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唐宋八大家文抄 韓愈(2)

당송팔대가문초 한유(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당송팔대가문초 한유(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大鬯己嫉時之論하고 而入齊生纔數語 只看他操縱如意處니라
古之所謂公無私者 其取舍進退無擇於親疎遠邇하고 惟其宜可焉하며
其下之視上也 亦惟視其擧黜之當否 不以親疎遠邇疑乎其上之人하니라
故上之人하야 其無憂於下也하며 下之人克己愼行하야 確乎其無惑於上也니라
是故爲君不勞하고 而爲臣甚易하야 見一善焉이면 可得詳而擧也하고 見一不善焉이면 可得明而去也니라
及道之衰하얀 上下交疑하야 於是乎 載之傳中而稱美之하야 而謂之忠이라
見一善焉이라도 若親與邇 不敢擧也하고 見一不善焉이라도 若疎與遠이면 不敢去也하니라
衆之所同好焉이라도 矯而出之라야 乃公也라하고 衆之所同惡焉이라도 激而擧之라야 乃忠也라하나라
於是乎有違心之行하고 有拂志之言하며 有內媿之名이어늘 若然者 俗所謂良有司也
不行於君하고 巧言之誣不起於人矣
嗚呼 今之君天下者不亦勞乎 爲有司者不亦難乎 爲人嚮道者不亦勤乎
是故端居而念焉하니 非君人者之過也 則曰有司焉 則非有司之過也 則曰今擧天下人焉 則非今擧天下人之過也
盖其漸有因하고 其本有根하니 生於私其親하야 成於私其身이라 以己之不直으로 而謂人皆然이라
其植之也固久하야 其除之也實難하니 不可得而化也
非知命不惑이면 不可得而改也 已矣乎 其終能復古乎
若高陽齊生者 其起予者乎 齊生之兄 爲時名相하야 出藩于南이요 朝之碩臣 皆其舊交
齊生擧進士하니 有司用是齊生하니라 齊生不以云하고 乃曰 我之未至也 有司其枉我哉
我將而俟其時耳라하고 抱負其業하고 東歸於家하니라
吾觀於人컨대 有不得志 則非其上者衆矣 亦莫計其身之短長也
若齊生者 旣至矣로되 而曰 我未라하고 不以於有司하니 其不亦鮮乎哉
吾用是知齊生後日誠良有司也하야 能復古者也 公無私者也 知命不惑者也


05. 科擧에 낙제하고 돌아가는 齊皥를 전송한
시대를 嫉視하는 자기의 의론만을 크게 宣鬯(늘어놓음)하고, 齊生에 대한 말은 겨우 몇 마디를 넣었을 뿐이다. 그러나 그가 마음대로 문장을 操縱한 부분만을 볼 뿐이다.
옛날에 이른바 공정하여 사사로움이 없던 자(관원)는 取舍(취하고 버림)와 進退(승진시키고 퇴출시킴)에 親疎遠近을 가리지 않고 오직 합당한 사람만을 선발하였다.
아랫사람이 上官을 봄에도 오직 등용하고 물리침이 합당한지의 여부만을 보았고, 친소와 원근에 〈따라 취사 진퇴한다고〉 그 윗사람을 의심하지 않았다.
그러므로 윗사람은 자신이 뜻한 대로 실행하여 합당한 사람을 선택하고, 아랫사람에 대한 근심이 없어 마음이 편안하였으며, 아랫사람은 몸을 단속[克己]하고 행실을 삼가서 확실히 윗사람에 대한 의심이 없었다.
그러므로 임금 노릇 하기가 수고롭지 않았고, 신하 노릇 하기가 매우 쉬워서, 한 사람을 보면 자세히 살펴 천거할 수 있었고, 不善한 사람을 보면 밝게 살펴서 제거할 수 있었다.
가 쇠함에 미쳐서는 윗사람과 아랫사람이 서로 의심하여, 이에 원수를 천거하고 아들을 천거한 일을 傳記記載하여 美德으로 칭찬하고서 이를 ‘충성’이라 하였다.
善人(人材)을 보아도 〈자기와〉 친근한 사람이면 감히 천거하지 못하고, 不善한 사람을 보아도 〈자기와〉 소원한 사람이면 감히 제거하지 못하였다.
대중이 함께 좋아하는 사람이라도 常情을 어기고서[] 逐出하여야 공정하다 하고, 대중이 함께 미워하는 사람이라도 격려해 천거하여야 충성스럽다고 한다.
그러므로 〈高官 중에는〉 본심에 위배되는 행동, 생각과 일치하지 않는 말, 마음에 부끄러운 명성이 있는데, 이런 자들을 세속에서 ‘善良官吏’라고 한다.
그러므로 〈이런 고관에 대해서는〉 절박한 참소[膚受之訴]가 임금에게 올라가지 않고, 교묘한 무함이 사람들 사이에 일어나지 않으니,
아! 오늘날 천하에 임금 노릇 하는 자가 수고롭지 않겠으며, 官吏 노릇 하는 자들이 어렵지 않겠으며, 〈科擧應試하는〉 자들을 위해 길을 인도하는 嚮導가 된 자들이 고달프지 않겠는가?
그러므로 내 평소에 생각해보니, 이는 임금의 잘못이 아니다. 그렇다면 관리들의 잘못인가? 관리들의 잘못도 아니다. 그렇다면 지금 擧用된 천하 사람들의 잘못인가? 지금 거용된 천하 사람들의 잘못도 아니다.
〈이런 氣風이〉 점진적으로 이루어진 데에는 원인이 있고 뿌리가 있으니, 이는 자기와 친근한 사람을 偏愛[]하는 데서 생겨나서 자신을 이롭게 하려는 데서 이루어진 것이다. 자기가 바르지 못하기 때문에 남들도 모두 그런 것으로 여긴다.
植根(박힌 뿌리)이 단단하고 오래되어 제거하기가 실로 어려우니, 백 년이나 30년[必世]이 아니고는 敎化할 수 없고,
天命을 아는 이와 事理에 밝아 의혹하지 않는 이가 아니고는 고칠 수 없다. 〈그러니〉 그만두어야겠다. 어찌 끝내 옛 제도를 회복할 수 있겠는가?
高陽 사람 齊生으로 말하면 어찌 나를 일깨운 자가 아니겠는가? 齊生은 당시에 유명한 宰相으로 外職으로 나아가 南方을 다스리고 있고, 조정의 대신들은 모두 그의 오랜 벗들이다.
齊生進士試에 응시하니, 考官은 이런 이유(親近하다는 이유)로 齊生을 연거푸 낙방시켰다. 그런데도 齊生은 이를 탓하지 않고 도리어 “나의 수준이 아직 경지에 이르지 못해서이지 考官이 어찌 나를 일부러 떨어뜨렸겠는가?
나는 장차 나의 器具를 예리하게 갈아 그 때를 기다릴 뿐이다.”라고 하고서, 그 德業을 가슴에 품고 동쪽의 집으로 돌아갔다.
내가 사람들을 살펴보건대, 뜻을 얻지 못하면 그 윗사람을 비방하는 자가 많고, 또 자신의 長短은 따지지도 않는다.
그런데 齊生으로 말하면 이미 상당한 수준에 이르렀는데도 도리어 “나는 아직 그 수준에 이르지 못했다.”고 하고서 考官을 원망[]하지 않았으니, 어찌 아름답지[] 않은가?
나는 이로 인해 齊生은 후일에 참으로 훌륭한 관리가 되어, 옛 제도를 회복할 사람, 공정하여 사사로움이 없는 사람, 天命을 알아 미혹하지 않는 사람이 될 것으로 안다.


