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墨子閒詁(2)

묵자간고(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묵자간고(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25-5-7 以此求治 譬猶使人三睘而毋負己也
王引之云 睘 與還同이라 讀周還折還之還이니 謂轉折也
使人三轉其身於己前하면 則或轉而向己하고 或轉而背己하니 皆勢所必然이라
如此하여 而欲使其毋背己 不可得也 曰 以此求治 譬猶使人三睘而毋負己也라하니
亦言求治之必不可得也 亦背也 明堂位 天子負斧依라한대 負之言背也라하고
秦策 齊東負海하고 北倚河라한대 高注 背也라하다 與背 古同聲하여 而字亦相通이라
史記主父偃傳 南面負扆라한대 漢書 作背하며 漢書高紀 項羽背約이라한대 史記 作負라하다
案 王說 是也 莊子說劍篇 說趙文王하여 宰人上食王三環之라한대 釋文 云 環 繞也라하니 睘環 義同이라


이러한 방식으로 다스려지기를 바라는 것은 비유컨대 〈어떤〉 사람에게 세 번 몸을 회전하게 하고서 자기에게 등을 보이지 말라고 하는 것과 같으니,
王引之:‘’은 ‘’과 같다. 은 ‘周還’, ‘折還’이라고 할 때의 ‘’으로 읽어야 하니, ‘轉折(회전하고 꺾이다)’함을 말한다.
자기 앞에서 남이 세 번 그 몸을 회전하게 해보면, 혹은 회전하다가 자기 쪽을 향하기도 하고 혹은 회전하다가 자기 쪽을 등지기도 하니, 모두 형세상 반드시 그러한 법이다.
이와 같아서 자기 쪽을 등지지 말게 하려 해도 그렇게 될 수가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방식으로 다스려지기를 바라는 것은 비유컨대 〈어떤〉 사람에게 세 번 몸을 회전하게 하고서 자기에게 등을 보이지 말라고 하는 것과 같다.”라 한 것이니,
또한 잘 다스려지기를 구하더라도 반드시 그렇게 될 수 없다는 말이다. ‘’는 또한 ‘(등지다)’이다. ≪禮記≫ 〈明堂位〉의 “天子負斧依(천자는 도끼가 그려져 있는 병풍을 등진다.)”라는 대목의 〈鄭玄의〉 에 “‘’는 ‘(등지다)’라는 말이다.”라 하였으며,
戰國策≫ 〈秦策〉에 “齊東負海 北倚河(나라는 동쪽으로는 바다를 등지고 북쪽으로는 黃河를 의지한다.)”라 하였는데, 高誘의 주에 “‘’는 ‘’의 뜻이다.”라 하였다. ‘’는 ‘’와 古字에 소리가 같아서 글자 또한 서로 통용하였다.
史記≫ 〈主父偃傳〉에 “南面負扆(남면하여 병풍을 등진다.)”라 하였는데 ≪漢書≫에는 ‘’가 ‘’로 되어 있으며, ≪漢書≫ 〈高帝紀〉에 “項羽背約(항우가 맹약을 어겼다.)”이라 하였는데 ≪史記≫에는 ‘’가 ‘’로 되어 있다.
:王引之의 설이 옳다. ≪莊子≫ 〈說劍〉에서 惠文王을 유세하는 대목에 “宰人上食 王三環之(宰人이 음식을 올림에 왕은 세 번 그 둘레를 맴돌 뿐이었다.)”라 하였는데, ≪經典釋文≫에 “‘’은 ‘(두르다)’이다.”라 하였으니, ‘’과 ‘’은 뜻이 같다.



묵자간고(2) 책은 2020.12.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