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唐詩三百首(2)

당시삼백수(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당시삼백수(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喜外弟見宿〉
司空曙
靜夜四無隣
荒居
雨中黃葉樹
燈下白
以我獨
相訪頻
自有
況是
[集評]○ 韋蘇州曰
司空曙曰 雨中黃葉樹 燈下白頭人
三詩同一機杼 司空爲優
善狀目前之景 無限凄感 見乎言表 - 明 謝榛, 《四溟詩話》 卷1
○ 晩唐人多用虛字 若司空曙 以我獨沈久 愧君相見頻 此一句一意 雖瘦而健 雖粗而雅 - 明 謝榛, 《四溟詩話》 卷3
○ 前錄盧綸詩 佳處在後半首 此詩佳處在前半首
一則以遠別 故但有悲感 一則以見宿 故悲喜相乘
盧與司空 本外家兄弟 工力亦相敵也
前四句言靜夜而在荒村 窮士而居陋室 已爲人所難堪 而寒雨打窓 更兼落葉 孤燈照壁 空對白頭
四句分八層 寫足悲凉之境
後四句緊接上文 見喜之出于意外
言以我之獨客沈淪 宜爲世棄 而君猶存問
生平相契 況是舊姻 其樂可知矣
前半首寫獨處之悲 後言相逢之喜 反正相生 爲律詩一格
司空曙有送人北歸詩云 世亂同南去 時淸獨北還 起筆卽用此格 取開合之勢 以振起全篇也 - 現代 兪陛雲, 《詩境淺說》
○ 三四名句 雨中燈下 雖與王摩詰相犯 而意境各自不同 正不爲病 - 現代 高步瀛, 《唐宋詩擧要》 卷4


〈외사촌 동생 盧綸이 찾아와 머문 것을 기뻐하며〉
사공서
고요한 밤 사방에 이웃도 없고
황량한 거처에 집안의 유업도 가난하다
빗속에 누렇게 물든 나무
등불 아래 백발의 사람
나 홀로 몰락한 지 오래되었는데
그대 자주 찾아주니 부끄럽도다
예전부터 연분이 있는데다
하물며 외종간의 친척임에랴
[集評]○ 韋蘇州(위응물)의 ‘창 안에 사람은 늙어가고, 문앞에 나무는 이미 가을이네.[窓裏人將老 門前樹已秋]’,
白樂天(白居易)의 ‘나뭇잎이 노랗게 시들 무렵, 나는 머리가 하얗게 덮일 때라.[樹初黃葉日 人欲白頭時]’,
司空曙의 ‘빗속에 누렇게 물든 나무, 등불 아래 백발의 사람[雨中黃葉樹 燈下白頭人]’
이상 세 편의 시는 동일한 機杼인데 사공서의 것이 뛰어나다.
눈앞의 경치를 잘 그려내어 끝없이 처량한 감정이 말 밖에 드러난다.
○ 만당인들은 허자를 많이 사용한다. 예로 들면 사공서의 ‘以我獨沈久 愧君相見頻’과 같은 것이다. 이 구절의 뜻은 파리하면서도 굳건하고 거칠면서도 전아하다.
○ 앞에 실린 노륜 시(〈送李端〉)의 장처는 후반부에 있고, 이 시의 장처는 전반부에 있다.
한편으로는 멀리 이별하였기에 슬픔만 있고, 또 한편으로는 찾아와 머물렀으므로 슬픔과 기쁨이 서로 맞물려 있다.
노륜과 사공서는 본래 외종형제로 공력 또한 서로 대적할 만하였다.
앞의 네 구는 적막한 밤에 황량한 촌락에 있고, 곤궁한 선비가 누추한 집에 거하는 것은 이미 사람이 견디기 어려운 것이거늘 차가운 비가 창을 치는데다가 나뭇잎이 떨어지고 외로운 등이 벽을 비추는데 그 벽을 백발노인만이 덩그러니 마주하고 있음을 말한 것이다.
이 네 구는 의미를 여덟 층으로 나누어 슬프고 처량한 경계를 그려내었다.
뒤의 네 구는 윗글을 긴밀하게 이어서 만난 기쁨이 말뜻 밖에 나타난다.
내가 외롭고 몰락한 나그네 처지가 되어 세상에서 버림받음이 마땅한데 그대는 그래도 문안을 한다.
지금까지 서로 인연을 맺고 있는데다가 하물며 오랜 외척이니 그 즐거움을 알 만하다고 한 것이다.
전반부에서는 먼저 홀로 거처하는 슬픔을 말하고, 뒤에서는 서로 만난 기쁨을 말하였는데, 正과 反이 서로 살려주어 律詩의 한 격이 되었다.
사공서의 〈賊平後送人北歸〉 시에 “세상이 어지러웠을 때 함께 남쪽으로 내려와, 시국이 안정되자 그대 혼자 북으로 돌아가네.[世亂同南去 時淸獨北還]”라고 하였는데, 붓을 들 때는 이러한 격식을 사용해 의 형세를 취하면서 전편을 흥기시켰다.
○ 3‧4구의 명구 ‘雨中黃葉樹 燈下白頭人’는 과 서로 겹치기는 하지만 의경이 각자 다르니, 딱히 문제가 되지 않는다.


