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墨子閒詁(2)

묵자간고(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묵자간고(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27-8-3 反天之意하여 得天之罰者 亦有矣라하니라 夫愛人利人하며 順天之意하여 得天之賞者 誰也
曰 若昔三代聖王堯舜禹湯文武者 是也라하니라 堯舜禹湯文武 焉所從事
曰 從事兼하고 不從事別이라하니라 兼者 處大國하여 不攻小國하며 處大家하여 不亂小家하며
強不劫弱하며 衆不暴寡하며 詐不謀愚하며 貴不傲賤하니라
觀其事컨대 上利乎天이요 中利乎鬼 下利乎人하니 三利 無所不利
是謂天德하니 聚斂天下之美名하여 而加之焉하니라
曰 此仁也 義也니라 愛人利人하며 順天之意하여 得天之賞者也라하니라 不止此而已 書於竹帛하고
畢云 引書於 作書其事하다 據下文컨대 亦然이라하다
戴云 今作書於竹帛者 後人據兼愛下篇하여 刪之라하다


하늘의 뜻에 거슬러 하늘의 을 받는 자 또한 있다.”라 하였다. 사람을 사랑하고 사람을 이롭게 하며, 하늘의 뜻에 순응하여 하늘의 을 받는 자는 누구인가.
말하기를 “옛날 三代聖王이신 임금, 임금, 禹王, 湯王, 文王, 武王과 같은 사람이 이들이다.”라 하였다. 임금, 임금, 禹王, 湯王, 文王, 武王은 어떤 일을 하셨는가.
말하기를 “아우르는 일을 하였고, 구별 짓는 일은 하지 않았다.”라 하였다. 아우른다는 것은, 大國에 살면서 小國을 공격하지 않으며, 大家에 살면서 小家를 어지럽히지 않으며,
한 자가 한 자를 겁박하지 않으며, 다수가 소수에게 횡포를 부리지 않으며, 교활한 자가 어리석은 자를 속이지 않으며, 한 자가 한 자를 업신여기지 않는 것이다.
그 일을 살펴보건대, 위로는 하늘을 이롭게 하며, 가운데로는 귀신을 이롭게 하며, 아래로는 사람들을 이롭게 하니, 세 곳을 이롭게 하면 이롭지 않은 데가 없다.
이를 일러 ‘天德’이라고 하니, 천하의 아름다운 이름을 다 끌어모아 여기에 더한 것이다.
말하기를 “이것이 이며, 이다. 사람을 사랑하고 사람을 이롭게 하며, 하늘의 뜻에 순응하여 하늘의 을 받는 자이다.”라 하였다. 여기에 그칠 뿐만이 아니다. 竹帛에 쓰고
畢沅:≪後漢書注≫에서 〈이 대목을〉 인용한 곳에 ‘書於’는 ‘書其事’로 되어 있다. 아래 글에 의거해보건대 또한 그러하다.
戴望:〈‘書於竹帛’은〉 응당 아래 글에 의거하여 빠진 두 글자(其事)를 채워 넣어 〈‘書其事於竹帛’이 되어야〉 한다. 지금 ‘書於竹帛’으로 되어 있는 것은 後人이 ≪墨子≫ 〈兼愛 〉에 의거하여 뺀 것이다.


역주
역주1 後漢書注 : 唐 高宗 시기, 675년에 李賢이 張大安‧劉訥言‧格希元‧許叔牙 등의 학자를 招集하여 范曄(398~445)이 편찬한 ≪後漢書≫에 註釋을 붙인 것이다. 현전하는 ≪後漢書≫는 本紀‧列傳에 李賢의 註釋을 붙인 것을 기초로 하며, 志에 梁의 劉昭의 註釋을 붙인 北宋 때의 板本을 기초로 한다. 李賢(654~684)은 字가 明允, 시호는 章懷太子이다.
역주2 [於] : 저본에는 ‘於’가 없으나, ≪後漢書注≫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역주3 當依下文 補脫文(三)[二]字 : 27-8-8에 ‘書其事於竹帛’으로 되어 있으니, 이곳의 ‘書於竹帛’에서 빠진 글자는 ‘其事’ 2자이다. 이에 의거하여 저본의 ‘三’자를 ‘二’자로 바로잡았다.

묵자간고(2) 책은 2020.12.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