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唐詩三百首(2)

당시삼백수(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당시삼백수(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李商隱
殘陽西入
落葉人何在
路幾層
獨敲
閑倚
吾寧愛與憎
[集評]○ 三四格高 末句吾字乃君字之訛 - 淸 紀昀, 《李義山詩輯評》
○ 結茅西崦 在落葉寒雲之外 可謂孤絶矣
淸磬深宵 老藤方丈 靜中是何等境界
而一微文塵中 吾猶以愛憎自猶耶 - 淸 姚培謙, 《李義山詩集箋注》


〈북청라〉
이상은
남은 해는 서쪽 崦嵫로 들어갈 때
모옥으로 외로운 스님을 방문하네
낙엽은 지고 있는데 사람은 어디에 있는지
가을 구름 길가에 몇 겹이나 쌓였나
스님 홀로 황혼 무렵 鐘磬을 치다가
한가롭게 등나무 지팡이에 몸을 기대네
대천세계는 티끌 속에 있는 법이니
내 어찌 사랑하고 또 미워하겠는가
[集評]○ 3‧4구는 격조가 높다. 마지막 구의 ‘吾’자는 ‘君’자의 잘못이다.
○ 띠풀로 엮은 서쪽 암자, 낙엽과 찬 구름이 있는 바깥은 이른바 외롭게 동떨어져 있는 곳이라 할 수 있다.
맑은 풍경 소리가 깊은 밤에 울리고 지팡이 짚은 방장(고승)이 조용히 서 있는 것은 어떠한 경계인가.
그러나 이 보잘것없는 풍진세상에서 나는 여전히 愛憎 때문에 스스로 흔들리고 있단 말인가.


역주
역주1 北靑蘿 : 의미가 불분명하다. 시에서는 외로운 스님이 거처하던 곳으로 해석된다.
역주2 : 해가 저무는 곳이다. 《廣韻》에 “崦은 崦嵫이다. 산 아래에 우천이 있는데 해가 그곳으로 진다.[崦崦嵫 山下有虞泉 日所入]” 하였다.
역주3 茅屋訪孤僧 : 茅屋에 살고 있는 외로운 스님을 방문한다는 뜻이다.
역주4 寒雲 : 가을 구름이다.
역주5 初夜 : 黃昏 무렵이다.
역주6 一枝藤 : 여기서는 등나무로 만든 지팡이를 뜻한다.
역주7 世界微塵裏 : 여기서의 ‘世界’는 三千大天世界(Trisāhasramahāsāhāsro locadhātu)이다. 이는 大千世界가 모두 微塵 속에 있다는 말이다. 《法華經》에 ‘비유하자면 온갖 책, 온 세상의 모든 일이 먼지 속에 있다.[譬如有經卷 四書三千大千世界事 全在微塵中]’라는 말이 있는데, 여기서 인용한 구절이다.
동영상 재생
1 160 북청라 135

당시삼백수(2)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