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唐宋八大家文抄 歐陽脩(5)

당송팔대가문초 구양수(5)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당송팔대가문초 구양수(5)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篇中叙用兵處可喜
王建及 許州人也 少事李罕之하야 하다
梁晉戰柏鄕 相距鄗邑野河上할새 鎭定兵扼河橋어늘 梁兵急擊之
莊宗登高望見鎭定兵將敗하고 顧建及曰 橋爲梁奪이면 則吾軍危矣 奈何오하다
建及選二百人하야 馳擊梁兵하니 梁兵敗하야 解去 從戰莘縣故元 皆先登陷陣하니 以功累拜遼州刺史하고 將銀槍效節軍하다
晉攻楊劉 하고 先登拔之하다
從戰胡柳 晉兵已敗하고 與梁爭土山이어늘 梁兵先至하야 登山而陣이라
莊宗至山下하야 望梁陣堅而整하고 呼其軍曰 今日之戰 得山者勝이라하고 因馳騎犯之하니 建及以銀槍軍繼進하다
梁兵下走하야 陣山西하니 晉兵遂得土山이라 諸將皆言潰兵未集하고 且暮不可戰이라하야늘
閻寶曰 彼陣山上하고 吾在其下에도 尙能擊之어든 況以高而擊下하니 不可失也라하니 建及以爲然하야 因白莊宗曰 請登高望臣破敵이라하고
卽呼其衆曰 今日所失輜重 皆在山西하니 盍往取之리오하고 卽馳犯梁陣하니 梁兵大敗하다
晉遂軍德勝하야 爲南北城于河上하다 梁將賀瓌攻其南城할새 以竹笮維戰艦于河한대 晉兵不得渡하야 南城危甚이라
莊宗積金帛於軍門하고 募能破梁戰艦者하니 至於吐火 莫不皆有
建及重鎧執矟하고 呼曰 梁晉 一水間耳 何必巧爲리오 吾今破之矣라하고 卽以大甕積薪하고 自上流縱火하야 焚梁戰艦하며
建及以二舟載甲士隨之하야 斧其竹笮하니 梁兵皆走 晉軍乃得渡하야 救南城하니 瓌圍解去
自莊宗得魏博으로 建及將銀槍效節軍하다 建及爲將 喜以家資 散士卒하다
莊宗遣宦官韋令圖監其軍하니 令圖言建及得士心하니 懼有異志 不可令典牙兵이라하야늘 卽以爲代州刺史 建及怏怏而卒하니 年五十七이라


04. 王建及傳記
이 편 가운데 用兵을 서술한 곳이 좋다.
王建及許州 사람이다. 젊은 시절 李罕之를 섬겨 이한지를 따라 나라로 달아나 匡衛指揮使가 되었다.
나라와 나라가 柏鄕에서 전투할 때에 鄗邑 野河(槐河) 가에서 대치할 때 鎭州定州의 군대가 야하 가의 다리를 지키고 있었는데 나라 군대가 급습하였다.
莊宗이 높은 에 올라 진주‧정주의 군대가 패색이 짙어지는 것을 바라보고, 왕건급을 돌아보며 말하기를 “다리를 나라에 빼앗기게 된다면 우리 군대가 위태로워지게 될 것이니 어찌하면 좋겠는가?”라고 하였다.
왕건급이 2백 인을 선발하여 말을 달려 나라 군대를 치니 나라 군대가 패배하여 포위를 풀고 떠났다. 장종을 따라 莘縣과 옛 元城에서 전투할 때에도 모두 먼저 성에 올라 敵陣을 함락하니, 戰功으로 누차 승진하여 遼州刺史에 배수되고 銀槍效節軍을 거느렸다.
나라가 楊劉를 공격할 때 王建及이 직접 갈대를 져 날라 垓子를 메우고 먼저 성에 올라 양류를 함락하였다.
莊宗을 따라 胡柳에서 전투할 때 나라 군대가 패하고 난 뒤 나라와 土山을 다투고 있었는데 나라 군대가 먼저 도착하여 산에 올라 軍陣을 펼쳤다.
