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墨子閒詁(2)

묵자간고(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묵자간고(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5-1-2 人之與人之相賊하고 君臣不惠忠하고 父子不慈孝하고 兄弟不和調
此則天下之害也라하다 然則此害컨대 亦何用生哉
兪云 崇字 無義 乃察字之誤 何用生者 何以生也
卷七曰 用 以也라하고
詩桑柔篇 逝不以濯이라한대 尙賢篇 引作鮮不用濯이라하니 卽其證也
言 國與國相攻하고 家與家相篡하고 人與人相賊하여 以及君臣父子兄弟之不惠忠不慈孝不和調하니 當察其害之何以生이라
故曰 然則察此害컨대 亦何用生哉아하니라 上篇 曰 當察亂何自起라하니 與此同義라하다
案 兪說 是也 蘇云 用 疑當作由라하니


사람끼리 서로 해치며 임금이 은혜를 베풀지 않고 신하가 충성하지 않으며 아버지가 자애롭지 않고 자식이 효성스럽지 않으며 형제간에 우애롭게 지내지 않으니,
이와 같은 것이 바로 천하의 해로움이다.”라 하였다. 그렇다면 이러한 해로움을 살펴보건대 또한 무엇 때문에 생기는가.
兪樾:‘’자는 뜻이 통하지 않으니, 곧 ‘’자의 誤字이다. ‘何用生’은 ‘何以生’이다.
一切經音義≫ 권7에서 ≪蒼頡篇≫을 인용하면서 “‘’은 ‘’이다.”라 하였고,
詩經≫ 〈大雅 桑柔〉에서 “逝不以濯(물로 씻지 않겠는가)”이라 하였는데 ≪墨子≫ 〈尙賢 〉에서 이를 인용하면서 “鮮不用濯”이라 하였으니, 이것이 그 증거이다.
나라끼리 서로 침공하고 끼리 서로 빼앗고 사람끼리 서로 해쳐서 君臣父子兄弟간에 은혜를 베풀고 충성하지 않고 자애롭게 대하고 효성을 다하지 않으며 우애 깊이 지내지 않게 되니 마땅히 그 해로움이 무엇 때문에 생기는지 살펴야 한다는 말이다.
그런 까닭에 “그렇다면 이러한 해로움을 살펴보건대, 또한 무엇 때문에 생기는가.”라 한 것이다. ≪墨子≫ 〈兼愛 〉에 “마땅히 이 발생하는 원인을 살펴야 한다.”고 하였으니, 이것과 같은 뜻이다.
:兪樾의 설이 옳다. 蘇時學은 “‘’은 아마도 ‘’가 되어야 할 것 같다.”고 했는데, 옳지 않다.


역주
역주1 (崇)[察] : 저본에는 ‘崇’으로 되어 있으나, 兪樾의 주에 의거하여 ‘察’로 바로잡았다.
역주2 一切經音義 : 일종의 佛經 사전으로, 동일한 이름의 책이 3종 있다. 첫째, 649년 玄應이 449부의 불교 전적에서 뽑은 字句에 주석한 것으로 ≪玄應音義≫라고도 한다. 인용된 자료가 매우 풍부하여 훈고학자들에게 매우 중시되는 자료이며, 反切 注音法을 이용하여 중국어의 中古音을 연구하는 자료가 되기도 한다. 둘째, 807년 慧琳이 三藏 즉, 經‧律‧論 1,300부에서 가려 뽑은 자구에 주석한 것으로, 이를 ≪慧琳音義≫라고도 한다. 玄應의 ≪一切經音義≫와 慧苑의 ≪華嚴音義≫를 함께 수록하였기 때문에 玄應이 지은 것에 비하면 더욱 상세하다. 佛經音義의 집대성으로 일컬어진다. 셋째, 希麟이 지은 ≪續一切經音義≫이다. 대개 ≪衆經音義≫ 혹은 ≪一切經音義≫라 하면 希麟의 것을 지칭한다.
역주3 蒼頡篇 : 漢나라 초기의 字書를 가리킨다. ≪蒼詰篇≫‧≪爰歷篇≫‧≪博學篇≫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3편을 총칭하여 ≪蒼頡篇≫이라고도 한다. ≪三蒼≫ 또는 ≪三倉≫이라고도 한다. ≪說文解字≫‧≪爾雅≫ 등과 함께 주요 字書로 꼽힌다.

묵자간고(2) 책은 2020.12.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