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墨子閒詁(1)

묵자간고(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묵자간고(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1-3-3 今若天飄風苦雨
王云 今若天 當爲夫 與天字相似 篇內又多天字 夫誤爲天이라
今若夫 猶言今夫 兼愛篇 曰 今若夫攻城野戰 殺身而爲名 此天下百姓之所皆難也라하며
又曰 今若夫兼相愛하며 交相利 此自先聖六王者親行之라하며
又曰 今若夫兼相愛하며 交相利하니 此其有利且易爲也 不可勝計也라하다
覽冥篇 曰 今若夫申韓商鞅之爲治也라하니 皆其證矣라하다
案 王說 亦通이라 但中篇 云 故 當若天降寒熱不節하며 雪霜雨露不時하여 五穀不孰하며
六畜不遂하니 疾菑戾疫 飄風苦雨 荐臻而至者 此天之降罰也 則此天字 似非譌文이라
爾雅釋言 云 迥風爲飄라하며 詩大雅何人斯毛傳 云 飄風 暴起之風이라한대 釋文 云 疾風也라하다
四年傳라한대 杜注 云 霖雨 爲人所患苦라하다
禮記月令 云 苦雨數至하여 五穀不滋라하다


이제 만일 하늘에서 폭풍이나 장맛비가
王念孫:‘今若天’의 ‘’은 마땅히 ‘’가 되어야 한다. ‘’가 ‘’과 字形이 비슷한 데다가 이 에서 또 ‘’자가 많이 나오기 때문에 ‘’가 ‘’으로 잘못된 것이다.
今若夫’는 ‘今夫’라는 말과 같다. ≪墨子≫ 〈兼愛〉에 “今若夫攻城野戰 殺身而爲名 此天下百姓之所皆難也(이제 저 성을 공격하고 들판에서 교전함에 殺身하여 명예롭게 되는 것은 천하의 백성들이 모두 어렵게 여기는 바이다.)”라 하였으며,
또 “今若夫兼相愛 交相利 此自先聖六王者親行之(이제 저 아울러 서로를 아껴주고 서로를 이롭게 해주는 것은 先代의 여섯 聖王 때부터 직접 하신 것이다.)”라 하였으며,
또 “今若夫兼相愛 交相利 此其有利且易爲也 不可勝計也(이제 저 아울러 서로를 아껴주고 서로를 이롭게 해주니 이렇게 하는 것이 이롭기도 할 뿐더러 하기도 쉬운 것을 이루 다 헤아릴 수 없다.)”라 하였다.
淮南子≫ 〈覽冥〉에는 “今若夫申韓商鞅之爲治也(이제 저 申不害韓非子商鞅의 다스림은)”라 하였으니, 모두 그 증거이다.
:王念孫이 또한 통한다. 다만 ≪墨子≫ 〈尙同 〉에는 “故當若天降寒熱不節 雪霜雨露不時 五穀不孰(그러므로 하늘이 추위와 더위를 내리는 것이 節度에 맞지 않고, 눈과 서리와 비와 이슬이 제때에 내리지 않아 五穀이 여물지 않으며)
六畜不遂 疾菑戾疫 飄風苦雨 荐臻而至者 此天之降罰也(六畜은 자라지 않으며, 나쁜 疫疾과 폭풍과 장맛비가 계속해서 이르는 것은 이는 하늘이 벌을 내린 것이다.)”라 하였으니, 여기서의 ‘’자는 誤字는 아닌 듯하다.
爾雅≫ 〈釋言〉에 “바람이 회오리치며 부는 것을 ‘’라 한다.”라 하였으며, ≪詩經≫ 〈大雅 何人斯毛傳에 “飄風은 갑자기 일어나는 바람이다.”라 하였는데, ≪經典釋文≫에 “〈는〉 疾風이다.”라 하였다.
春秋左氏傳昭公 4년 조에 “봄에는 싸늘한 바람이 없고, 가을에는 장맛비가 없다.”라 하였는데, 杜預에 “장맛비는 사람들이 괴롭게 여기는 것이다.”라 하였다.
禮記≫ 〈月令〉에 “장맛비가 자주 오니, 五穀이 여물지 않는다.”라 하였다.


역주
역주1 鴻烈 : ≪淮南子≫의 異稱이다.
역주2 (莊)[昭] : 저본에는 ‘莊’으로 되어 있으나, ≪春秋左氏傳≫에 의거하여 ‘昭’로 바로잡았다.
역주3 春無凄風 秋無苦雨 : ≪春秋左氏傳≫ 昭公 4년 조에 “〈얼음을 잘 貯藏하고 잘 사용하면 겨울에는 溫暖한 날이 없고〉 여름에는 陰寒한 날이 없으며, 봄에는 싸늘한 바람이 없고, 가을에는 장맛비가 없으며, 천둥이 치더라도 벼락은 없으며, 서리와 우박으로 인한 재해가 없으며, 疫疾이 돌지 않아 백성은 夭折하지 않습니다.[夏無伏陰 春無凄風 秋無苦雨 雷出不震 無菑霜雹 癘疾不降 民不夭札]”라고 보인다.

묵자간고(1) 책은 2020.12.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