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墨子閒詁(2)

묵자간고(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묵자간고(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26-3-2 無從下之政上이요 必從上之政下 是故 庶人竭力從事라도 未得次己而爲政이요
畢云 次 恣字省文이라 下同이라 一本 作恣하니 俗改라하다
王引之云 畢說非也 猶卽也 下文諸次字竝同이라 此言士在庶人之上이라 庶人 未得卽己而爲正이면 有士正之也
次卽 聲相近하고 而字 亦相通이라 康誥 勿庸以次女封이라하며 荀子致士 宥坐二篇 竝作勿庸以卽女라하며
家語始誅篇 作勿庸以卽女心이라하니 皆其證이라 說文 古文 作堲이라하니 亦其例也라하다
案 意林引下篇한대 竝作恣하니 則畢說 亦通이라
節用上篇 云 聖王旣沒한대 于民次也라한대 亦作次하니 可證이라


아래로부터 위를 바로잡는 일은 없으며, 반드시 위로부터 아래를 바로잡는다. 이런 까닭에 庶人은 있는 힘을 다하여 일하더라도 자기 마음대로 바로잡는 일을 할 수 없고,
畢沅:‘’는 ‘’자의 자획을 생략한 것이다. 아래도 같다. 어떤 에는 ‘’로 되어 있으니, 세상 사람이 고친 것이다.
王引之:畢沅은 옳지 않다. ‘’는 ‘’과 같으니, 아래 글의 모든 ‘’자가 모두 같다. 여기서는 庶人의 위에 있기 때문에 庶人이 자기에게 닥쳐 바로잡는 일을 할 수 없으면 가 그것을 바로잡는다는 말이다.
’와 ‘’은 소리가 서로 비슷하고 글자 또한 서로 통용한다. ≪書經≫ 〈康誥〉에 “勿庸以次女封(너 의 뜻에 나아가지 말라.)”이라 하였으며, ≪荀子≫ 〈致士〉와 〈宥坐〉 2에 모두 “勿庸以卽女(너에게 나아가게 말라.)”라 하였으며,
孔子家語≫ 〈始誅〉에 “勿庸以卽女心(너의 뜻에 나아가게 말라.)”이라 하였으니, 모두 그 증거이다. ≪說文解字≫에 “‘’는 古文에는 ‘’으로 되어 있다.”라 하였으니, 또한 그 용례이다.
:≪意林≫에서 ≪墨子≫ 〈天志 〉를 인용하였는데, ‘’는 모두 ‘’로 되어 있으니, 畢沅이 또한 통한다.
墨子≫ 〈節用 〉에 “聖王旣沒 于民次也(聖王이 돌아가시자 백성이 방자해져)”라 하였는데, ‘’ 또한 ‘’로 되어 있으니, 증거가 될 만하다.



묵자간고(2) 책은 2020.12.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