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唐宋八大家文抄 曾鞏(1)

당송팔대가문초 증공(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당송팔대가문초 증공(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勸學二字 公之所見正하고 所志亦大
而惜也才不足以副之 故不得見用於時
姑錄而存之하여 以見公之槪하니라
告報臣寮日具轉對하니이다
臣愚淺薄하여 恐言不足采
周世宗初卽位 亦延群臣하여 使陳當世之務하여 而能知王朴之可用이라 故顯德之政 亦獨能變五代之因循하니이다
夫當衆說之馳騁하여 而以獨見之言으로 陳未形之得失일새 此聽者之所難也
然二君能辨之於群衆之中而用之하여 以收一時之效하니 此後世之士所以常感知言之少하고 而頌二君之明也니이다
然且將歲餘 未聞取一人하고 得一言하니
豈當世固乏人하여 不足以當陛下之意與잇가
抑所以延問者 特用累世之故事하여 而不必求其實歟잇가
臣愚竊計殆進言者未有以當陛下之意也라하노이다
陛下明智大略 固將比跡於唐虞三代之盛이니 如太宗世宗之所至 恐不足以望陛下
故臣之所言 亦不敢效二臣之卑近하노이다
伏惟陛下 超然獨觀於世俗之表하여 詳思臣言而擇其中하시면 則二君之明 豈足道於後世 而士之懷抱忠義者 豈復感知言之少乎잇가
臣所言如左니이다
臣伏以陛下 恭儉慈仁하여 有能承祖宗之德하고 聰明睿智하여 有能任天下之材하니이다
卽位以來 早朝晏罷하고 廣問兼聽하여 有更制變俗하고 比迹唐虞之志하니 此非群臣之所能及也니이다
然而所遇之時 하고 하고 在人則有饑饉流亡訛言相驚之患하니 三者皆非常之變也니이다
及從而察今之天下하여는 則風俗日以薄惡하고 紀綱日以弛壞하며 百司庶務 一切文具而已니이다
內外之任 則不足於人材하고 公私之計 則不足於食貨하며
近則不能不以盜賊爲慮하고 遠則不能不以夷狄爲憂하니 海內智謀之士 常恐天下之勢不得以久安也하니이다
以陛下之明으로 而所遇之時如此하니 陛下有更制變俗하고 比迹唐虞之志 則亦在正其本而已矣니이다
曰 正其本이면 萬事理라하니 臣以謂正其本者 在陛下得之於心而已니이다
臣觀洪範 所以和同天人之際하여 使之無間이니 而要其所以爲始者 思也 大學 所以誠意正心修身하여 治其國家天下 而要其所以爲始者 致其知也
故臣以謂正其本者 在得之於心而已라하노이다
得之於心者 其術非他 學焉而已矣
此致其知所以爲大學之道也
古之聖人으로 舜禹成湯文武 未有不由學而成이요 而傅說周公之輔其君 未嘗不勉之以學이라
誠能磨礱長養하여 至於有以自得이면 則天下之事在於理者 未有不能盡也
能盡天下之理 則天下之事物接於我者 無以累其內 天下之以言語接於我者 無以蔽其外니이다
夫然則循理而已矣 邪情之所不能入也 從善而已矣 邪說之所不能亂也
如是而用之以持久하고 資之以不息이면 則積其小者 必至於大하고 積其微者 必至於顯하나니이다
故曰 하라하고 又曰 이라하며 孔子亦曰 吾 이라하니 蓋如此者 孔子之所不能已也니이다
人能使事物之接於我者 不能累其內 所以治內也 言語之接於我者 不能蔽其外 所以應外也니이다
有以治內 此所以成德化也 有以應外 此所以成法度也 德化法度旣成이면 所以發育萬物而和同天人之際也니이다
自周衰以來 道術不明하여 爲人君者 莫知學先王之道以明其心하고 爲人臣者 莫知引其君以及先王之道也니이다
一切苟簡하여 溺於流俗末世之卑淺하여 以先王之道 爲迂遠而難遵하니