역주
역주1 送齊皥下第序 : ≪唐宋八大家文鈔 校註集評≫에 齊皥가 貞元 11년(795)에 進士試에 올라 京兆司祿參軍을 맡았다는 말이 있으니, 그렇다면 이 序는 정원 11년 전에 지은 것이다.
역주2 行志擇誼 : 정확히는 알 수 없으나, 자기가 뜻한 대로 실행하여, 도의에 부합하는 사람을 뽑았다는 말이 아닌지 모르겠다.
역주3 坦乎 : 마음이 편안함이다.
역주4 擧讐擧子之事 : 이는 祁奚의 일로 ≪春秋左氏傳≫ 襄公 3년의 傳에 다음과 같이 보인다. “祁奚가 致仕를 청하니 晉侯가 後任者를 추천하게 하였다. 解狐를 推薦하였으니 그는 祁奚의 怨讐였다. 晉侯는 解狐를 祁奚의 後任者로 앉히려 하였으나 解狐가 갑자기 죽었다. 晉侯가 다시 추천하게 하니, 祁奚는 자기의 아들을 추천하였다. 이 일을 君子는 다음과 같이 論評하였다. ‘자기의 怨讐를 薦擧하였으되 阿諂이 아니었고 자기 자식을 세웠으되 私心이 아니었다. ≪尙書≫에 「치우침이 없고 당을 지음이 없으면 君王의 길이 公平無私하다.[無偏無黨 王道蕩蕩]」고 하였으니, 祁奚를 이름인 듯하다.’”
역주5 膚受之訴 : ≪論語≫ 〈顔淵〉에 보인다. ≪論語≫에는 訴가 愬로 되어 있다.
역주6 百年 : ≪論語≫ 〈子路〉에 “선인이 나라를 계속해 백 년을 다스리면 殘暴한 자를 감화시켜 死刑을 없앨 수 있다.[善人爲邦百年 亦可以勝殘去殺矣]”는 말이 보인다.
역주7 必世 : 30년을 이른다. ≪論語≫ 〈子路〉에 “가령 王者가 일어난다 하더라도 반드시 30년이 지난 뒤에야 仁政이 시행된다.[如有王者 必世而後仁]”는 말이 보인다.
역주8 連枉 : 연거푸 낙방시킴이다.
역주9 利吾器 : 나의 器具를 예리하게 한다는 말로, 학문을 연마하고 심성을 수양하여 자기의 능력을 提高함을 이른다.
역주10 [至] : 저본에는 ‘至’가 없으나, ≪韓文考異≫에 “어떤 板本에는 ‘未’ 아래에 ‘至’자가 있다.”고 하였고, ≪五百家注昌黎文集≫에도 ‘至’가 있는 것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역주11 (關)[閔] : 저본에는 ‘關’으로 되어 있으나, ≪韓文考異≫와 ≪五百家注昌黎文集≫에 의거하여 ‘閔’으로 바로잡았다.

당송팔대가문초 한유(2) 책은 2020.12.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