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古文眞寶前集

고문진보전집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고문진보전집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烏夜啼
李白
黃雲城邊烏欲棲하니
歸飛啞啞枝上啼
機中織錦
碧紗如煙隔窓語
停梭悵然憶遠人하니
獨宿孤房淚如雨


까마귀가 밤에 울다
이백
黃雲 낀 城 가에 까마귀 깃들려 하니
날아 돌아와 가지 위에서 까악까악 울고 있네.
베틀 위에 비단 짜는 秦川의 여인
푸른 깁 연기 같은데 창 사이에 두고 말하누나.
북 멈추고 서글피 멀리 계신 임 생각하니
홀로 외로운 방에서 자며 눈물만 비오듯 한다오.
賞析
이 시는《李太白集》3권에 실려 있다.〈烏夜啼〉는 까마귀가 밤에 운다는 뜻으로 樂曲名인데, 이백이 옛 악곡을 취하여 제목으로 삼은 것이다. 까마귀가 밤에 우는 것은 원래 吉兆를 뜻하였으나 후에는 임을 그리는 相思曲으로 바뀌었다. 이 시는 멀리 변방에 수자리 간 남편을 그리는 아내의 심정을 읊은 것으로, ‘歸飛’라는 두 글자는 ‘遠人’과 서로 호응된다. 까마귀는 날 저물면 돌아오는데 그리운 님은 해가 가도 돌아오지 않는다고 하였으니, 눈에 보이는 것을 가지고 興을 일으켜 마음이 서글퍼지는 情과 景이 서로 융화하는 신묘한 경지에 이르렀다고 할 만하다. 끝의 두 구는 앞의 뜻을 모두 포괄하였으며, 獨宿空房이 歸烏와 대비되어 말할 수 없는 처연함을 느끼게 한다. 吳昌祺는 “함축된 뜻이 무궁하고 음절이 절묘하다.”고 평하였는 바, 불변의 定評이라고 할 만하다.
崔鳴吉〈1586(선조 19)-1647(인조 25)〉의《遲川集》2권에 이 시를 본떠 지은 시가 실려 있으므로 소개한다.
“성 꼭대기에 달이 뜨니 꽃은 물안개를 머금고 울어대는 갈가마귀 버드나무 가에 깃들었네. 秦川의 아리따운 아가씨 말없이 고운 손으로 찰칵찰칵 베틀의 북만 울리네. 새로 지은 악부시 비단에 짜넣으니 아무리 보아도 關山의 길은 보이지 않네.[城頭月出花含烟 啼殺棲鴉楊柳邊 秦川女兒嬌不語 纖手札札鳴機杼 新裁樂府織錦紋 眼斷不省關山路]”
이 외에도 成俔〈1439(세종 21)-1504(연산군 10)〉의《虛白堂集》風雅錄 2권과 申欽〈1523(명종 21)-1597(인조 6)〉의《象村稿》3권에 같은 제목의 시가 실려 있다.


역주
역주1 秦川女 : 秦川은 陝西省과 甘肅省의 秦嶺 이북의 平原지대로 秦川의 여자란 先秦 때 秦州刺史를 지낸 竇縚의 아내인 蘇蕙를 이른다. 두도는 일찍이 총애하는 첩 趙陽臺를 딴 곳에 두고 사랑하였는데, 蘇氏가 이것을 알고 매를 때려 모욕을 주니, 두도가 크게 노하여 任地인 襄陽으로 가면서 조양대만 데리고 갔다. 이에 소씨는 2백 여수의 시를 비단에 짜서 남편에게 주었는데, 그 내용이 자신의 잘못을 뉘우치고 남편의 용서를 애원하는 것이었으며 종횡으로 모두 문장이 이루어지는 廻文體였다. 두도가 이것을 보고 그 절묘함에 감탄하여 마침내 소씨를 다시 데려갔다. 이후로 남편을 애절하게 사모하면서 비단짜는 여인을 비유하는 말로 쓰인다.《侍兒小名錄》
동영상 재생
1 오야제 486

고문진보전집 책은 2017.12.2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