人主雖有聰明敏達之質이나 而無磨礱長養之具하여 至於不能有以自得이면 則天下之事在於理者 有所不能盡也니이다
不能盡天下之理 則天下之以事物接於我者 足以累其內하고 天下之以言語接於我者 足以蔽其外하나니이다
夫然故欲循理而邪情足以害之하고 欲從善而邪說足以亂之하니
如是而用之以持久 則愈甚無補하고 行之以不息이면 則不能見效하여 其弊則至於邪情勝而正理滅하고 邪說長而正論消하니 天下之所以不治而有至於亂者 以是而已矣
此周衰以來 人主之所以可傳於後世者少也니이다
可傳於後世者 若漢之文帝宣帝 唐之太宗 皆可謂有美質矣 由其學不能遠而所知者陋
故足以賢於近世之庸主矣로되 若夫議唐虞三代之盛德이면 則彼烏足以云乎잇가
由其如此 故自周衰以來 千有餘年 天下之言理者 亦皆卑近淺陋하여 以趨世主之所便하고 而言先王之道者 皆絀而不省이라
故以孔子之聖 孟子之賢으로도 而猶不遇也니이다
今去孔孟之時又遠矣 臣之所言 乃周衰以來 千有餘年 所謂迂遠而難遵者也
然臣敢獻之於陛下者
臣觀先王之所已試其言最近而非遠하고 其用最要而非迂 故不敢不以告者
此臣所以事陛下區區之志也니이다
伏惟陛下 有自然之聖質하고 而漸漬於道義之日 又不爲不久
然臣以謂陛下有更制變俗하고 比迹唐虞之志 則在得之於心이니 得之於心 則在學焉而已者
臣愚以謂陛下宜觀洪範大學之所陳하여 知治道之所本 不在於他하고 觀傅說周公之所戒하여 知學者 非明主之所宜已也라하노이다
陛下有更制變俗하고 比迹唐虞之志 則當懇誠惻怛하여 以講明舊學而推廣之하여 務當於道德之體要하고
不取乎口耳之小知하며 不急乎朝夕之近效하고 復之熟之하여 使聖心之所存으로 從容於自得之地 則萬事之在於理者 未有不能盡也하리이다
能盡萬事之理 則內不累於天下之物하고 外不蔽於天下之言하리니
然後明先王之道而行之 邪情之所不能入也 合天下之正論而用之 邪說之所不能亂也
如是而用之以持久하고 資之以不息이면 則雖細必鉅하고 雖微必顯하리니
以陛下之聰明而充之하여 以至於不可知之神하고 以陛下之睿知而積之하여 以至於從心所欲之不踰矩 夫豈遠哉리오
顧勉强如何耳니이다
夫然故內成德化하고 外成法度하여 以發育萬物而和同天人之際甚易也리이다
若夫移風俗之薄惡하고 振紀綱之弛壞하며 變百司庶務之文具하고 屬天下之士하여 使稱其位하고 理天下之財하여 使贍其用하며 近者使之親附하고 遠者使之服從하며 海內之勢 使之常安이면 則惟陛下之所欲 何求而不得이며 何爲而不成乎리오
未有若是而福應不臻하고 而變異不消者也니이다
如聖心之所存 未及於此하여 內未能無秋毫之累하고 外未能無纖芥之蔽
則臣恐欲法先王之政이나 而智慮有所未審하고 欲用天下之智謀材諝之士 而議論有所未一하여 於國家天下 愈甚無補하고 而風俗綱紀 愈以衰壞也리이다
非獨如此 自古所以安危治亂之幾 未嘗不出於此니이다
臣幸蒙降問하여 言天下之細務而無益於得失之數者 非臣所以事陛下區區之志也
輒不自知其固陋하고 而敢言國家之大體하니
惟陛下審察而擇其宜하시면 天下幸甚하리이다
曰 董仲舒劉向揚雄之文 不過如此
若論結構法이면 則漢猶有所未備 而其氣厚質醇 曾遠不迨董劉矣
惟揚雄이나 而又不能大變於當時之體하니 比曾爲不及耳라하니라


01. 희령熙寧윤대輪對할 당시 올린
권학勸學’ 두 글자에 대해 공의 견해가 바르고 뜻한 바도 컸다.
하지만 아쉽게도 재주는 거기에 미치지 못하였기 때문에 당대에 크게 등용되지 못하였다.
우선 초록하여 남겨 공의 대체적인 면모를 엿볼 수 있게 하였다.
