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唐詩三百首(2)

당시삼백수(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당시삼백수(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酬秋夜卽事見贈〉
空城澹月華
秋一雁
夜千家
節候看應晩
不覺已
[集評]○ 唐詩評韓翃詩謂 比興深於劉長卿 筋節成於皇甫苒 - 明 楊愼, 《升菴詩話》
○ 君平意氣淸華 才情俱秀 - 明 徐獻忠, 《唐詩品》
○ 韓君平詩不過秀句 足供諷詠 流傳不泯 篇法宛轉諧適而已 - 淸 方東樹, 《昭昧詹言》
○ 秋夜二字 極尋常 一經爐錘 便成詩眼 - 淸 査愼行, 《初白庵詩評》


〈程延의 〈秋夜卽事〉를 받고 화답하다〉
한굉
긴 대나무 이른 바람을 맞이하고
텅 빈 성엔 달빛이 고요하다
가을 하늘 은하수에 기러기 한 마리
한밤엔 온 마을 다듬이 소리
계절을 헤아려보니 응당 늦었건만
마음속 기약에 잠자리 드는 것도 더디구나
줄곧 빼어난 구절 읊다가
벌써 까마귀 운 것도 깨닫지 못했네
[集評]○ 唐詩 가운데 韓翃의 시를 평해, 比와 興은 劉長卿보다 깊이가 있고 시어의 연결과 節奏는 皇甫苒보다 원숙하다고 했다.
○ 君平(韓翃)은 意氣가 맑고 아름다우며 재주와 정감이 모두 빼어나다.
○ 韓君平 시의 몇 개에 지나지 않는 훌륭한 구절은 諷詠을 잘해서 후세에 전해져 사라지지 않을 것이다. 작법이 매끄럽고 말이 조화를 이루어 딱 맞게 표현했기 때문이다.
○ ‘秋’, ‘夜’ 두 글자는 아주 심상한 글자인데 한 번 단련을 거치자 詩眼이 되었다.


역주
역주1 程延 : 程近으로 되어 있는 本도 있다. 生平은 미상이다.
역주2 韓翃 : 생몰년 미상. 字는 君平, 南陽人이다. 中書舍人 등을 역임했다. 錢起, 盧綸 등과 함께 大曆十才子로 꼽힌다.
역주3 長簟迎風早 : ‘簟’은 대나무로 짠 자리이기도 하고 대나무의 한 종류이기도 한데, 여기서는 대나무 가지로 보았다. ‘早’는 초저녁으로 볼 수도 있다. 시인이 대나무로 짠 자리에 앉아 초저녁에 바람을 맞이하는 것으로 보기도 한다.
역주4 星河 : 은하수를 가리킨다.
역주5 砧杵 : 문자 그대로 풀면 다듬잇돌과 다듬잇방망이를 말하지만 앞 구절의 시각적 이미지와 대를 맞춰 다듬이 소리로 풀었다.
역주6 心期臥亦賖 : ‘心期’는 마음으로 기약하다는 말로 기약은 시에 화답하는 것을 말한다. ‘賖’는 ‘늦다, 더디다’라는 뜻이다.
역주7 向來吟秀句 : ‘向來’는 ‘이전부터 지금까지’라는 뜻이다. ‘秀句’(빼어난 구절)는 상대방의 시를 가리킨다.
역주8 鳴鴉 : 날 밝을 때 들려오는 까마귀 소리를 가리킨다.
동영상 재생
1 142 수정연추야즉사… 137

당시삼백수(2)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