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墨子閒詁(2)

묵자간고(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묵자간고(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9-2-10 曰 死命爲上이요 多殺次之 身傷者爲下 又況失列北橈乎哉 罪死無赦하리라하여
舊本 失作先하고 赦作殺이라
王云 先列二字 義不可通이니 當是失列之誤 謂失其行列也 罪死無殺 義亦不可通이니 當作罪死無赦 此涉上下文殺字而誤
畢本 橈作撓하고 云 北 謂奔北也이니 北之言 背馳 撓之言 曲行이니 謂逗撓라하다
案 王校是也 今據正이라 俗字이니 據道藏本正이라 國語吳語韋注 云 軍敗奔走曰北라하다


軍士들에게〉 말하기를 “君命에 목숨을 바치는 것이 最上이요, 賊兵을 많이 殺傷하는 것이 次上이요, 自身負傷당하는 것이 最下이다. 또 하물며 대오에서 낙오하여 패배한 자이겠는가. 사형에 처하여 용서치 않으리라.”라 하여
舊本에 ‘’은 ‘’으로 되어 있고, ‘’는 ‘’로 되어 있었다.
王念孫:‘先列’ 두 자는 의미가 통하지 않는다. 응당 ‘失列’의 잘못일 것이니, 行列을 놓쳤다는 의미이다. “罪死無殺”이라는 것도 의미가 또한 통하지 않는다. 응당 “罪死無赦”라고 해야 하니, 이는 위아래 글의 ‘’자에 걸려 잘못된 것이다.
畢沅에 ‘’가 ‘’로 되어 있고, “는 달아난다는 뜻이니, 라는 말은 背馳이다. 라는 말은 曲行이니 머뭇거리고 달아나는 것이다.”라 하였다.
:王念孫校勘이 옳으니, 지금 그것에 의거하여 바로잡는다. ‘’는 〈‘’의〉 속자이니, 道藏本에 의거하여 바로잡는다. ≪國語≫ 〈吳語韋昭에 “軍隊가 패배하여 달아나는 것을 ‘’라고 한다.”라 하였다.
春秋左氏傳成公 2년에 “師徒橈敗(군대가 꺾여 패배하다.)”라 하였는데, 杜預에 “는 꺾임이다.”라 하였다.


역주
역주1 左成二年傳……曲也 : 魯 成公 2년 여름 6월에 晉나라 군대가 齊나라를 공격해 馬陘을 쳐들어갔을 때 齊侯가 賓媚人을 시켜 화친을 맺게 하자, 賓媚人이 晉나라 측에 “晉君의 위세에 겁을 먹고 우리 군대가 꺾여 패배하였다.[畏君之震 師徒撓敗]”라 하였다. 여기에 대해 杜預는 “震은 진동함이요, 撓는 꺾임이다.[震動 撓曲也]”라고 注를 달았는데, 林堯叟가 附注에서 “震動하는 晉君의 威勢에 겁이 나서 齊나라 군대의 士氣가 꺾여 失敗했다는 말이다.[畏晉君震動之威 齊之師徒撓曲敗喪]”라고 해설하였다.

묵자간고(2) 책은 2020.12.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