장종이 산 밑에 이르러 나라의 군진이 견고하고 정돈되어 있는 것을 바라보고, 자신의 군대에 외치기를 “오늘의 전쟁은 토산을 빼앗는 자가 이긴다.”라고 하고, 이어 말을 달려 적진으로 뛰어드니 왕건급이 銀槍軍을 이끌고 뒤따라 나아갔다.
나라 군대가 토산을 내려와 달아나서 토산의 서쪽에 군진을 펴니 나라 군대가 마침내 토산을 빼앗을 수 있었다. 장수들이 모두 “흩어진 군사들이 아직 모이지 않았고 날이 저물어 전투할 수가 없습니다.”라고 하였는데,
閻寶가 말하기를 “저들이 산위에 군진을 펴고 우리들이 산아래에 있을 때도 오히려 물리칠 수 있었는데 하물며 높은 곳에서 아래 있는 저들을 공격하는 것이니 이 기회를 잃어서는 안 됩니다.”라고 하니, 왕건급이 이 말을 옳게 여겨 이어 장종에게 아뢰기를 “청컨대 높은 곳에 올라 신이 적군을 무찌르는 것을 지켜보소서.”라고 하고,
곧바로 자신의 군사들에게 외치기를 “오늘 잃어버린 輜重이 모두 토산의 서쪽에 있으니 어찌 가서 찾아오지 않겠는가?”라고 하고, 곧장 말을 달려 나라 군진으로 쳐들어가니 나라 군대가 크게 패배하였다.
나라가 마침내 德勝에 주둔하고서 黃河兩岸南城北城을 쌓았다. 나라 장수 賀瓌가 그 남성을 공격할 때 황하 가에 대나무 줄로 戰艦을 묶어두자 나라 군대가 황하를 건널 수가 없어 남성이 매우 위급하였다.
莊宗軍門에 금과 비단을 쌓아두고 나라의 전함을 깨뜨릴 자를 모집하니 불을 토하고 禁呪를 펴는 이들까지 온갖 사람들이 다 있었다.
王建及이 두 겹의 갑옷을 입고 창을 잡고서 외치기를 “나라와 나라가 강 하나를 사이에 두고 있으니 어찌 굳이 교묘한 방법을 쓰겠는가? 내가 지금 저들을 격파하겠다.”라고 하고, 곧바로 큰 항아리에 땔나무를 가득 넣고 상류에서 불을 놓아 나라의 전함을 불태우는 한편,
왕건급이 배 두 척에 甲士를 태우고 불을 따라가서 전함을 묶은 대나무 줄을 도끼로 끊어버리니 나라 군사들이 모두 달아났다. 나라 군대가 비로소 황하를 건널 수 있어 남성을 구원하니 하괴가 포위를 풀고 떠나갔다.
莊宗魏博을 함락한 뒤에 王建及銀槍效節軍을 통솔하였다. 왕건급은 장수로 있으면서 家産을 병사들에게 나누어주기를 좋아하였다.
장종이 宦官 韋令圖를 보내 그의 군대를 감독하게 하니, 위영도가 말하기를 “왕건급이 병사들의 마음을 얻었으니 다른 뜻이 있을까 두렵습니다. 그에게 牙兵을 맡게 해서는 안 됩니다.”라고 하자, 곧바로 그를 代州刺史로 삼았다. 왕건급이 怏怏不樂한 채로 졸하니 향년 57세였다.


역주
역주1 王建及傳 : 王建及(864~920 許州 사람이다. 왕건급의 列傳은 ≪舊五代史≫ 卷65 〈唐書 第41 列傳17〉과 ≪新五代史≫ 卷25 〈唐臣傳 第13〉에 실려 있다. ≪구오대사≫에는 ‘李建及’으로 立傳되어 있는데, 왕건급이 牙職을 제수받고 義兒軍을 맡으면서 李氏 姓을 하사받은 데 근거하여 성을 고친 것으로 보인다.
