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墨子閒詁(1)

묵자간고(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묵자간고(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8-6-15 授之政하니 其謀得하고 文王擧泰顚於罝罔之中하여
書君奭 云 惟文王 尙克修和我有夏 亦惟有若 有若閎夭 有若散宜生 有若泰顚 有若南宮括이라한대
僞孔傳 云 閎이라하다 詩周南兔罝敍 云 兔罝 后妃之化也
關雎之化行하니 則莫不好德하고 賢人衆多也라하고 毛傳 云 兔罝 兔罟也라하다
畢云 事未詳이라 或以詩兔罝有公侯腹心之而爲說이니
恐此詩卽賦閎夭泰顚事 古者書傳未湮 翟必有據라하다
蘇云 罝 卽詩所謂兔罝 當爲閎夭而作이라 泰顚 當卽
罝屬夭 則罔屬顚이요 與太公釣渭遇文王事 亦合이라
迨馬融注이면 以泰顚與太公望竝擧하니 後世以爲二人이라
然文王諸臣 自以太公爲稱首로되 書君奭篇 唯以泰顚與諸臣竝擧하고 而不及太公하고
逸周書克殷篇 亦然이라 若使果爲二人이면 豈容都不道及이리오 是顚卽望 無疑也라하다
案 罝罔通稱이니 蘇分屬二人 非也 太顚卽太公 乃宋之謬說이라
攷詩大雅緜컨대 孔疏 引鄭君奭注云 不及呂望太師也 敎文王以大德이나 謙不以自比焉이라하니
是馬鄭竝以泰顚與太公非一人이라 周書克殷篇 有泰顚하고 又有尙父하니 尤其塙證이라 吳說不足據어늘 蘇從之하니 傎矣


그에게 정사를 맡기니 〈을 타도할〉 계획을 실현할 수 있었고, 文王이 사냥하다가 閎夭泰顚을 기용하여
書經≫ 〈君奭〉에 “文王이 우리의 諸夏를 잘 다스릴 수 있는 것은 또한 오직 虢叔閎夭散宜生泰顚南宮括 같은 사람이 있었기 때문이다.”라 하였고
僞古文尙書≫의 僞孔安國傳에 “이고 이다.”라 하였다. ≪詩經≫ 〈周南 兔罝毛序에 “〈兔罝〉는 后妃의 교화를 읊은 것이다.
關雎〉의 교화가 행해지니 을 좋아하지 않음이 없고 어진 사람이 많아졌다.”고 하였고, 毛傳에 “兔罝兔罟(토끼 잡는 그물)이다.”라 하였다.
畢沅:이 일은 자세히 알 수 없다. 어떤 이는 ≪詩經≫ 〈兔罝〉에 ‘公侯의 좋은 짝이로다.[公侯腹心]’라는 말이 있다는 것을 근거로 설명하기도 하니
아마도 이 시는 閎夭泰顚의 일을 읊은 것인 듯하다. 옛날 ≪書傳≫이 없어지지 않았을 때에 墨翟이 반드시 근거한 바가 있었을 것이다.
蘇時學:는 곧 ≪詩經≫에서 이른바 〈兔罝〉이니 閎夭를 두고 지은 것일 터이다. 泰顚은 응당 바로 太公望일 것이다.
閎夭에 관한 일이면 泰顚에 관한 일이고 太公渭水에서 낚시질하다가 文王을 만난 일과 부합한다.
그런데 馬融十亂에 대한 주에 이르면 泰顚太公望을 함께 거론하니 후대에는 이들을 두 사람으로 여긴 것이다.
그러나 文王의 여러 신하들 중 원래 太公望을 제일 먼저 꼽는데 ≪書經≫ 〈君奭〉에서만 泰顚과 다른 신하들을 함께 꼽으면서 太公望을 언급하지 않았고
逸周書≫ 〈克殷〉 또한 그러하니, 만약 정말 두 사람이라면 어찌 전혀 언급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이것으로 泰顚이 곧 太公望임은 의심할 바 없다.
:通稱이니 蘇時學이 이를 두 사람에게 分屬한 것은 잘못이다. 太顚이 곧 太公望이라는 설은 나라 吳仁傑의 잘못된 설이다.
詩經≫ 〈大雅 孔穎達에서 ≪書經≫ 〈君奭鄭玄를 인용하여 “〈周公泰顚 등 다른 신하들을 열거하면서〉 太公望 太師를 언급하지 않은 것은 〈太公望이〉 큰 덕으로 文王을 가르쳤으니 周公 자신이 겸손하게 스스로 거기에 견주지 않은 것이다.”라 하였는데,
이것을 보면 馬融鄭玄 모두 泰顚太公望을 한 사람으로 여기지 않은 것이다. ≪書經≫ 〈周書 克殷〉에 泰顚도 있고 尙父(太公望)도 있으니 더욱 확실한 증거가 된다. 吳仁傑의 설은 근거할 만하지 않은데 蘇時學이 이를 따랐으니 잘못된 것이다.


역주
역주1 閎夭 : 西周의 開國功臣으로, 西伯(文王)의 ‘四友(閎夭, 泰顚, 散宜生, 南宮括)’ 중의 한 명이다. 西伯이 羑里에 갇혔을 때 散宜生 등과 함께 紂王에게 미녀와 보물을 바쳐 그를 구하였고, 훗날 武王을 도와 殷나라를 멸망시켰다.
역주2 虢叔 : 姓은 姬이다. 周 文王의 동생으로 형인 虢仲과 함께 周 文王의 卿士였다. 周 武王이 殷나라를 멸망시킨 후에 두 숙부를 虢國의 國君으로 봉하였는데, 虢仲은 雍 땅을 맡아 西虢이라고 불렸고, 虢叔은 制 땅에 봉해져 東虢이라 불렸다.
역주3 (詩)[語] : 저본에는 ‘詩’로 되어 있으나, 활자본에 의거하여 ‘語’로 바로잡았다.
역주4 太公望 : B.C.1156~B.C.1017. 周나라 초기의 정치가로, 姓은 姜이고 氏는 呂이며 名은 尙이고 字는 子牙다. 속칭 姜太公이라 한다. 文王에게 발탁되어 太師가 되었고, 武王을 도와 殷나라를 멸망시켰으며, 그 공으로 齊나라에 봉해졌다.
역주5 十亂 : ≪書經≫ 〈泰誓〉에 “나(武王)에게는 亂臣 10명이 있으니 마음과 덕을 같이한다.[予有亂臣十人 同心同德]”는 말이 나오는데, 여기에서 ‘十亂’이란 말이 나왔고, 이는 武王을 보좌하여 나라를 다스리고 난을 평정한 10명의 대신을 지칭한다.
역주6 吳仁傑 : ?~? 字는 斗南, 혹은 南英이며, 號는 蠹隱이다. 淳熙 5년(1178)에 진사가 되어 國子學錄 등의 관직을 역임하였다. 저서에 ≪陶靖節先生年譜≫, ≪兩漢刊誤補遺≫, ≪離騷草木疏≫, ≪易圖說≫ 등이 있다.

묵자간고(1) 책은 2020.12.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