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墨子閒詁(2)

묵자간고(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묵자간고(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3-2-10 故 古者 建國設都하여 乃立后王君公하여 奉以卿士師長하니 非欲用
王云 說字 義不可通이라 當爲逸이니 字之誤也
中篇 曰 夫建國設都하고 乃作后王君公 否用泰也 卿大夫師長 否用佚也라한대
否用佚 卽非用逸이니 是其證이라 猶非也 說見尙賢下
說命 建邦設都하여 樹后王君公하시고 承以大夫師長하심은 不惟逸豫라하니 卽用墨子而小變其文이라하다
案 王說 是也 僞孔傳 云 言立國設都하여 立君臣上下하심은 不使有位者 逸豫民上이니 言立之主使治民이라하다


그러므로 옛날에 나라를 세우고 도읍을 설치하여 后王君公을 세워 卿士師長으로 받들게 하였으니, 이는 〈그렇게 함으로써 后王君公을〉 편안하게 해주려고 해서가 아니라,
王念孫:‘’자는 뜻이 통하지 않는다. ‘’은 응당 ‘’자일 것이니 誤字이다.
墨子≫ ≪尙同 ≫에 “夫建國設都 乃作后王君公 否用泰也 卿大夫師長 否用佚也(나라를 세우고 도읍을 설치하자 이에 后王君公을 일으킨 것은 교만을 부리려 해서가 아니며 卿大夫師長을 둔 것은 편안하려고 해서가 아니다.)”라 하였는데,
否用佚’은 곧 ‘非用逸’이니, 이것이 그 증거이다. ‘’는 ‘’와 같으니, 설명이 ≪墨子≫ ≪尙賢 ≫에 보인다.
僞古文尙書≫ 〈說命〉에 “建邦設都 樹后王君公 承以大夫師長 不惟逸豫(나라를 세우고 도읍을 설치하여 后王君公을 세우고 大夫師長으로 돕게 한 것은 안일하게 즐기려고 해서가 아니다.)”라 하였으니, ≪墨子≫의 글을 가져다 쓰면서 그 글을 약간 바꾼 것이다.
:王念孫이 옳다. ≪僞古文尙書≫에는 “言立國設都 立君臣上下 不使有位者逸豫民上 言立之主使治民(를 세우고 君臣上下를 세운 것은 지위에 있는 자들이 백성의 위에서 편안하게 누리게 하려고 해서가 아니라는 말이며, 이들을 세워 백성을 다스리는 일을 주관케 한다는 말이다.)”이라 하였다.


역주
역주1 (說)[逸] : 저본에는 ‘說’로 되어 있으나, 王念孫의 주에 의거하여 ‘逸’로 바로잡았다.
역주2 僞古文 : ≪僞古文尙書≫를 말한다. 晉代 梅賾(혹은 梅頤)이 晉 元帝에게 바친 ≪尙書≫로, 古文經에 假託하여 僞造하였으므로, ≪僞古文尙書≫ 혹은 ≪僞孔傳≫이라 칭한다.

묵자간고(2) 책은 2020.12.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