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古文眞寶前集

고문진보전집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고문진보전집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題東溪公幽居
李白
淸且廉하니
東溪卜築歲將淹이라
이라
好鳥迎春歌後院이요
飛花送酒舞前簷이라
客到但知留一醉하니
盤中祗有水精鹽이라


東溪公의 幽居에 쓰다
이백
杜陵에 사는 賢人 맑고 또 청렴하니
東溪에 집 지어 한 해가 다 지려 하네.
집이 푸른 산과 가까우니 옛날 謝脁와 같고
문에 푸른 버드나무 드리우니 陶潛과 같다오.
아름다운 새 봄을 맞이하여 뒷뜰에서 노래하고
나는 꽃잎 술을 보내는 듯 앞 처마에 춤 추네.
객이 이르면 다만 머물게 하여 한번 취할 줄 아니
소반 가운데에 오직 水精같은 소금 있을 뿐이라오.
賞析
이 시는《李太白集》25권에 실려 있는 바, 東溪의 성명은 알 수 없다. 아마 동계에 집을 짓고 살아서 東溪公이라고 부른 듯하다. 이 시는 七律의 變體로, 전반부는 동계에 거처하는 뜻을 서술하였고, 후반부는 동계공의 즐거움과 그의 淸麗함을 부러워하는 마음을 묘사하였다. 이백이 謝脁와 陶潛을 흠모하였음을 이 시에서도 알 수 있다.
李玄錫의《游齋集》2권에 이 시의 내용을 본떠 자연 속에서의 소탈한 생활을 읊은 시가 있으므로 소개한다.
“본성이 아름다운 시구를 좋아하니 어찌 청렴함에 해로우며 재주가 다하니 어찌 꿈속에 붓을 받은 江淹과 같겠는가. 천 잔의 술을 마시니 더욱 분방해지고 만 권의 서책에 빠지니 침잠하기를 좋아하네. 진한 향기 자리에 가득하니 온나무가 붉고 가는 죽순 섬돌을 뚫고 나오니 온 처마가 푸르구나. 작은 집에서도 부귀를 마음껏 누릴 수 있고 나물국에도 매실과 소금으로 간맞출 수 있다네.[性耽佳句豈傷廉 才盡寧同夢筆淹 酒吸千鍾增放達 書淫萬卷喜沈潛 濃香溢座紅千樹 細笋穿階綠一簷 小塢自能專富貴 菜羹猶足和梅鹽]”


역주
역주1 杜陵賢人 : 杜陵은 長安 부근에 있는 漢 宣帝의 陵號인 바, 두릉의 현인은 東溪公을 가리킨 것이나 누구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역주2 宅近靑山同謝脁 門垂碧柳似陶潛 : 靑山은 푸른 산으로 謝脁가 宣城太守로 있으면서 當塗縣 남쪽에 집을 짓고 “다시 靑山의 성곽을 바라본다.[還望靑山郭]”는 시를 지었으며, 陶潛은 일명 淵明으로 그가 지은〈五柳先生傳〉에 “선생은 어떠한 사람인지 알지 못하고 댁 옆에 다섯 그루의 버드나무가 있으므로 五柳先生이라 號하였다.” 하였으므로 말한 것이다.
동영상 재생
1 제동계공유거 432

고문진보전집 책은 2017.12.2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