역주
역주1 盧綸 : 앞의 145 〈李端公〉 시 註釋 2) 참조.
역주2 舊業 : 집안의 오랜 유업을 말한다.
역주3 : ‘髮’로 되어 있는 본도 있다.
역주4 : 沈淪의 뜻이다.
역주5 : 盧綸을 지칭한다.
역주6 平生 : ‘往昔’의 의미로 쓰였다.
역주7 : 緣分 또는 情分의 뜻이다.
역주8 蔡家親 : 외종 친척임을 의미한다. 《晉書》 〈羊祜傳〉에 “羊祜는 蔡邕의 外孫이다.[祜蔡邕外孫]”라는 구절이 있는데, 이로 인하여 외가 친척을 蔡家親이라 한다. ‘蔡’가 ‘霍’으로 되어 있는 본도 있는데, 西漢의 霍去病은 衛靑의 누이인 衛少兒의 아들로, 즉 衛家와 霍家는 외종간이기 때문이다. 사공서와 노륜의 관계를 이에 빗대어 외종 친척임을 나타낸 것이다.
역주9 窓裏人將老 門前樹已秋 : 위응물의 〈淮上遇洛陽李主簿〉로 전문은 다음과 같다. “띳집 古渡口에 닿아 있어, 누우면 멀리 흐르는 회수가 보인다. 창 안에 사람은 늙어가고, 문앞에 나무는 이미 가을이네. 적막한 산엔 홀로 지나가는 기러기, 저녁 비에 멀리서 오는 배. 저녁에 돌아오는 나그네 맞이하니, 어찌 지난날의 교유를 잊겠는가.[結茅臨古渡 臥見長淮流 窓裏人將老 門前樹已秋 寒山獨過鴈 暮雨遠來舟 日夕逢歸客 那能忘舊遊]”
역주10 樹初黃葉日 人欲白頭時 : 백거이의 〈途中感秋〉로 전문은 다음과 같다. “철 따라 만물은 쇠락하고, 세월 따라 얼굴은 노쇠한다. 나뭇잎이 누렇게 시들 무렵, 사람들 머리가 하얗게 덮일 때라. 고향 가는 길 멀어, 친구들 여기저기서 작별하건만. 병들고 늙는 것만이, 한 걸음도 떨어지지 않는구나.[節物行摇落 年顏坐變衰 樹初黃葉日 人欲白頭時 鄉國程程遠 親朋處處辭 唯殘病與老 一步不相離]”
역주11 開合 : 시문을 엮는 데 펼치고 마무리하는 등의 변화를 말한다.
역주12 왕마힐(왕유)의 구절 : 〈秋夜獨坐〉의 3‧4구인 “빗속에 산열매 떨어지고, 등불 아래 풀벌레 운다.[雨中山菓落 燈下草蟲鳴]”를 말한다. 전문은 다음과 같다. “홀로 앉아 양 살쩍이 세는 것을 슬퍼하노라니, 빈 집에서 二更을 맞이하네. 빗속에 산열매 떨어지고, 등불 아래 풀벌레 우는구나. 백발은 끝내 변하기 어렵고, 〈道敎의 仙藥인〉 黃金은 이루어지지 않는다네. 늙고 병드는 것을 없애고자 한다면, 오직 無生을 배워야 하리.[獨坐悲雙鬢 空堂欲二更 雨中山菓落 燈下草蟲鳴 白髮終難變 黃金不可成 欲知除老病 唯有學無生]”
동영상 재생
1 148 희외제노륜견숙 169

당시삼백수(2)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