어사대御史臺의 통보에 의하면 신료들에게 조사朝辭하는 날 전대轉對할 내용을 준비하라고 하셨습니다.
신은 우매하고 학식이 얕아 신이 하는 말이 채용할 만한 것이 못 될 소지도 있습니다.
그러나 신이 삼가 살펴보건대, 당 태종唐 太宗은 즉위 초기에 뭇 신료를 영접하여 함께 천하의 일을 토론하는 자리를 마련하여 봉륜封倫의 주장을 배격하고 위정공魏鄭公(위징魏徵)의 설을 채용하였으니, 이 때문에 정관貞觀(당 태종唐 太宗의 연호)의 치적을 이루었습니다.
그리고 후주後周 세종世宗(시영柴榮)은 즉위 초기에 그 또한 뭇 신료를 영접하여 당대의 정사에 대한 의견을 개진하게 하고 이를 통해 왕박王朴을 크게 등용할 만하다는 것을 알았으니, 이 때문에 현덕顯德(후주後周 세종世宗의 연호)의 정사가 또한 오대五代의 고식적인 정치 양상을 변화시킬 수 있었습니다.
대체로 여러 설이 난무하는 자리에서 독창적인 말로 아직 드러나지 않은 미래의 득실을 개진하게 되면 이것은 그 말을 듣는 자가 받아들이기 어려운 법입니다.
그러나 저들 두 군주는 능히 여러 사람들 속에서 그들이 〈비범하다는 것을〉 가려내 등용함으로써 한때의 성과를 거두었으니, 이 때문에 후세의 선비들이 항상 옳은 말을 알아주는 경우가 적음을 유감으로 여기면서 저 두 군주의 혜안을 칭송하였던 것입니다.
지금 폐하께서는 제왕의 계통을 이어받은 초기에는 역시 뭇 신료에게 명하여 차대次對하도록 하였습니다.
그러나 그 이후 한 해가 지났는데도 한 사람의 인재를 취했거나 한마디 좋은 건의를 얻었다는 소식을 듣지 못했습니다.
그 이유는 혹시 당대에 진정 인재다운 인재가 없어 〈개진하는 내용이〉 폐하의 의중을 충분히 채워드리지 못해서 그런 것입니까?
아니면 신료들의 의견을 청취하는 조처가 그저 과거 군주들의 의례적인 고사만 따르고 굳이 그 내실을 추구하지 않으셔서 그런 것입니까?
신은 삼가 헤아려보건대, 아마도 진언한 자가 폐하의 의중을 채워드리지 못했다고 봅니다.
폐하의 밝으신 지혜와 큰 계책은 진정 앞으로 요순堯舜삼대三代()의 거룩한 치적과 어깨를 나란히 할 만하고 태종太宗세종世宗이 도달했던 그 정도는 폐하의 역량으로 보아 하찮은 수준일 것입니다.
그러므로 신이 올리는 말씀도 감히 저들 두 신하(위징魏徵왕박王朴)의 천근한 견해를 본받을 수 없습니다.
삼가 바라건대, 폐하께서는 초연히 세속 사람들의 통속적인 시각을 뛰어넘어 신이 올리는 말을 곰곰이 생각해보시고 좋은 점을 골라 행하신다면 저들 두 군주의 밝은 지혜가 어찌 후세에 거론될 만한 거리가 되겠으며, 충성과 의리를 가슴에 품은 선비들이 어찌 다시 옳은 말을 알아주는 사람이 적다고 유감스러워하겠습니까?
신이 올리는 말씀은 다음과 같습니다.
신은 삼가 생각건대, 폐하께서는 공손하고 검소하며 인자하시어 조종祖宗(제왕帝王의 선조)의 덕을 계승하였고, 총명하고 지혜로워 천하의 인재를 가려 정사를 맡기실 수 있습니다.
즉위하신 이후 이른 아침에 조정에 나오시어 정무를 처리하고 저녁 무렵에야 조회를 파하면서 〈주위 사람들의 의견을〉 널리 묻고 청취하여 제도와 풍속을 바꾸고 요순堯舜과 어깨를 나란히 해야겠다는 뜻을 지니셨으니, 이는 뭇 신하가 미쳐 갈 수 없습니다.
