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墨子閒詁(1)

묵자간고(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묵자간고(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9-4-4 不能分人以事하고 厚於貨者 不能分人以祿이라하니라 事則不與하고 祿則不分하니
請問天下之賢人이라도 將何自至乎王公大人之側哉
若苟賢者不至乎王公大人之側이면 則此不肖者 在左右也 不肖者 在左右 則其所譽不當賢이요 而所罰不當暴
王公大人 尊此以爲政乎國家 則賞亦必不當賢이요 而罰亦必不當暴
若苟賞不當賢이요 而罰不當暴 則是爲賢者不勸하고 而爲暴者不沮矣리니 是以 入則不慈孝父母하고
國語齊語 云 不慈孝於父母하고 不長弟於鄕里라하다
王引之云 賈子道術篇 云 親愛利子 謂之慈 子愛利親 謂之孝라하니
孝與慈不同이나 而同取愛利之義 孝於父母 亦可謂之孝慈 莊子漁父篇 曰 事親則慈孝라하다


남에게 일을 나누어줄 수 없고, 재화에 욕심이 많은 자는 남에게 봉록을 나누어 줄 수 없다.’라 하였다. 일도 주지 않고 봉록도 나누지 않으니,
천하의 어진 사람을 청하더라도 장차 어디에서 王公大人의 곁으로 오겠는가?
만약 진실로 어진 사람이 王公大人의 곁에 오지 않는다면 못난 사람이 〈王公大人의〉 좌우에 있게 된다. 못난 사람이 좌우에 있게 된다면 그들이 칭찬하는 자는 어진 사람이 아닐 것이고 그들이 처벌하는 자는 포악한 사람이 아닐 것이다.
王公大人이 이들을 존중하여 국가에 정사를 펼친다면, 상도 반드시 어진 사람에게 주어지지 않고, 벌도 반드시 포악한 사람에게 주어지지 않을 것이다.
만약 진실로 어진 사람을 상 주지 않고 포악한 사람을 벌주지 않는다면, 바로 어진 사람이 되는 것을 권장하지 못하고 포악한 사람이 되는 것을 막지 못할 것이니, 이런 까닭에 집에 들어가서는 부모에게 효도하지 않고
國語≫ 〈齊語〉에 “不慈孝於父母 不長弟於鄕里(부모에게 효도하지 않고 마을 어른들을 공경하지 않는다.)”라 하였다.
王引之:賈誼의 ≪新書≫ 〈道術〉에 “어버이가 자식을 아끼고 이롭게 하는 것을 라 하고 자식이 어버이를 아끼고 이롭게 하는 것을 라 한다.”고 하였다.
는 다른 것이지만, 다 같이 아끼고 이롭게 하는 뜻이 있으니, 그런 까닭에 부모에게 효도하는 것도 ‘孝慈’라 할 수 있다. ≪莊子≫ 〈漁父〉에 “어버이를 섬기는 것이 慈孝이다.”라 하였다.



묵자간고(1) 책은 2020.12.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