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古文眞寶前集

고문진보전집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고문진보전집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贈韋左丞
杜甫
左丞
紈袴不餓死
儒冠多誤身이라
試靜聽하라
賤子請具陳이라
甫昔少年日
早充이라
讀書破萬卷하고
下筆如有神이라
賦料揚雄敵이요注+賦料揚雄敵 : 揚雄 字子雲이니 嘗好詞賦하여 每擬相如하니라
詩看子建親이라注+詩看子建親 : 曹植 字子建이니 善屬文하여 詩出國風하여 卓爾不群하니라
이라
自謂頗挺出하여
立登要路津이라
致君堯舜上하여
再使風俗淳이라
此意竟蕭條
行歌非隱淪이라
騎驢三十載
旅食京華春이라
朝扣富兒門이요
暮隨肥馬塵이라
殘盃與冷炙
到處潛悲辛이라
主上頃見徵하니
欻然欲求伸이라
靑冥却垂翅
이라
甚愧丈人厚
甚知丈人眞이라
每於百寮上
猥誦佳句新이라

難甘이라
焉能心怏怏
秪是走踆踆이라
今欲東入海하여
卽將西去秦이나
尙憐終南山하여
回首淸渭濱이라
常擬報一飯커든
況懷辭大臣注+常擬報一飯 況懷辭大臣 : 況大臣相知 不獨一飯이니 其去別之懷抱爲何如리오


韋左丞에게 올리다
두보
左丞의 성은 韋요 이름은 濟이다.
비단 바지 입은 貴族들 굶어죽지 않으나
儒冠을 쓴 자들 몸을 그르치는 이 많다오.
丈人은 한번 고요히 들어보시오
천한 이 몸이 자세히 말씀드리겠습니다.
저는 옛날 소년시절에
일찍이 都城의 文物 구경하는 손님에 충원되었습니다.
책은 만 권을 讀破하였고
붓을 들어 글씨 쓰면 神明이 돕는 듯하였습니다.
賦는 揚雄에게 필적할 만하고注+揚雄은 자가 子雲이니, 일찍이 詞賦를 좋아하여 언제나 司馬相如에게 비기곤 하였다.
詩는 子建에 견주어 가까웠습니다.注+曹植은 자가 子建이니, 글짓기를 잘하여 詩가 國風에서 나와 우뚝하여 범상치 않았다.
李邕은 얼굴을 알기 바라고
王翰은 이웃에 함께 살기 원하였지요.
스스로 생각하기를 자못 빼어나서
당장 중요한 벼슬길과 나루에 오르리라 여겼습니다.
군주를 堯舜보다 훌륭한 군주로 만들어
다시 풍속을 순박하게 하려 하였습니다.
이러한 뜻 끝내 쓸쓸하게 되었으나
다니며 노래함 은둔하려는 것 아닙니다.
나귀 타고 다닌 지 삼십 년에
서울의 봄에 나그네로 밥 얻어 먹었습니다.
아침에는 부잣집 문 두드리고
저녁이면 살찐 말 뒤 따라다녔는데
남은 술잔과 식은 불고기에
이르는 곳마다 남몰래 슬퍼하고 괴로워했습니다.
主上께서 지난번 불러주시니
문득 뜻을 펴고자 하였습니다.
푸른 하늘로 날려 하였으나 다시 날개 접고
세력 잃어 갈 곳 없는 물고기처럼 되었습니다.
丈人의 厚意에 매우 부끄럽고
丈人의 진실한 사랑 참으로 알고 있습니다.
언제나 여러 관료들 위에서
제가 새로 지운 詩 외람되이 외시곤 하였습니다.
적이 貢公의 기쁨 본받으려 하고
原憲의 가난 달게 여기기 어렵습니다.
어찌 마음속에 불평하겠습니까
다만 달리기를 분주히 할 뿐입니다.
이제 동쪽으로 바다에 들어가고자 하여
곧 장차 서쪽 長安을 떠나려 하옵니다.
그러나 아직도 終南山 사랑하여
머리 돌려 맑은 渭水가 바라봅니다.
항상 한 끼 밥의 은혜도 갚으려 하였는데
하물며 대신을 하직하려 생각함이겠습니까.注+하물며 대신이 서로 알아줌은 한 끼 밥의 은혜일 뿐만이 아니니, 작별하는 회포가 어떠하겠는가.
白鷗가 너른 물결에 출몰한다면
萬里 멀리 있는 자 누가 길들이겠습니까.
賞析
이 시는 尙書左丞 韋濟에게 올린 시로《杜少陵集》1권에는 제목이〈奉贈韋左丞丈二十二韻〉으로 되어 있는데, 丈은 丈人의 略稱이다. 이 시는 天寶 7년(748) 겨울 장안에서 지은 것으로 위좌승에게 자신을 등용해 주기를 청하고, 만약 여의치 않을 때에는 장차 장안을 떠나 東海로 가려 한다는 내용이다. 두보의 長篇은 對句에 약한 단점이 있으나 오직 이 시만은 전형적으로 布置하여 장편의 正體를 가장 잘 보여주므로 先儒들이 壓卷으로 여겼다고 한다. 자신의 재능과 포부를 밝히며 알아주기를 바라는 詩聖의 고달픈 처지가 서글프게 느껴진다.


역주
역주1 丈人 : 어르신이란 뜻으로 저자가 左丞인 韋濟를 가리킨 것이다.
역주2 觀國賓 : 《周易》〈觀卦〉六四爻의 “觀國之光 利用賓于王”을 인용한 것으로 벼슬길에 올라 國士로 충원됨을 이르는데, 후대에는 司馬試에 합격하여 成均館에 들어감을 말하기도 한다.
역주3 李邕求識面 王翰願卜隣 : 本集의 註에는 “李邕이 文才가 있으므로 後進들이 그를 사모하여 그의 얼굴을 알려고 하였다.” 하였으나 이는 誤註로 보이며, 李邕과 王翰은 모두 당시의 인물로 이들이 杜甫와 사귀기를 원하고, 또 한 마을에서 함께 살기를 원한 것으로 봄이 옳을 듯하다.
역주4 蹭蹬無縱鱗 : 李德弘의《艮齋集》續集 4권에 “王褒가 이르기를 ‘큰 물고기를 큰 강골짜기에 풀어놓는다.’라고 하였으니, 君臣이 道를 크게 행하는 것은 물고기가 큰 물을 만난 것과 같다. 그런데 지금 杜甫는 때를 만나지 못하였으므로 ‘蹭蹬無縱鱗’이라고 말한 것이다.” 하였다.
역주5 竊效貢公喜 : 貢公은 前漢 元帝 때의 貢禹를 가리킨다. 字가 少翁인데 王吉과 매우 친하여 왕길이 등용되면 갓을 털어 쓰고 밖에 나가 기뻐하였다. 왕길은 字가 子陽이므로 王陽이라고도 쓴다.
역주6 原憲貧 : 原憲은 孔子의 제자로 字는 子思인데 집안이 몹시 가난하였으나 지조를 지키며 태연히 살아갔다.
역주7 白鷗波浩蕩 萬里誰能馴 : 자신이 한번 세상에 은둔하여 멀리 江湖에서 白鷗들과 함께 노닐게 된다면 다시는 되돌아 오지 않아 비록 韋濟라도 만나볼 수 없음을 말한 것이다.
동영상 재생
1 증위좌승 620
동영상 재생
2 증위좌승 533

고문진보전집 책은 2017.12.2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