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唐詩三百首(1)

당시삼백수(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당시삼백수(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登歌〉
前不見
後不見
念天地之
[集評] ○ 子昻旣東征 參武攸宜幕 以諫軍略不納 遭罷爲書記
因登薊北樓 感燕趙古事 泫然流涕 慨然悲歌 一時傳誦 天下莫不知之 - 唐 趙儋, 〈陳公旌德碑〉
○ 胸中自有萬古 眼底更無一人 古今詩人多矣 從未有首及此者 此二十二字 眞可以泣鬼 - 明 黃周星, 《唐詩快》 卷2
○ 余于登高時 每有今古茫茫之感 古人先已言之 - 淸 沈德潛, 《唐詩別裁集》 卷5


〈유주대에 올라 부른 노래〉
진자앙
앞선 옛사람 보이지 않고
뒤에 올 사람도 보지 못하여
천지의 悠悠함을 생각하자니
홀로 슬픔에 겨워 눈물이 흐른다
[集評] ○ 진자앙이 東征을 나간 후 武攸宜의 군막에 참여하였는데, 軍略을 諫한 것이 받아들여지지 않은 일 때문에 罷職당하고 書記가 되었다.
이로 인해 薊北樓에 올라 燕‧趙의 옛일을 생각하며 느낀 바 있어 주르륵 눈물을 흘리면서 강개한 마음으로 悲歌를 부르니, 一時에 傳誦되어 천하에 그 노래를 모르는 사람이 없었다.
○ 가슴 속에는 절로 만고의 세월이 들어 있는데, 눈앞에는 다시 사람 하나 없으니, 고금에 시인은 많지만 이제껏 이러한 詩는 없었다. 이 스물두 자는 진실로 귀신도 울게 할 만하다.
○ 나는 높은 곳에 오를 때 매양 今古의 茫茫한 느낌을 갖게 되는데, 古人이 먼저 그것을 말하였다.


역주
역주1 幽州臺 : 幽州는 지금의 北京市 大興縣 지역이다. 일찍이 燕 昭王이 황금대를 이곳에 세워 賢士들을 招致하였으므로, 賢士臺라고 부르기도 한다. 唐나라 때 명칭은 薊北樓이다.
역주2 陳子昻 : 661~702. 字는 伯玉이다. 대표작에 〈感遇〉 〈詠懷〉 등이 있으며 저서에 《陳伯玉集》이 있다.
역주3 古人 : 燕 昭王과 같은 賢君을 가리킨다.
역주4 來者 : 賢君을 가리킨다.
역주5 悠悠 : 무궁무진의 뜻으로, 여기서는 시간의 유구함을 의미한다.
역주6 獨愴然而涕下 : ‘愴然’은 슬프고 아파하는 모양이다. ‘涕’가 ‘淚’로 되어 있는 본도 있다.
동영상 재생
1 046 등유주대가 131

당시삼백수(1)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