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墨子閒詁(2)

묵자간고(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묵자간고(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25-9-2 子墨子曰 不然하다 昔者 堯北敎乎八狄이라가
藝文類聚十一 引帝王世紀하여 舜攝政二十八年 堯與方回 遊陽城而崩이라하다
畢云 北堂書鈔 引作北狄이라하다
案 畢據書鈔引校하다이나 書鈔 又引하여 仍作八狄하다
爾雅釋地 有八狄하며 詩小雅蓼蕭孔疏 引李巡本爾雅 云 五狄 在北方이라하며 周禮職方氏 又云 六狄이라하며
禮記王制孔疏 引李巡 云 五狄 一曰月支 二曰穢貊이요 三曰匈奴 四曰單于 五曰白屋이라하다


子墨子께서 말씀하셨다. “그렇지 않다. 옛날 임금은 북쪽으로 가서 八狄을 교화시키시다가
藝文類聚≫ 11에 ≪帝王世紀≫를 인용하면서 “舜攝政二十八年 堯與方回 遊陽城而崩(이 섭정한 지 28년 만에 方回陽城으로 노닐러 갔다가 죽었다.)”이라 하였다.
畢沅:≪北堂書鈔≫에서 이 대목을 인용한 곳에는 ‘北狄’으로 되어 있다.
:畢沅은 ≪北堂書鈔≫ 91에서 인용한 대목에 의거하여 교감하였다. 그러나 ≪北堂書鈔≫ 93에서 또 인용한 대목에는 ‘八狄’으로 되어 있다.
爾雅≫ 〈釋地〉에도 ‘八狄’이 있으며, ≪詩經≫ 〈小雅 蓼蕭孔穎達李巡의 판본 ≪爾雅≫를 인용한 대목에 “五狄北方에 있다.”라 하였으며, ≪周禮≫ 〈職方氏〉에 또 “六狄”이라 하였으며,
禮記≫ 〈王制孔穎達李巡을 인용한 대목에 “五狄이란 첫째 ‘月支’, 둘째 ‘穢貊’, 셋째 ‘匈奴’, 넷째 ‘單于’, 다섯째 ‘白屋’이다.”라 하였다.


역주
역주1 (九十二)[九十一] : 저본에는 ‘九十二’로 되어 있으나, ≪北堂書鈔≫에 의거하여 ‘九十一’로 바로잡았다.
역주2 (二十五)[九十三] : 저본에는 ‘二十五’로 되어 있으나, ≪北堂書鈔≫에 의거하여 ‘九十三’으로 바로잡았다.

묵자간고(2) 책은 2020.12.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