그러나 지금 만난 시점이 천상에는 일식日蝕과 별자리의 이변이 있고, 지상에는 지진으로 땅이 갈라지고 지하수가 터져 나와 사방이 범람하는 재앙이 있으며, 인간 세상에는 기근으로 인해 각지로 유랑하고 유언비어로 서로 소란을 피우는 우환이 있으니, 이들 세 가지는 모두 비상한 변고입니다.
더 나아가 오늘의 천하를 살펴보면 풍속은 나날이 각박해지고 기강은 나날이 해이해지며 모든 관리의 온갖 정무가 일체 내실이 없는 허울에 불과합니다.
내외內外의 관직은 〈그것을 맡길 만한〉 인재가 부족하고 공사公私의 계책은 〈그것을 운영할 만한〉 재력이 부족합니다.
그리하여 가깝게는 도적을 염려하지 않을 수 없고 멀게는 변방 이민족을 걱정하지 않을 수 없어, 천하의 지모 있는 선비는 항상 천하의 형세가 오랫동안 편안을 유지하지 못할까 걱정하고 있습니다.
폐하의 밝으신 지혜로도 지금 만난 때가 이와 같으니 폐하께서 제도와 풍속을 바꾸고 요순과 어깨를 나란히 해야겠다는 뜻을 지니셨다면, 〈해결책은〉 또한 그 근본을 올바로 세우는 데에 있을 뿐입니다.
역경易經》에 “그 근본을 올바로 세우면 만사가 다스려진다.” 하였는데, 신은 그 근본을 올바로 세우는 일은 오직 폐하께서 〈그것이 무엇인가를〉 마음으로 자득하는 데에 달려 있다고 생각합니다.
신은 살펴보건대, 《서경書經》 〈주서周書 홍범洪範〉은 천도天道인사人事의 관계를 조화시켜 서로 간격이 없게 하기 위한 것인데 그 단초가 되는 것을 따져보면 곧 ‘생각하는 것[]’이고, 《대학大學》은 뜻을 진실되게 하고 마음을 바르게 갖고 몸을 닦아 국가와 천하를 다스리기 위한 것인데 그 단초가 되는 것을 따져보면 ‘지식을 극대화하는 것[치지致知]’입니다.
이 때문에 신은 그 근본을 올바로 세우는 일은 오직 그것을 마음으로 자득하는 데에 있다고 생각한 것입니다.
근본을 마음으로 자득하는 일은 그 방법이 별다른 것이 아니라 학문일 뿐입니다.
학문을 통해 지식을 극대화하는 일이 곧 《대학大學》을 공부하는 방도입니다.
옛날 성인으로서 성탕成湯문왕文王무왕武王은 학문을 통해 〈그 덕을〉 이루지 않은 이가 없었고, 부열傅說주공周公이 그 군주를 보좌할 때에도 학문을 가지고 권하지 않은 적이 없었습니다.
그러므로 맹자孟子가 “배운 다음에 정치를 하였기에 이 천하에 왕자王者가 되고 제 환공齊 桓公이 제후의 패자霸者가 되는 일을 모두 힘들이지 않고 이루어낼 수 있었다.” 하였으니, 대체로 학문이 군주의 업적과 도덕을 이루어내게 하는 역할이 이와 같습니다.
진실로 타고난 자질을 연마하고 길러 스스로 근본을 얻는 수준까지 이르게 되면, 천하만사에 개재되어 있는 이치를 남김없이 이해하지 못하는 일이 없을 것입니다.
천하의 온갖 이치를 다 이해하게 되면, 나에게 접해오는 천하의 사물이 마음을 번거롭게 하지 못하고, 나에게 접해오는 천하의 언어가 귀를 현혹시키지 못할 것입니다.
이렇게 되면 오직 이치만을 따라 부정한 감정이 침입하지 못하고, 만을 따라 부정한 설이 어지럽게 하지 못할 것입니다.
이렇게 한 다음에 이 길을 따라 장구히 유지하고 근간으로 삼아 중단하지 않는다면, 작은 것이 쌓이고 또 쌓여서 반드시 거대해질 것이고, 희미한 것이 밝아지고 또 밝아져서 반드시 환해지는 경지에 이를 것입니다.
