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唐宋八大家文抄 歐陽脩(4)

당송팔대가문초 구양수(4)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당송팔대가문초 구양수(4)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以三人同里同志行이나 特不同遇處 相感慨
諱慶이요 字貽孫이요 姓歐氏 其上世爲이러니 後徙하고 又徙이라
乾德二年 分穀城之陰城鎭하야 爲乾德縣하고하니 歐氏遂爲乾德人이라
脩嘗爲其縣令하야 問其故老鄕閭之賢者하니 皆曰 有三人焉하니 其一人曰太傅贈太師中書令이요
其一人曰尙書屯田郞中이요 其一人曰歐君也라하다
三人者 學問出處 未嘗一日不同하고 其忠信篤於朋友하며 孝悌稱於宗族하며 禮義達于鄕閭
乾德之人 初未識學者라가 見此三人 皆尊禮而愛親之러니 旣而皆以進士擧於鄕이어늘 而君獨黜於有司
後二十年 으로 爲潭州湘潭主簿 陳州司法參軍 監考城酒稅하고 遷彭州軍事推官하고 知泉州永春縣事하니
而鄧公已貴顯于朝어늘 君尙爲州縣吏 所至 上官多鄧公故舊로되 君絶口不復道前事하야 至終其去 不知君爲鄧公友也러라
君爲吏廉貧하고 宗族之孤幼者 皆養于家 居鄕里 有訟者多就君決曲直하야 得一言 遂不復爭하니 人至于今傳之
嗟夫 三人之爲道 無所不同이어늘 至其窮達하얀 何其異也
而三人者未嘗有動於其心 乾德之人稱三人者 亦不以貴賤爲異하니 則其幸不幸 豈足爲三人者道哉
然而達者昭顯于一時하고 而窮者泯沒於無述하면 則爲善者何以勸이며 而後世之來者何以考德於其先 故表其墓하야 以示其子孫하노라
君有子世英하니 爲鄧城縣令이요 世勣 擧進士 君以天聖七年卒하니 享年六十有四 葬乾德之西北廣節山之原하다


06. 永春縣令 歐君墓表
세 사람이 같은 마을에서 뜻과 행동을 함께하였으나 다만 때를 만난 것은 같지 않으므로 感慨하였다.
군은 이고 貽孫이고 歐氏이다. 그 先世韶州 曲江 사람이었는데 후에 均州 鄖鄕으로 이주하고 다시 襄州 穀城으로 이주하였다.
乾德 2년(964)에 곡성의 陰城鎭을 나누어 乾德縣을 만들고 光化軍을 세우니 구씨가 마침내 건덕 사람이 되었다.
내가 일찍이 乾德縣令이 되어 鄕閭의 어진 長老가 누군지 물으니, 모두 말하기를 “세 사람이 있으니, 한 사람은 太傅 贈太師中書令 鄧文懿公이고,
한 사람은 尙書屯田郞中 戴國忠이고, 한 사람은 歐君입니다.”라고 하였다.
세 사람은 학문과 출처가 하루도 같지 않은 적이 없었고, 그 忠信함은 朋友에게 독실하였으며 孝悌는 종족에게 알려졌으며 예의는 鄕閭에 드러났다.
건덕현의 사람들이 애초 學者를 알지 못하다가 이 세 사람을 보고서는 모두 존경하고 친애하였다. 그러다가 얼마 지나 이들 모두 진사로 鄕試에 응시하였는데 군만이 낙방하였다.
20년 뒤에 비로소 三禮科에 응시하여 同出身이 되어 潭州湘潭主簿, 陳州司法參軍, 監考城酒稅가 되고 승진하여 彭州軍事推官이 되고 知泉州永春縣事가 되니,
鄧公은 이미 조정에서 현달하였는데 군은 아직도 州縣의 관리 신세였다. 군이 부임하는 곳마다 군의 상관이 대부분 등공의 오랜 지인이었으나, 군은 입을 닫고서 다시는 지난날의 일을 말하지 않아 떠날 때까지도 군이 등공의 벗이라는 사실을 알지 못하였다.
군은 관직에 있으면서 청렴하였고 고아가 된 종족을 모두 자신의 집에서 길렀다. 향리에 거하면서는 訟事하는 자들이 대부분 군에게 가서 시비를 판결받아 군의 한마디 말에 마침내 다시는 쟁송하지 않았으니, 사람들이 지금까지도 이 사실을 전하고 있다.
아! 저 세 사람의 도가 같지 않은 점이 없는데 그 窮達에 이르러서는 어쩌면 저리도 다른가?
세 사람은 마음이 흔들린 적이 없고 건덕현 사람들이 세 사람을 칭찬하는 말 또한 〈세 사람의〉 貴賤을 가지고 차이를 두지 않았으니, 幸不幸을 가지고 어찌 세 사람의 도를 말할 수 있겠는가.
그렇지만 현달한 자는 당대에 밝게 드러나고 궁박한 자는 그 행적을 傳述함이 없어 자취가 매몰된다면, 선을 행하는 자가 어떻게 권면될 수 있겠으며 후대 사람들이 어찌 先人의 덕을 고찰할 수 있겠는가. 그러므로 墓表를 지어 그 자손들에게 보이노라.
군의 아들 世英鄧城縣令이 되었고, 世勣은 진사에 급제하였다. 군은 天聖 7년(1029)에 졸하니 향년 64세였다. 乾德 서북쪽 廣節山 언덕에 군을 안장하였다.


역주
역주1 永春縣令歐君墓表 : 寶元 원년(1038) 3월에 歐陽脩가 乾德縣令이 되어 다음해 6월까지 있었으니, 이 글은 이 기간 중에 지은 것으로 판단된다. 歐君은 歐慶이다.
역주2 韶州曲江 : 지금의 廣東 韶關이다.
역주3 均州之鄖鄕 : 지금의 湖北 鄖縣이다.
역주4 襄州之穀城 : 지금의 湖北 谷城이다.
역주5 光化軍 : 지금의 湖北 光化이다.
역주6 鄧文懿公 : 鄧國公 張士遜이다. 字는 順之이고 시호는 文懿이다.
역주7 戴國忠 : 光化 사람으로 慶曆 연간에 進士가 되어 관직이 尙書屯田郞中에 이르렀다.
역주8 始以同三禮出身 : 宋代에 ≪周禮≫, ≪禮記≫, ≪儀禮≫를 시험하는 三禮科가 있었고 여기에 합격하면 科試 4등 합격에 해당하는 同出身의 자격을 주었다.
역주9 (雖)[也] : 저본에는 ‘雖’로 되어 있으나, 문맥 및 四庫全書本 ≪唐宋八大家文抄≫에 의거하여 ‘也’로 바로잡았다.

당송팔대가문초 구양수(4) 책은 2021.01.06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