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古文眞寶前集

고문진보전집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고문진보전집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淸江曲
玉雙飛水滿塘하니
蓏蒲深處浴鴛鴦
이라
하니
蘆花兩岸霜이라
扁舟繫岸依林樾하니
蕭蕭兩鬢吹華髮이라
萬事不理醉復醒하니
長占煙波弄明月이라


청강곡
이백
촉옥새 짝지어 날고 물이 연못 가득한데
줄풀 우거진 곳에 원앙새 목욕하네.
흰 마름 노에 가득하여 돌아옴 늦어지니
가을이라 갈대꽃 피어 두 강 언덕 서리 내린 듯.
조각배 강 언덕에 매고 숲속에 의지하니
살랑살랑 양 귀밑머리에 흰 머리털 날리누나.
萬事 다스리지 않고 취했다가 다시 깨니
煙波 길이 차지하고 明月 희롱하네.
賞析
이 시는 李白의 작품이 아니고 北宋 때의 詩人인 蘇庠이 지은 것이라 하는 바, 소상은 字가 養直이다.《鶴林玉露》5권에 “蘇養直의 아버지 伯固가 소동파를 따라 놀았는바, 양직의 ‘屬玉雙飛水滿塘’이라는 句는 소동파에게 칭찬을 받아 ‘우리 집안의 養直’이라 일컬어졌다. 이 시를 지을 때 나이가 매우 어렸는데도 格律의 老蒼함이 이미 이와 같았다.” 하였다. 전반부는 江의 경치가 淸幽함을 형용하였고, 후반부는 情懷가 蕭散함을 상세히 말하였다.
申維翰〈1681(숙종 7)-?〉의《靑泉集》1권에도 같은 제목으로 李秀才에게 준 시가 실려 있다.


역주
역주1 李太白 : 臺本에는 작자가 李白으로 되어 있으나 일반적으로 이 시는 北宋 때의 詩人인 蘇庠이 지은 것으로 본다.
역주2 屬玉雙飛水滿塘 蓏蒲探處浴鴛鴦 : 屬玉(촉옥)은 水鳥의 일종으로 白鷺라 하며 蓏蒲(나포)는 창포의 일종으로 줄풀이라 한다.
역주3 : 촉
역주4 白蘋滿棹歸來晩 : 李德弘의《艮齋集》續集 4권에 “배타고 놀다가 늦게 돌아옴을 말한 것이다. 그러나 늦은 까닭이 흰 마름이 노젓는 것을 방해해서가 아니요 단지 놀다가 더디 온 것이다. 晩字가 가장 좋다.” 하였다.
역주5 : 착
동영상 재생
1 청강곡 165

고문진보전집 책은 2017.12.2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