옛날 사람은 내면에 선을 지녀 남으로부터 호감을 받는 단계에서부터 덕을 확충해나가 마침내 남들이 그 실체를 헤아리지 못하는 의 수준까지 이르렀고, 15세에 학문에 뜻을 둔 데서부터 공부를 쌓아 마음이 내키는 대로 행하더라도 법도를 넘어서지 않는 수준까지 이르렀는데, 어찌 별다른 방도가 있었겠습니까? 오직 학문의 길을 따랐을 뿐입니다.
그러므로 “생각이 시종 언제나 학문에 있어야 한다.” 하였고, 또 “배워본 뒤에 부족한 점을 안다.” 하였으며, 공자孔子도 “나는 배우기를 싫어하지 않는다.” 하였으니, 대체로 이처럼 하는 일은 공자가 소홀히 하지 못한 바입니다.
사람이 능히 나에게 접해오는 사물이 마음을 번거롭게 하지 못하게 한다면 이는 그 내면을 잘 다스리는 것이고, 나에게 접해오는 언어가 귀를 현혹시키지 못하게 한다면 이는 외부를 잘 대응하는 것입니다.
내면을 다스리는 것은 곧 덕화德化를 이루는 것이고 외부를 대응하는 것은 곧 법도를 이루는 일이니, 덕화德化와 법도가 이미 이루어지면 이로 인해 만물을 발육해내고 천도天道인사人事의 관계를 조화시키게 되는 것입니다.
나라가 쇠약해진 이후로 도술道術이 밝아지지 않아, 군주가 된 자는 선왕先王의 도를 배워 그 마음을 밝힐 줄을 모르고, 신하가 된 자는 그 군주를 인도하여 선왕先王의 도로 나아가게 할 줄을 몰랐습니다.
그리하여 오로지 적당히 되는 대로 넘어가는 자세로 관습화된 못된 풍속과 말세의 비루하고 천박한 부류로 전락하여, 선왕先王의 도를 현실과 괴리되어 따르기 어려운 것으로 치부해버립니다.
군주가 비록 총명 민첩하고 통창한 자질을 지녔더라도, 그 자질을 연마하고 길러내는 장치가 없어 근본을 자득하지 못하는 상황에 이르게 되면, 천하만사에 개재되어 있는 이치를 완전히 파악할 수 없습니다.
천하의 이치를 완전히 파악하지 못하면 나에게 접해오는 천하의 사물이 충분히 그 마음을 번거롭게 하고, 나에게 접해오는 천하의 언어가 충분히 그 귀를 현혹시킬 것입니다.
이렇기 때문에 바른 이치를 따르려 해도 부정한 감정이 족히 그것을 해치고, 선을 따르려 해도 부정한 설이 족히 그것을 어지럽게 만듭니다.
이와 같이 하면서 그 길을 따라 장구히 유지하면 그럴수록 더욱 보탬이 없고, 이대로 행하여 중단하지 않는다면 좋은 성과를 볼 수 없을 것이며, 그 폐해는 부정한 감정이 우세하여 바른 이치가 소멸되고 부정한 설이 신장되어 바른 논리가 사라지는 데에 이를 것이니, 천하가 다스려지지 않고 어지러워지는 지경에 이르게 되는 이유가 오직 여기에서 기인합니다.
이 때문에 나라가 쇠약해진 이후로 후세에 이름을 전할 만한 군주가 적었던 것입니다.
후세에 이름을 전할 만한 자로서 문제文帝선제宣帝당 태종唐 太宗과 같은 경우는 모두 아름다운 자질을 지녔다고 말할 수 있으나, 그 학문이 원대하지 못해 아는 바가 고루하였습니다.
그러므로 근대의 무능한 군주보다는 월등히 나았지만 요순堯舜삼대三代의 거룩한 덕으로 논한다면 저들이 어찌 거론할 수준이 되겠습니까?
상황이 이와 같기 때문에 나라가 쇠약해진 이후 천여 년 동안 천하에 이치를 말하는 자들도 모두 그 수준이 낮고 고루하여 그 당대 군주가 편하게 여기는 쪽으로 따라갔고, 선왕先王의 도를 말하는 자에 대해서는 모두 배척하고 돌아보지 않았습니다.
이 때문에 공자孔子와 같은 성인과 맹자와 같은 현인도 〈알아주는 군주를〉 만나지 못했던 것입니다.
