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墨子閒詁(1)

묵자간고(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묵자간고(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2-2-1 明乎 民之無正長以一同天下之義하여 而天下亂也로다
是故 選擇天下賢良하여 聖知辯慧之人 立以爲天子하고 使從事乎一同天下之義하니라
天子旣以立矣로대 以爲唯其耳目之으론
畢云 請 當爲情하니 下同이라하다
顧云 史記樂書 情文俱盡이라한대 徐廣曰 古情字 或假作請하니 諸子中多有此比라하다
洪云 列子說符篇 發於此而應於外者 唯請이라한대 當作情이라하며
荀子 聽之經 明其請이라한대 楊倞注 當爲情이라하니
古文이니 與心字篆文으로 字形近이라 情字多爲請이라하다


백성에게 正長이 없어 이 때문에 天下를 하나로 같게 하지 못하여 천하가 어지러워진 것임이 분명하도다!”
이런 까닭에 천하의 賢良한 자를 가려 뽑아 그중 聖知辯慧를 갖춘 사람을 세워서 天子로 삼고 그로 하여금 天下를 하나로 같게 하는 데 從事하도록 하였다.
天子가 세워졌더라도 오직 그의 귀로 듣고 눈으로 보는 실정만으로는
畢沅:‘’은 마땅히 ‘’이 되어야 하니, 아래도 같다.
顧廣圻:≪史記≫ 〈樂書〉에 “情文俱盡(情理文飾이 모두 갖추어지다.)”이라 하였는데, 徐廣이 이르기를 “옛날에 ‘’자는 간혹 假借하여 ‘’으로 되어 있으니, 諸子書 안에는 이러한 경우가 많다.
洪頤煊:≪列子≫ 〈說符〉에 “發於此而應於外者 唯請(이 안에서 하여 外物하는 것은 ‘’이다.)”이라 하였는데, 張湛에 “‘’은 마땅히 ‘’이 되어야 한다.”라 하였으며,
荀子≫ 〈成相〉에 “聽之經 明其請(獄事를 처리하는 법은 그 實情을 밝히는 데 있다.)”이라 하였는데, 楊倞에 “‘’은 마땅히 ‘’이 되어야 한다.”라 하였으니,
’의 古文인 ‘’이 ‘’자의 篆文인 ‘’과 글자 모양이 비슷하기 때문에 ‘’자가 ‘’이 된 경우가 많다.


역주
역주1 (請)[情] : 저본에는 ‘請’으로 되어 있으나, 아래 諸家의 注에 의거하여 ‘情’으로 바로잡았다.
역주2 張湛 : 晉나라 때 사람으로, 그에 대해서는 ≪晉書≫에 전하는 내용이 없으며, 대략 320년 전후에 출생한 것으로 보고 있다. ≪世說新語≫ 注에 “字는 虛度이다. 高平 사람이다.”라고 하였으며, ≪張氏譜≫에 의하면 張湛은 벼슬이 中書郞에 이르렀다고 한다. ≪列子≫에 注를 달았다.
역주3 成相篇 : 저본 傍注에 “成相篇은 원래 ‘成用篇’으로 잘못되어 있으나, ≪荀子≫에 의거하여 고쳤다.”라고 하였다.

묵자간고(1) 책은 2020.12.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