歐陽脩는 ≪구오대사≫에 770여 자 분량인 왕건급의 傳記를 480여 자로 편폭을 대폭 줄여 서술하였다. 왕건급은 주로 後梁과 전투를 벌여 戰功을 세웠는데, 그가 柏鄕‧莘縣‧楊劉에서 벌였던 전투는 ≪구오대사≫의 내용을 축약하여 서술한 뒤, 胡柳와 德勝 전투에서의 활약에 중점을 두어 서술하였다. 특히 이 부분에서는 대화와 묘사를 잘 활용하여 읽는 이로 하여금 전투 현장에 있는 듯한 느낌이 들게 한다.
마지막 부분에서는 後唐 莊宗이 魏博을 차지한 뒤 이곳을 후량을 공격하는 전진 기지로 삼으면서 왕건급에게 銀槍效節軍을 거느리게 하였는데, 그가 家産을 사졸들에게 나누어준 일을 빌미로 宦官 韋令圖가 讒訴하여 결국 代州刺史로 쫓겨나 울분 속에 죽은 일을 서술하였다.
≪구오대사≫에서는 그가 성품이 忠直하여 참소를 당해도 그 節操를 바꾸지 않았다고 기술하였으나, ≪신오대사≫에서는 이 부분의 내용을 모두 생략하였는데 아마도 그가 怏怏不樂하였다는 사실과 앞뒤가 맞지 않다고 여겨 삭제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魏博은 天雄軍의 屬州로 후량과 후당 모두 탐내던 곳인바, 전략적 요충지일 뿐만 아니라 그곳의 牙兵의 용맹함은 천하가 다 알고 있는 사실이었다. 앞서 天雄軍節度使로 있던 후량의 楊師厚가 915년에 죽자, 후량의 末帝는 아병들을 견제하기 위해 본래 相州‧澶州‧衛州‧魏州‧博州‧貝州 등 여섯 州였던 천웅군을 세 州씩 묶어 두 藩鎭으로 나누어 昭德軍과 천웅군에 分屬시켰으나 얼마 못 가 후당에 점령당하였다. 이후 아병들은 장종의 친위 부대에 편입되어 帳前銀槍軍이라 불렸고 왕건급이 이들을 이끄는 대장이 되어 918년 胡柳陂 전투의 마침표를 찍는 커다란 활약을 펼쳤던 것이다.
역주2 從罕之奔晉爲匡衛指揮使 : ≪五代史記纂誤補≫ 卷2에 “薛居正의 ≪舊五代史≫ 〈李建及傳〉에 ‘建及은 本姓이 王인데 武皇(李克用 典義軍으로 삼아 姓名을 하사하였다.’고 하였는데 이 傳에서는 이 일이 전혀 없다.[薛史李建及傳云 建及本姓王 武皇以典義軍賜姓名 此傳全沒其事]”라고 하였다. ‘匡衛指揮使’는 ≪舊五代史≫에 ‘匡衛軍都校’로 되어 있다.
역주3 [臺] : 저본에는 ‘臺’가 없으나, ≪新五代史≫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역주4 [城] : 저본에는 ‘城’이 없으나, 사고전서본과 ≪新五代史≫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역주5 建及躬自負葭葦堙塹 : ≪五代史記纂誤續補≫ 卷2에 “살펴보건대, 〈本紀〉 및 〈敬翔傳〉에서 莊宗이 직접 꼴을 져 날라 垓子를 메웠다고 했으니 수행한 장수들의 행동을 알 수 있다. 楊劉의 전투에서 王建及만 이와 같이 한 것이 아님이 맞다.[按本紀及敬翔傳 王自負芻以堙塹 從行諸將可知矣 楊劉之役 宜不獨建及如此]”라고 하였다.
역주6 禁呪 : 符籍이나 呪文 등을 써서 병을 치료하고 異變을 극복하며 災害를 물리치는 일종의 術法을 말한다.

당송팔대가문초 구양수(5) 책은 2021.01.06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