지금 공맹孔孟 당시와 그 거리가 또 멀고 신이 진언하는 내용은 곧 나라가 쇠약해진 이후 천여 년 동안 이른바 현실에 맞지 않아 따르기 어렵다고 여겨왔던 것입니다.
그런데도 신이 감히 폐하께 올리는 것입니다.
그 이유는, 신이 살펴볼 때 선왕先王들이 이미 시험해본 것으로써 그 말이 가장 현실과 가까워 멀지 않고 그 효용이 가장 긴요하여 오활하지 않기 때문에 감히 이것을 고해 올리지 않을 수 없어서입니다.
이것이 곧 신이 폐하를 섬기는 간곡한 뜻입니다.
삼가 생각건대 폐하께서는 선천적으로 신성하신 자질을 지니시고 마음이 도의道義에 젖어든 시일이 또 오래되지 않은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신은 생각할 때, 폐하께서 제도와 풍속을 바꾸고 요순堯舜과 어깨를 나란히 해야겠다는 뜻을 지니셨다면, 그것은 근본을 마음으로 자득하는 데에 달려 있으며, 근본을 마음으로 자득하는 일은 오직 학문에 달려 있다고 봅니다.
신은 다음과 같이 권해 올립니다. 폐하께서는 마땅히 《서경書經》 〈주서周書 홍범洪範〉과 《대학大學》에 개진되어 있는 내용을 살펴 천하를 다스리는 도의 근본이 다른 데에 있지 않다는 사실을 알아야 하고, 부열傅說주공周公이 경계한 내용을 살펴 학문이란 슬기로운 군주가 도외시할 일이 아니라는 것을 아셔야 합니다.
폐하께서 제도와 풍속을 바꾸고 요순堯舜과 어깨를 나란히 해야겠다는 뜻을 지니셨다면, 마땅히 간절하고 정성스런 마음으로 옛 학문을 강명하고 그것을 더욱 확대해나가 도덕의 구체적인 핵심에 도달하도록 힘써야 합니다.
말하고 듣는 정도의 작은 지혜는 취하지 말고 아침저녁에 당장 나타나는 효과를 우선시하지 말면서, 〈학문하기를〉 반복하고 익숙히 하심으로써 폐하의 마음에 자연스레 자신감이 생기도록 하신다면, 만사에 개재되어 있는 이치를 모두 이해하지 못하는 일이 없을 것입니다.
능히 만사의 이치를 모두 이해한다면 안으로는 천하의 사물에 마음이 번거로워지지 않고 밖으로는 천하의 말에 귀가 현혹되지 않을 것입니다.
그런 다음에 선왕先王의 도를 밝혀 행하면 부정한 감정이 침입해 들어올 수 없고, 천하의 정당한 의견에 맞추어 적용하면 부정한 설이 귀를 어지럽게 하지 못할 것입니다.
이처럼 하면서 이 길을 따라 장구히 유지하고 근간으로 삼아 중단하지 않는다면, 비록 작은 것이라도 반드시 거대해질 것이고 희미한 것이라도 반드시 환해질 것입니다.
〈그렇다면〉 폐하의 총명으로 자꾸 확충해나가 측량할 수 없는 신묘한 경지에 도달하는 일과, 폐하의 예지로 자꾸 쌓아나가 마음이 내키는 대로 행하더라도 법도를 넘어서지 않는 경지에 도달하는 일이 어찌 요원하겠습니까.
그저 힘쓰기를 어떻게 하느냐에 달려 있을 뿐입니다.
대체로 그렇기 때문에 안으로 덕화德化를 이루고 밖으로 법도를 이룸으로써 만물을 발육하여 천도天道인사人事의 관계를 조화시키는 일이 매우 쉬울 것입니다.
기타 야박하고 고약한 풍속을 바꾸고 해이해지고 무너진 기강을 추스르며, 모든 관리의 온갖 정무에 내실이 없는 허울을 쇄신한다거나, 천하 선비를 불러들여 그의 능력에 맞는 자리에 앉게 하고 천하의 재물을 다스려 그 운용을 넉넉하게 하며, 가까운 측근들은 친근히 따르게 하고 먼 지방에 있는 자들은 복종하게 함으로써, 온 천하의 상황이 항상 안정을 유지하게 하는 일 따위는 폐하께서 이뤄내고 싶다면 무엇을 원한들 얻지 못할 것이며, 무엇을 행한들 이루지 못하겠습니까.
