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唐宋八大家文抄 韓愈(3)

당송팔대가문초 한유(3)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당송팔대가문초 한유(3)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瘞硯一段光景 頗奇氣
隴西李觀元賓始從進士貢在京師 或貽之硯이라 旣四年 悲歡窮泰未嘗廢其用하니라
凡與之試藝春官하야 實二年登上第하니라 行于襃谷 役者劉胤誤墜之地하야
毁焉이어늘 乃匣歸하야 埋于京師里中하니라 昌黎韓愈 其友人也 贊且識云
土乎質이요
陶乎成器
復其質이나
非生死類
全斯用하니
毁不忍棄
埋而識
之仁之義
硯乎硯乎
與瓦礫異로다


17. 벼루를 묻으며 쓴
벼루를 묻은 한 단락의 광경은 기상이 매우 범상치 않다.
隴西 사람 李觀 元賓이 당초에 進士科에 응시할 貢生으로 京師에 있을 적에 어떤 사람이 그에게 벼루를 주었는데, 이미 4년 동안 슬플 때나 기쁠 때나 곤궁할 때나 현달할 때나 그 벼루를 버려두고 사용하지 않은 적이 없었다.
唐나라 때의 陶硯唐나라 때의 陶硯
그 벼루를 가지고 春官에서 應試하여 실로 2년 만에 우수한 성적으로 급제하였다. 襃谷을 지날 때에 下人 劉胤이 실수로 땅에 떨어뜨려 깨뜨리니,
깨진 조각을 상자에 담아 가지고 돌아와서 京師의 마을 안에 묻었다. 昌黎 韓愈는 그의 벗이다. 을 지어 기록한다.
흙으로 바탕 만들고
질그릇으로 구워서 그릇(벼루) 만들었더니
이제 바탕으로 돌아갔으나
죽고 사는 종류가 아니네
온전할 때에 사용했으니
망가졌다 해서 차마 버릴 수 없네
땅에 묻고 硯銘까지 지은 것은
인자하고 의로운 마음이네
벼루여 벼루여
기와 조각과는 다르지


역주
역주1 瘞硯銘 : 이 銘文은 깨진 벼루를 묻으며 쓴 것이다. 韓愈의 절친한 벗인 李觀(766~ 794)이 하인의 실수로 사용하던 벼루가 깨지자 이를 묻어주었다. 한유가 그 일의 내력을 적고 벼루의 공덕을 칭송하였다. 李觀에 대해서는 본서 권14 〈李元賓墓銘〉에 보인다.

당송팔대가문초 한유(3) 책은 2020.12.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