂篇 云 周公曰 酌이요 武王曰 象者 象太平而作樂하여 示已太平也
合曰 大武라하니 此皆以象爲武王所作이라 畢專據呂覽古樂篇하여 以疑此書하니 殊爲失攷
周禮大司樂六樂 有大武而無象하니 則大武自爲周之正樂이요 蓋舞之小者
周頌 孔疏 謂象舞 象文王之事 大武 象武王之事 大武之樂 亦爲象이라하니
合武象하여 爲一 非也 左襄二十九年傳라한대
杜注 云 象箾 舞所執이니 이라하니 杜又以象爲文王樂이라
史記吳世家集解 引賈逵 詩周頌疏 引服虔 說竝同하니 蓋皆傳聞之異


武王나라를 이기고 를 죽여 천하를 도모하여 스스로 우뚝 서 왕이 되었을 때, 일이 이루어지고 이 세워져 큰 後患이 없었다. 그리하여 先王을 이어받아 또 스스로 을 만들고서 ‘’이라 命名하였다.
畢沅:≪呂氏春秋≫에 “周公이 세 개의 ‘’을 지었다.”라 하였으니, 바로 成王이다. 그런데 여기에서는 ‘’을 또 武王이 지었다고 하니, 자세히 알 수 없다.
:≪毛詩≫ 〈周頌 維淸〉의 毛序에는 “〈維淸〉은 象舞를 연주한다.”라 하였는데, 鄭玄에 “‘’은 用兵할 때 창칼로 찌르고 베는 모습을 본뜬 춤이니, 武王이 만든 것이다.”라 하였다.
禮記≫ 〈文王世子〉에 “下管象( 아래에서는 ‘象舞’의 管樂器로 연주한다.)”이라 하였는데, 鄭玄에 “‘’은 武王誅伐하는 내용의 이다.”라 하였다.
春秋繁露≫ 〈三代改制質文〉에 “文王武樂을 지었고, 武王象樂을 지었고, 周公汋樂을 지었다.”라 하였다.
淮南子≫ 〈氾論訓〉에 “周武象”이라 하였는데, 高誘에 “〈‘’은〉 武王이다.”라 하였다.
白虎通義≫ 〈禮樂〉에 “周公을 ‘’이라 하며, 武王을 ‘’이라 한 것은 太平함을 본떠서 을 지어 이미 太平한 시대임을 보인 것이니,
합하여 ‘大武’라 한다.”라 하였으니, 이는 모두 ‘’을 武王이 지은 것이라 여긴 것이다. 畢沅은 ≪呂氏春秋≫ 〈古樂〉에만 의거하여 이 글을 의심하였으니, 상고함이 매우 잘못되었다.
周禮≫ 〈大司樂 六樂〉에 ‘大武’는 있으나 ‘’은 없으니, 그렇다면 ‘大武’는 저대로 周公正樂이며, ‘’은 아마도 가운데 작은 것인 듯하다.
毛詩≫ 〈周頌 維淸孔穎達에 “‘象舞’는 文王의 일을 본뜬 것이고 ‘大武’는 武王의 일을 본뜬 것인데, ‘大武’의 이 또한 ‘’이 된다.”라 하니,
에서 ‘’와 ‘’을 하여 하나로 본 것은 옳지 않다. ≪春秋左氏傳襄公 29년 조에 “〈季札이〉 象箾舞南籥舞를 본다.”라 하였는데,
杜預에 “‘象箾’는 춤추는 사람이 손에 쥐는 것이니, 文王이다.”라 하였으니, 두예는 또 ‘’을 文王으로 여긴 것이다.
史記集解≫ 〈吳世家〉에서 賈逵를 인용한 곳과 ≪毛詩≫ 〈周頌 維淸〉 공영달의 에서 服虔를 인용한 곳은 이 모두 이와 같으니, 아마도 모두 傳聞이 달랐을 듯하다.


역주
역주1 : 底本에는 ‘傅’로 되어 있으며, 漢文大系本에는 ‘傳’으로 되어 있다. 漢文大系本을 따라 번역하였다.
역주2 見舞象箾南籥者 : ‘象箾’는 箾韶의 伴奏에 맞추어 象舞를 추는 춤이며, ‘南籥’은 南樂의 伴奏에 맞추어 추는 춤이다. ‘象箾’는 武舞이고 ‘南籥’은 文舞라고도 한다. ≪春秋左氏傳≫ 襄公 29년 조에 “〈季札이〉 象箾舞와 南籥舞를 보고서 ‘훌륭합니다. 다만 恨이 있는 듯합니다.’라 하였으며, 大武舞를 보고서 ‘훌륭합니다. 周나라가 興盛했을 때 아마도 이와 같았을 것입니다.’라 하였다.[見舞象箾南籥者 曰 美哉 猶有憾 見舞大武者 曰 美哉 周之盛也 其若此乎]”라고 보인다.
역주3 文王之樂 : 杜預의 注에 “象箾 舞所執 南籥 以籥舞也 皆文王之樂(象箾는 춤추는 사람이 손에 쥐는 것이며, 南籥은 籥舞이니, 모두 文王의 樂이다.)”이라고 보인다.

묵자간고(1) 책은 2020.12.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