이와 같이 하는데도 그에 호응하는 복이 이르지 않고 이변이 사라지지 않은 경우는 없습니다.
만일 폐하의 마음 상태가 여기에 미치지 못해 안으로는 마음이 추호도 번거롭지 않고 밖으로는 귀가 조금도 현혹되는 일이 없지 못한다면,
신은 아마도 폐하께서 선왕先王의 정사를 본받고 싶더라도 지혜가 잘 살피지 못할 것이고, 천하의 지모와 재간을 지닌 선비를 등용하고 싶더라도 주위의 논의가 통일되지 않음으로써, 국가와 천하에 더욱더 보탬이 없고 풍속과 기강은 더욱더 퇴패해지지 않을까 염려됩니다.
〈그 폐해는〉 여기에서 그치지 않으니 예로부터 천하의 안위安危치란治亂의 갈림길이 여기에서 나오지 않은 적이 없습니다.
신이 다행하게도 하문下問하신 은혜를 입었는데, 천하의 하찮은 일로써 〈정사의〉 득실에 도움이 되지 않는 문제를 진언한다는 것은 신이 폐하를 섬기는 간곡한 뜻이 아닙니다.
그러므로 신의 식견이 고루함을 스스로 돌아보지 못하고 감히 국가를 다스리는 중요한 도리를 진언하였습니다.
바라건대 폐하께서 곰곰이 살펴 사리에 합당한 부분을 선택해주신다면 천하가 매우 다행할 것입니다.
왕준암王遵巖이 말하였다. “동중서董仲舒유향劉向, 양웅揚雄의 문장도 이 정도의 수준을 넘지 못한다.
만일 논리 구성법을 논한다면 나라 작가도 오히려 미진한 부분이 있긴 하나, 그 기운이 온후하고 자질이 순수한 점은 증공曾鞏동중서董仲舒유향劉向에게 크게 미치지 못한다.
다만 양웅揚雄은 재주가 뛰어났지만 당대에 유행하던 문체의 성향을 크게 바꾸지 못하였기에 증공曾鞏과 견주어보면 미치지 못한다.”


역주
역주1 熙寧轉對疏 : 본 편은 작자의 나이 50세 때인 神宗 熙寧 2년(1069)에 實錄檢討官으로 있다가 越州通判으로 부임하면서 올린 상소이다. 神宗이 즉위하여 堯舜시대와 같은 치적을 이루고 싶은 의지가 있으면서도 제대로 안 되고 있는 문제를 적출하여, “그 근본을 올바로 세우면 만사가 다스려진다.[正其本 萬事理]”는 논리를 전개하면서 儒家에서 추구하는 誠意‧正心‧修身으로 천하를 다스리는 근본을 세울 것을 권하였다. 經典의 내용과 역사사실을 근간으로 하여 논변과 충고를 적절히 결합함으로써 어조가 완곡하면서도 엄중하여 강한 설득력을 지녔다. 轉對는 輪對와 같다. 송나라 때 신료들이 5일 간격으로 한 사람씩 번갈아 內殿으로 올라가 時政의 잘잘못을 지적하여 개진하였는데 이 일을 말한다.
역주2 : 공문에 사용하는 투식어로, 許可 또는 依據 등의 의미를 나타낸다. 唐나라와 五代 때부터 사용하였다.
역주3 御史臺 : 조정 관리의 잘못을 사찰하고 탄핵하는 임무를 담당한 사정관의 하나이다.
역주4 朝辭 : 지방관에 임명된 관리가 조정에 나아가 천자에게 사은숙배하고 하직하는 일이다.
역주5 唐太宗卽位之初……用魏鄭公之說 : 唐 太宗이 즉위하여 신하들에게 한탄하기를 “지금 큰 난리를 치른 뒤라서 천하를 다스리기 어렵겠구나.”라고 하자, 魏徵이 말하기를 “큰 난리 뒤에는 다스리기가 쉽습니다. 비유하자면 굶주린 자에게 밥을 먹이기 쉬운 것과 같습니다.”라고 하면서 五帝 三王이 행했던 仁義政治를 행할 것을 권하였다. 이에 대해 封倫은 후세에는 인심이 혼탁해져서 불가능하다고 반박하였으나 唐 太宗은 魏徵의 건의를 받아들였다. 《新唐書 魏徵列傳》
역주6 今陛下始承天序……使以次對 : 神宗이 治平 4년(1067) 2월에 즉위하여 그해 11월에 2차에 걸쳐 내외 文武官으로 하여금 인재를 천거할 것을 명하였고, 12월에 또 매일 轉對할 관리를 2인으로 추가할 것을 명하였다.
역주7 在天則有日食星變之異 : 熙寧 원년(1068) 1월 1일에 일식이 일어났고, 7월에 熒惑星이 낮에 나타났으며, 8월 1일에는 太白星이 낮에 나타났다. 고대의 점술가가 주장하기를, 일식은 陰이 陽을 침범한 것으로 신하가 임금을 능멸하는 현상인데 임금이 죽거나 나라가 망하거나 홍수가 날 징조이고, 熒惑星이 낮에 나타나는 것은 역적, 질병, 병란이 일어날 징조이고, 太白星이 낮에 나타나는 것은 병란이 일어날 징조라고 하였다. 熒惑星은 火星의 옛 이름이고, 太白星은 金星의 옛 이름이다. 《宋史 神宗本紀》
역주8 在地則有震動陷裂水泉湧溢之災 : 治平 4년(1067)과 熙寧 원년에 여러 지역에서 지진이 일어났다. 治平 4년 8월에는 도성에서, 9월에는 潮州에서, 10월에는 漳州‧泉州와 建州의 昭武‧興化軍 등지에서 일어났으며, 熙寧 원년 7월에는 京都에서 두 차례, 河北에서 여러 차례, 8월에는 京都에서 두 차례 일어났다. 특히 河北에서는 모랫벌이 융기하고 지하수가 터지는가 하면 성곽과 주택이 무너지는 등 피해가 컸다고 한다. 《宋史 英宗本紀, 神宗本紀》
역주9 孟子以謂學焉而後……皆不勞而能也 : 《孟子》 〈公孫丑 下〉에 “湯이 伊尹에게 배운 뒤에 그를 신하로 삼았기 때문에 수고롭지 않고 王者가 되었고, 桓公이 管仲에게 배운 뒤에 그를 신하로 삼았기 때문에 수고롭지 않고 霸者가 되었다.”라고 한 데서 인용한 것이다.
역주10 自可欲之善而充之 至於不可知之神 : 《孟子》 〈盡心 下〉에 “본능적으로 하려고 하는 것을 善이라 하고, 그 善을 실제로 마음에 지니는 것을 信이라 하고, 그 善을 힘써 행하여 몸에 충만한 것을 美라 하고, 충만하여 겉으로 광채가 있는 것을 大라 하고, 廣大하여 인위적인 흔적이 없이 변화하는 것을 聖이라 하고, 聖人의 경지에 들어서서 사람이 측량할 수 없는 것을 神이라 한다.”라고 한 것을 축약하여 인용한 것이다.
역주11 自十五之學而積之 至於從心之不踰矩 : 《論語》 〈爲政〉에 “나는 15세에 학문에 뜻을 두었고, 30세에 스스로 도에다가 뜻을 굳게 세웠고, 40세에 외부 사물의 유혹을 받지 않았고, 50세에 사물에 부여된 하늘의 도를 알았고, 60세에 각종 언어의 의미가 귀에 접하는 대로 환히 통하였고, 70세에는 마음이 내키는 대로 따르더라도 법도를 넘어가지 않았다.”라고 한 것을 축약하여 인용한 것이다.
역주12 念終始典于學 : 《書經》 〈商書 說命 下〉에 나오는 말이다.
역주13 學然後 知不足 : 《禮記》 〈學記〉에 나오는 말이다.
역주14 學不厭 : 《孟子》 〈公孫丑 上〉에 나오는 말이다.
역주15 王遵巖 : 遵巖은 王愼中(1509~1559)의 별호이다. 자는 道思, 호는 南江이며 晉江(지금의 福建省에 속함) 사람이다. 明나라 때의 문장가로 嘉靖八才子 가운데 한 사람이다.
역주16 才艱 : 재주가 그 유례를 찾아보기 어렵다는 뜻으로, 재주가 출중한 것을 말한다.

당송팔대가문초 증공(1) 책은 2019.03.14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